중국 채동번 동한역사 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46회 47회 48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채동번 동한역사 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46회 47회 48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四十六回 馬賢戰歿姑射山 張綱馳撫廣陵賊
제사십육회 마현전몰고야산 장강치무광릉적

후한통속연의 46회 마현은 고야산에서 전투중에 죽고 장강은 말달려 광릉 적을 위로하다.




第四十七回 立冲人母后攝政 毒少主元舅橫行
제사십칠회 입충인모후섭정 독소주원구횡행

후한통속연의 47회 어린이를 세운 모후는 섭정을 하며 어린 군주를 독을 준 큰 외삼촌은 마음대로 하다.




第四十八回 父死弟孤文姬托命 夫驕妻悍孫壽肆淫
제사십팔회 부사제고문희탁명 부교처한손수사음

후한통속연의 48회 부친이 죽고 아우 고아 문희는 어명에 의탁하다. 남편이 교만하고 처가 사나워 손수는 마음대로 음란하다.

본문내용

삼천필 곡천곡 봉현손위무양정후
패배 보고가 수도에 전달되니 순제는 탄식을 면치 못하고 특별히 마현 가족에게 베 3천필과 곡식 1만말을 하사하며 마현 손자를 무양정후에 봉했다.
更遣侍御督錄征西營兵, 撫恤死傷。
갱견시어독록정서영병 무휼사상
다시 시어사를 보내 서영병사를 기록하게 하며 사상제를 위로하였다.
惟羌衆得了大勝, 勢焰益張。
유강중득료대승 세염익장
강족 무리는 대승을 얻으니 기세가 더욱 불타올랐다.
向來羌人分作兩派, 居住安定, 北地 上郡, 西河邊境, 號爲東羌;
향래강인분작양파 거주안정 북지 상군 서하변경 호위동강
전에 강족은 두 갈래로 나뉘어 안정, 북지, 상군, 서하의 변경에 거주하는 자를 동강이라고 불렀다.
居住西, 漢陽, 金城邊境, 號爲西羌。
거주농서 한양 금성변경 호위서강
농서, 한양, 금성의 변경에 거주하는 자를 서강이라고 호칭했다.
至是東西連合, 愈聚愈多, 就中有一班鞏唐羌, 更是蠻野, 着漢兵敗, 長驅深入, 自西直抵三輔, 焚園陵, 擾關中, 殺傷長吏。
지시동서연합 유취유다 취중유일반공당강 갱시만야 진착한병패뉵 장구심입 자농서직저삼보 분원릉 요관중 살상장리
蠻野:人智가 진보하지 않음. 문물이 보잘 것 없음.
着 [chenzhe] ① 이용해서 ② …봐서 ③ …빌어서 ④ …틈타서
동강과 서강이 연합하여 모일수록 많아져 중간에 한 무리 공당강은 더욱 야만스러워 한나라 병사의 패배를 틈타서 오래 말달려 깊이 쳐들어와 농서에서부터 곧장 삼보에 이르러서 원릉을 불사르고 관중을 소요하고 장리를 죽이고 다치게 했다.
陽令任, 引兵截擊, 因寡不敵衆, 竟至陣亡。
합양령임군 인병절격 인과불적중 경지진망
(담, 오랑캐 이름 장; -총16획; qiang)의 원문은 (고을 이름 합; -총9획; he)이다.
(머리 클, 큰 머리 군; -총16획; jun)
陣亡 [zhenwang]①싸움터에서 죽음 ②전사 ③전몰
합양령 임군은 병사를 이끌고 끊으러 와서 중과부적이 되어서 마침내 진영에서 사망했다.
獨武威太守趙衝, 擊敗鞏唐羌, 斬首四百餘級, 收降二千餘人, 有詔令護羌校尉, 總督河西四郡兵馬, 便宜行事。
독무위태수조충 격패공당강 참수사백여급 수항이천여인 유조령호강교위 총독하서사군병마 편의행사
유독 무위태수인 조충은 공당강을 공격해서 패배시켜 4백여수급을 참수해서 2천여명을 항복해 거두고 조서로 강족 보호 교위로 임명하니 모두 하서 4군 병마를 감독해 편의대로 일을 하게 했다.
安定時亦被兵, 郡將因皇甫規智略過人, 命爲功曹, 使率甲士八百人, 出叛羌。
안정시역피병 군장인황보규지략과인 명위공조 사솔갑사발팩인 출알반강
被兵:遭受
안정도 또 전화를 당해 군에서는 황보규가 지략이 타인보다 뛰어나 공조에 임명하며 갑사 8백명을 인솔하고 반란한 강족을 나와 막게 했다.
