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 습득과정과 제 2언어 및 외국어 습득 과정을 살펴보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국어 습득과정과 제 2언어 및 외국어 습득 과정을 살펴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언어습득의 개념

Ⅱ. 본론
 1, 모국어 습득
  1) 모국 언어 습득 발달 단계
  2) 모국어 습득의 이론과 실제
  3) 습관 형성
  4) 언어습득장치
  5) 상호작용
 2, 제 2언어 및 외국어 습득
  1) 모국어 습득과 제 2 언어습득의 차이
  2) 제 2 언어 습득의 세가지 접근법
   (1) 행동주의적 접근
   (2) 생득론적 접근
   (3) 상화작용주의적 접근
  3) 제 2 언어습득의 특성
   (1) 언어환경적 특성
   (2) 개인적 특징

Ⅲ. 맺는말

본문내용

고 쓰는 일은 인간의 여러 발달 과정 중 가장 놀랍고도 엄청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인간은 언어를 습득하는 이런 마력적인 일을 어떻게 해내는 것일까? 인간은 어떤 과정을 거쳐 언어를 배우는 것일까?
언어습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난는 아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저절로 터득하게 되는 모국어 습득이다, 다른 하나는 교실과 같은 환경에서 한 언어를 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 배우는 것 같은 학습이다, 하지만 요즈음은 숩득과 학습이라는 용어 자체를 굳이 구별해 쓰지 않는다, 앞으로 이장에서는 습득이란 용어를 학습을 포함한 일반적인 개념으로 통용하려 한다, 따라서 언어습득은 모국어 씁득과 제 2언어 습득으로 나뉜다,
Ⅱ. 본론
1, 모국어 습득
모국어 습득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모국어에서 거의 모든 어린아이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사성이 있다는 점이다, 모국어가 영어인 어린아이의 예를 들어 보도록 하자, 어린 아이들은 보통 최초의 언어 형태라 할 수 있는 옹아리 단계를 거쳐, 한 살 즈음 드디어 하나의 단어를 만들어 내기 시작한다, 주로 많이 쓰는 단어로는 ‘mama\' 나 ’dada\' 그리고 ‘milk\', \'cookie\' \'doggie\' \'sock\'등을 들 수 있다, 이 단어들을 관찰해보면 매일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게 되는 대상을 지칭하거나, 일상생활과 가장 가깝게 관련된 단어들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어린아이에게 제일 필요한 것 중의 하나로 엄마가 매일 수 차례 기저귀를 갈아주지만 어린아이는 ’diaper\'라는 단어를 말하지 않는다, 엄마 와는 달리, 어린아이의 입장에서 보면 이 단어는 자신의 언어 레파토리에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다,
어린아이들이 쓰는 이러한 첫 단어들은 단어 하나로 한 문장을 이루는 한단어 문장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면 ‘milk\' 라는 단어 하나는 쓰여진 상황에 따라, ’Do you have any milk?\' 또는 ‘I\'d like some milk\' 혹은 ’I want to have more milk\'등 다양한 뜻으로 쓰이게 된다, 성인의 언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이 시기의 어린아이의 언어는 상황 의존적인 특징을 지니므로 말이 발화된 상황에 따라 다른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어린아이가 2살이 되면서부터 두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많이 쓰는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It ball\' \'It daddy\' \'There momma\' \'There doggie\' \'See doll\' \'Get ball\'\'Want car\'
이러한 어린아이의 언어는 자신이 의도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최소한의 단어만을 넣어 만들 문장으로서, 마치 우리가 최소한의 단어로 최대한 효과를 보려고 전보를 보낼때 쓰는 전보문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세 단어를 쓰는 단계는 따로 없으며, 이후부터는 아주 창의적으로 그리고 기하급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이 수가 늘어 나게 된다,
3살 반이나 4살 때 대부분의 어린아이들은 질문이나 명령을 하고, 일어난 사건에 대해 보고하고 설명 할 수 있으며, 또 상상 속의 사건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만들어 낼 줄 알게 된다, 그리고 4살이 되면 자신의 모국어의 기본적인 문법 구조를 터득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이즈음 다른 지적 인식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모국어를 읽는 능력이 생긴다, 즉 단어는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어의 의미를 글자와는 별개의 것으로 자의적 관계라는 걸 안다, 예를 들어 3살 정도부터 어린아이는 ‘drink the chair\'라고 말하면 의미상으로 틀린 문장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cake the eat\'라는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 쓰지는 않는다, 다만 이 문장이 왜 잘못되어 있는지 그 이유는 잘 모르는 상태에 있을 뿐이다,
그러나 5살이 되면 모국어의 언어구조에 대한 지식이 확실하게 자리 잡게 되는 시기로 ‘drink the chair\',와 ’cake the eat\' 라는 문장이 둘다 말도 안 되는 잘못된 문징이며, 이 두 문장이 어떤 이유로 -하나는 의미상, 하나는 문장 구조상 -잘못되어 있는지 정확히 집어 낼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앞에서 관찰해본 바와 같이 어린아이들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자기 스스로 언어의 발견이라는 과정을 밟는다고 하겠다,
1) 모국 언어 습득 발달 단계
어린아이의 언어습득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어떤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언어 발달 과정 혹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언어 습득 발달 단계는 특히 문법 형태소의 습득에서 잘 나타난다, Roger Brown은 영어가 모국어인 세명의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14개의 문법 형태소의 습득과정을 관찰했다, 놀랍게도 이 3명의 어린아이는 거의 비슷한 단계를 거쳐 문법 형태소를 습득해 나갔는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현재 진행형
-복수형
-불규칙 과거형
-소유격
-be동사
-관사
-규칙 과거형
-3인층 단수 현재형
-조동사로 쓰인 be동사
Brown을 비롯한 여러 연구조사자에 따르면 어린아이들은 이 목록의 습득 순서를 따르게 되는데, 예를 들어 어떤 어린아이가 소유격 ‘s 를 사용한다면 이 목록의 앞에있는 형태소들, 즉 현재진행형, 복수형, 불규칙 과거형은 모두 이미 습득한 단계에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문법 형태소의 습득순서가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그렇타고 어린아이들이 문법 형태소를 습득하는 속도나 시기가 다 같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살 반 정도가 됐을때 앞에 소개한 문법 형태소들을 습득한 아이가 있고, 3살 반 내지 4살이 되어서야 습득한 아이도 있다, 이러한 습득 시기의 다양함은 다른 연구자의 연구결과에서도 증명되었다, 중요한 것은 습득시기는 달라도 습득순서는 같다는 결론이다, 이러한 언어습득 발달단계는 문법 형태소 뿐 만 아니라 부정문이나 의문문 을 만드는 과정 및 단계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2) 모국어 습득의 이론과 실제
이제는 어린아이들의 모국어 습득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 하고자 한다, 모국어 습득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첫째는 습관 형성을 강조하고, 둘째는 타고난 언어능력에 초점을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8.23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