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 인도수학이 수학에 끼친 영향 중 중요한 것들에 대하여 논하여라.
2. 3차방정식의 근의 발견문제는 오늘날 카르다노에게 그 공을 돌리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하여 논하여라.
3. 피타고라스 정리를 각자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여 증명하라.
4. 방정식 의 여섯 근의 곱의 값은?
2. 3차방정식의 근의 발견문제는 오늘날 카르다노에게 그 공을 돌리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하여 논하여라.
3. 피타고라스 정리를 각자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여 증명하라.
4. 방정식 의 여섯 근의 곱의 값은?
본문내용
AB의 중점을 M이라 하고, MC의 연장선과 PQ의 교점을 R이라 하면
∠CRP = 180° - (∠RPC + ∠RCP)
= 180° - (∠CAB + ∠MCB)
= 180° - (∠CAB + ∠CBM)
= ∠ACB
= 90°
따라서 MR과 PQ는 직교한다.
삼각형 MCP의 넓이는
다른 방법으로 삼각형 MCP의 넓이를 구하면
마찬가지로 삼각형 MCQ의 넓이를 구하면
따라서
따라서
21. 코라(Tabit ibn Qorra, 826~901)의 증명 방법
메소포타미아 수학자 코라(Tabit ibn Qorra, 826~901)의 증명 방법으로 그림에서 삼각형 ABC, FLC, FMC, BED, AGH, FGE는 모두 합동이다.
따라서 오각형 ABDFH의 넓이는
따라서
22. 박부성의 아이디어
퍼즐 전문가 박부성님의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의 한 변 AC를 빗변으로 갖는 4개의 빨간 직각이등변삼각형을 만든다.
삼각형 ACG의 넓이는 2×(삼각형 AFG)
=
따라서
= 정사각형 DEHG
23. 앤니의 증명 방법
1903년 B. F. Yanney가 증명한 방법이다.
그림에서 삼각형 LKM과 ACO가 합동이므로 사각형 AOML = 사각형 ACKL
삼각형 LAE와 KCD가 합동이므로 사각형 ACKL = 사각형 ACDE
따라서 사각형 AOML = 사각형 ACDE
같은 방법으로 하면
사각형 BOMH = 사각형 BCKH = 사각형 FDKH
따라서
정사각형 ABHL = 사각형 AOML + 사각형 BOMH
= 사각형 ACDE + 사각형 FDKH
따라서
24. Joran Friberg의 증명 방법
스웨덴의 수학교수 Joran Friberg가 제시한 증명 방법으로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을 그림과 같이 만들 수 있다.
따라서
25. Liu Hui(유휘, 3세기경)의 증명방법
중국 고전 수학책인 구장산술을 풀이한 Liu Hui(유휘, 3세기경)가 제시한 증명 방법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AC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와
BC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따라서
26. Delboeuf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 CDEF - {() + () + () + ()}
= 사각형 CDEF - {() + (1) + (2) + (3)}
따라서
27. Jury Wipper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1) + {(2) + (3)}
= {() + (1) + (3)} + {() + (2)}
따라서
28. J. M. McCready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1) + (2) + (3)
= {() + (1) + (3)} + {() + (2)}
따라서
29. Lecchio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빨간 사각형 + 노란 사각형 = 녹색 평행사변형 + 파란색 평행사변형
= 정사각형 ACDE + 정사각형 BFGC
따라서
30. Henry Boad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같은 색의 사각형끼리는 서로 합동이다.
또, () + () = (), () + () = ()
따라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 CDEB) + (사각형BEFG)}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31. 헤론의 공식을 이용한 증명 방법
빗변이 c인 직각삼각형의 넓이는 … ①
한편, 일 때, 헤론의 공식에 의해
①, ②에서
정리하면
∴ 따라서
32. Michelle Watkins의 증명 방법
1991년 Penguin Books에서 펴낸 Dunham의 『Journey through Genius』에 있다.
North Florida 대학생 Michelle Watkins의 증명 방법
그림과 같이 합동인 두 직각삼각형 ABC와 DEF를 생각해보자.
AB와 DE가 서로 수직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DE의 넓이는
또다른 방법으로 삼각형 ADE의 넓이는
따라서
33. 원을 이용한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가 있을 때, C에서 AB에 수선의 발 P를 내린다.
가 모두 직각이므로 는 지름이 각각 인 원 위에 있다. 따라서 는 두 원의 교점이다. 또, ∠C가 직각이므로 는 각각 오른쪽, 왼쪽 원의 접선이다.
따라서
두 식을 변변 더하면
∴
34.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 방법
노란 직각삼각형의 빗변 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그림에서 이다.
따라서
그러므로
따라서 ∴
35. 평행사변형을 이용한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의 세 변을 각각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을 만들자.
C에서 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고, D에서 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하면
삼각형 ABC, EDH, CHG는 모두 합동이다.
평행사변형 CBDH
평행사변형 ACHE
정사각형 ABDE = (빨간색 오변형) + (삼각형 EDH)
= (빨간색 오변형) + (삼각형 ABC)
= (평행사변형 CBDH) + (평행사변형 ACHE)
4. 방정식 의 여섯 근의 곱의 값은?
풀이) 6차 방정식의 근을 a,b,c,d,e,f 라고 하면 이 방정식은
이라는 가정이 되고
이라는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알수 있다.
따라서, 여섯근의 곱은 3이다.
정답) 3
∠CRP = 180° - (∠RPC + ∠RCP)
= 180° - (∠CAB + ∠MCB)
= 180° - (∠CAB + ∠CBM)
= ∠ACB
= 90°
따라서 MR과 PQ는 직교한다.
