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생애, 그의 사상과 자연관 및 작품세계를 살펴보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생애, 그의 사상과 자연관 및 작품세계를 살펴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1. 고산 윤선도의 생애

  2. 고산의 사상과 정신세계

  3, 고산의 자연관

  4, 고산의 작품 세계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오우가>
    <어부사시사>


Ⅲ. 맺는말

본문내용

에 이미 자연 애호의 취향이 강하게 드러나 있는 것으로 봐서 그의 자연애 성향은 생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고산의 자연애가 각별한 것은 자신의 산수 애호 성정을 실체적 삶에서 현장화 하는 차원으로 확장 시켰다는 데 있다. 즉, 고산은 직접 산수간의 절승을 찾아내고, 그곳에서 자신의 거쳐를 마련하여 살면서 정자를 짓고 물을 가두어 연못을 만들어서 자신의 학문과 예술적 세계를 펼치고자 하여, 자연속의 섭리와 질서를 찾아내 자신의 삶속으로 끌여들이고, 자연과의 합일적 경지를 추구하였던 것이며, 그 합일에서 얻는 기쁨을 거리낌 없이 즐겼던 것이다.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어부사시사’와 ‘산중신곡’은 보길도와 수정동, 금쇄동에서 직접 체험하면서 맛본 자연과의 교감을 예술적으로 토로해 놓은 것이다.
4, 고산의 작품 세계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고산이 남긴 불후의 명작 <산중신곡>, <산중속신곡>은 각각 56세 59세때 지어진 작품들이다. 이작품에는 온갖 산전수전을 다 겪은 노회한 시인의 감성적 깊이와 언어적 질감이 살아 숨 쉬고 있다.
<산중신곡>은 다양한 소재의 작품들로 묶여 있는데, 각 편마다 제목이 붙여 있다. 바위와 돌, 시냇가 등등의 이름을 붙여 준것 처럼 하위장르에 불과했던 시조 역시 작품마다 그에 걸맞는 이름을 부여해 준것이다. 자연과의 교감과 시조에 대한 창작열, 고산에게는 이둘이 서로 긴밀하게 연동되어 있었던 것이다.
<산중신곡>에는 <만흥>6수, <조무요>1수, <우후요>2수, <일모요>1수, <야심요>1수, <기세탄>1수, <오우가>6수, <고금영> 1수들의 작품들이 호함되어 있고, <산중속신곡>에는 <추야조> <춘효음> <증반금> 등이 포함된다
<오우가>
전원의 일상속에서 획득한 그의 유려한 감수성은 <오우가>에서 그 절정에 이른다. 오우가에서 그는 다섯 벗 즉, 수. 석. 송. 죽. 월 을 소개한다. .그들의 미덕이란 한결같이 ‘불변성의 항상성’ 이다. 구름과 바람의 가변성과 대비되는 물소리의 항구성. 꽃과풀의 변화무쌍함과 대조되는 늘 푸른 대나무의 견고성, 만물을 두루 비치는 달의 광명이 그것이다. <오우가>를 통해 자연물에서 성리학적 이치를 따지는 도학자의 근엄한 태도가 아니라, 그야함로 친근하고도 믿을 만한 ‘벗’을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게 된다.
< 어부사시사>
고산이 < 어부사시사>를 지은 것은 65세 때였다. < 어부사시사>는 강호미학의 정점이다. 그것은 이 작품 이 <어부가>라는 전승의 기반위해서 가장 드높은 미적 성취를 이루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작품 이후에는 더 이상 뛰어난 작품이 출연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말이다.
<어부사시사>는 전체가 모두 4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춘하추동 각 계절마다 10수씩 배치되어 있다. 어부의 시선으로 사계절의 순환을 깊고 넓게 표현하겠다는 야심찬 의도가 깔려 있다. 각 편의 1장에서 10장까지의 변화를 보면 ‘배 떠라’,‘닻 들어라’, ‘돛 달아라’, ‘배 세워라’, ‘배 매여라’, ‘닻 지어라’, ‘배 붙여라’ 등인데, 이것은 출어에서 귀법의 과정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8.25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