規首冒鋒刃, 揮兵殺敵, 斫死羌人前驅數名, 羌衆駭退, 安定解嚴, 乃擧規爲上計, 詣都報冊。
규수모봉인 휘병살적 작사강인전구수명 강중해토 안정해엄 내거규위상계연 예도보책
解 [ji//yan] 엄은 경계태세(警戒態勢)의 발령을 뜻하는 말. 나라의 큰 의식이나 행사에 임금이 거둥할 때 이에 참여하는 관원이나 시위(侍衛) 군사에게 준비를 서두르도록 북을 쳐 알리는 일.①계엄을 해제하다 ②풀다 ③해제하다
황보규는 선두로 칼날을 무릅쓰며 병기를 휘두르며 적을 죽이며 강족 선봉으로 오는 몇 명을 베어 죽이니 강족 무리가 놀라 후퇴하여 안정은 계엄을 해제하여 황보규를 상계연으로 승진하고 도읍에 이르러서 책봉보고를 하게 했다.  
規乘便上疏, 自請效力, 疏中有云:
규승편상소 자청효력 소중유운
황보규는 편의를 따라 상소를 올리니 힘을 다하길 자청하니 상소는 다음과 같다.  
臣比年以來, 數陳便宜, 羌戎未動, 察其將反;馬賢始出, 知其必敗, 誤中之言, 皆可考據。
신비년이래 수진편의 강융미동 찰기장반 마현시출 지기필패 오중지언 개가고거
比年 [bnian] ① 근년 ② 매년
考据 [koju]①고증 ②고증하다
誤中: 과녁이나 목표를 잘못 맞힘
신은 근년 이래로 자주 편의를 진술하여 강족병사가 아직 움직이지 않을 때 장차 반역하려고 함을 관찰했습니다. 마현은 비로소 나와 반드시 패배함을 아니 잘못 맞힌 말을 모두 고증하였습니다.
臣每維賢等擁衆四年, 未有成功, 懸師之費, 且百億計, 出於平民, 回入奸吏, 故江湖之人, 群爲盜賊。
신매유현등옹중사년 미유성공 현사지비 차백억계 출어평민 회입간리 고강호지인 군위도적
懸師:적진 깊숙이 들어온 탓에 거미줄처럼 가늘고 길게 늘어져버린 보급로
신이 매번 마현등이 4년이 되었는데 아직 성공이 없고 보급로 비용은 또 백억으로 계산되어 평민에게서 나오니 간사한 관리에게 들어가므로 강호 사람은 무리지어 도둑이 되었다.
, 徐荒饑, 負流散。
청 서 황기 강부유산
청주와 서주에 기근이 들어 포대기를 싸고 백성은 유리되어 흩어집니다.
夫羌戎叛, 不由承平, 皆由邊將失於綏馭, 乘常守安, 則加侵暴, 苟競小利, 則致大害, 微勝則虛張首級, 軍敗則隱匿不言。
부강융반 불유승평 개유변장실어수노 승상수안 즉가침폭 구경소리 즉치대해 미승즉허장수급 군패즉윽닉불언
綏(편안할 수; -총13획; sui)馭:安撫控制
侵暴:침범하여 포학하게 행동함
[xzhng]①과장하다 ②허세를 부리다
강융이 반란함은 태평에 유래하지 않고 모두 변경 장수가 위로와 억제를 잘못하고 보통처럼 안일하여 해침을 더하고 진실로 작은 이익에 다투어 큰 피해에 이르며 작은 승리면 수급을 과장하고 군사가 패배하면 숨기고 말을 안했습니다.
軍士勞怨, 困於猾吏, 進不得快戰以邀功, 退不得溫飽以全命, 餓死溝渠, 暴骨中原;
군사노원 곤어활리 진부득쾌전이료공 퇴부득온포이전명 아사구거 폭골중원
邀功 [yo//gng] 남의 공을 가로채다
군사는 피로하고 원망하며 교활한 관리보다 피곤하여 나가서는 빨리 싸워 공을 구하지 못하고 물러나서는 따뜻하고 배부르게 생명을 온전히 하지 못하고 도랑에서 아사하며 중원에 뼈를 노출하였습니다.
徒見王師之出, 不聞振旅之聲。
도견왕사지출 불문진려지성
振旅:군을 거두어 개선함
한갓 왕의 군사가 나감만 보고 개선했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습니다.
酋豪泣血, 驚懼生變, 是以安不能久, 叛則經年, 臣所以搏手叩心而增歎者也。
추호읍혈 경구생변 시이안불능구 반즉경년 신소이박수고심이증탄자야
酋豪:호족, 수령
叩心:가슴을

키워드

후한통속연의,   이고,   두교,   양기,   손수,   주목,   진궁,   손분,   한질제,   발호장군
  • 가격10,000
  • 페이지수73페이지
  • 등록일2015.08.20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