삼각형 MCP의 넓이는
다른 방법으로 삼각형 MCP의 넓이를 구하면
마찬가지로 삼각형 MCQ의 넓이를 구하면
따라서
따라서
21. 코라(Tabit ibn Qorra, 826~901)의 증명 방법
메소포타미아 수학자 코라(Tabit ibn Qorra, 826~901)의 증명 방법으로 그림에서 삼각형 ABC, FLC, FMC, BED, AGH, FGE는 모두 합동이다.
따라서 오각형 ABDFH의 넓이는
따라서
22. 박부성의 아이디어
퍼즐 전문가 박부성님의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의 한 변 AC를 빗변으로 갖는 4개의 빨간 직각이등변삼각형을 만든다.
삼각형 ACG의 넓이는 2×(삼각형 AFG)
=
따라서
= 정사각형 DEHG
23. 앤니의 증명 방법
1903년 B. F. Yanney가 증명한 방법이다.
그림에서 삼각형 LKM과 ACO가 합동이므로 사각형 AOML = 사각형 ACKL
삼각형 LAE와 KCD가 합동이므로 사각형 ACKL = 사각형 ACDE
따라서 사각형 AOML = 사각형 ACDE
같은 방법으로 하면
사각형 BOMH = 사각형 BCKH = 사각형 FDKH
따라서
정사각형 ABHL = 사각형 AOML + 사각형 BOMH
= 사각형 ACDE + 사각형 FDKH
따라서
24. Joran Friberg의 증명 방법
스웨덴의 수학교수 Joran Friberg가 제시한 증명 방법으로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을 그림과 같이 만들 수 있다.
따라서
25. Liu Hui(유휘, 3세기경)의 증명방법
중국 고전 수학책인 구장산술을 풀이한 Liu Hui(유휘, 3세기경)가 제시한 증명 방법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AC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와
BC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따라서
26. Delboeuf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 CDEF - {() + () + () + ()}
= 사각형 CDEF - {() + (1) + (2) + (3)}
따라서
27. Jury Wipper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1) + {(2) + (3)}
= {() + (1) + (3)} + {() + (2)}
따라서
28. J. M. McCready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1) + (2) + (3)
= {() + (1) + (3)} + {() + (2)}
따라서
29. Lecchio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빨간 사각형 + 노란 사각형 = 녹색 평행사변형 + 파란색 평행사변형
= 정사각형 ACDE + 정사각형 BFGC
따라서
30. Henry Boad의 증명 방법
출처는 1940년에 출판된 Loomis의 저서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다.
그림에서 같은 색의 사각형끼리는 서로 합동이다.
또, () + () = (), () + () = ()
따라서 AB를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 CDEB) + (사각형BEFG)}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31. 헤론의 공식을 이용한 증명 방법
빗변이 c인 직각삼각형의 넓이는 … ①
한편, 일 때, 헤론의 공식에 의해
①, ②에서
정리하면
∴ 따라서
32. Michelle Watkins의 증명 방법
1991년 Penguin Books에서 펴낸 Dunham의 『Journey through Genius』에 있다.
North Florida 대학생 Michelle Watkins의 증명 방법
그림과 같이 합동인 두 직각삼각형 ABC와 DEF를 생각해보자.
AB와 DE가 서로 수직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DE의 넓이는
또다른 방법으로 삼각형 ADE의 넓이는
따라서
33. 원을 이용한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가 있을 때, C에서 AB에 수선의 발 P를 내린다.
가 모두 직각이므로 는 지름이 각각 인 원 위에 있다. 따라서 는 두 원의 교점이다. 또, ∠C가 직각이므로 는 각각 오른쪽, 왼쪽 원의 접선이다.
따라서
두 식을 변변 더하면
∴
34.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 방법
노란 직각삼각형의 빗변 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그림에서 이다.
따라서
그러므로
따라서 ∴
35. 평행사변형을 이용한 증명 방법
직각삼각형 ABC의 세 변을 각각 한 변으로 갖는 정사각형을 만들자.
C에서 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고, D에서 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하면
삼각형 ABC, EDH, CHG는 모두 합동이다.
평행사변형 CBDH
평행사변형 ACHE
정사각형 ABDE = (빨간색 오변형) + (삼각형 EDH)
= (빨간색 오변형) + (삼각형 ABC)
= (평행사변형 CBDH) + (평행사변형 ACHE)
4. 방정식 의 여섯 근의 곱의 값은?
풀이) 6차 방정식의 근을 a,b,c,d,e,f 라고 하면 이 방정식은
이라는 가정이 되고
이라는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알수 있다.
따라서, 여섯근의 곱은 3이다.
정답) 3
추천자료
수학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의미와 도입배경, 수학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유형,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의 학습집단조직, 수학과 ...
수학과(수학교육)의 특성과 지도중점,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군개념지도와 곱셈지도, ...
수학과(수학교육)의 교육과정 성격, 수학과(수학교육)의 교육과정 목표, 수학과(수학교육) 교...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개념,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의의, 수학과교육 측정...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수학과(수학교육) 문제해결(능력) 필요성, 수학과(수학교육) 문제해결(능력) 목적, 수학과(수...
수학교구(수학학습도구) 패턴블록(패턴블럭) 정의와 의의, 수학교구(수학학습도구) 패턴블록(...
수학교구 기하판(지오보드, 점판)의 의미와 유래, 수학교구 기하판(지오보드, 점판)의 필요성...
수학교구 탱그램(칠교놀이, 칠교판)의 도입과 의의, 수학교구 탱그램(칠교놀이, 칠교판)의 제...
수학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필요성, 수학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특성, ...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의 기본체제,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의 기본방향, 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적,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실태와 교육중점,...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 외국어영역의 평가,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 외국어영역의 EBS강의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