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에 관하여 기술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드에 관하여 기술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란?
업다운은 BBP 자세를 기본으로 몸을 일으키는 업(UP)과 몸을 낮추는 다운(DOWN)을 합친 말이다.
보드에 압력을 주면 슬로프에 에지가 눌리면서 회전을 시작한다.
아래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압력을 주고 위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풀어준다.
보드에 압력을 주거나 풀기 위해서 무릎과 발목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압력을 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몸의 중심 자체를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허리와 골반의 힘을 이용하고 무릎과 발목은 보조로 사용 한다.
너비스 턴 하는 방법
1) 트레버싱 동작으로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2) 턴을 하고자 하는 시점이 되면 몸을 서서히 돌린다.
3) 보드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허리와 무릎, 발목을 이용하여 보드를 눌러주는 다운을 시작한다.
4) 보드가 폴라인을 향할 때가 최대 다운 시점이 되며 이때에는 다운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5) 보드가 폴라인을 벗어나면서 돌고 턴이 끝나면 서서히 몸을 일으키면서 다운을 풀어주고 몸을 일으키는 동작을 진행한다.
6) 회전이 끝나면 몸은 완전히 처음의 BBP를 유지하게 된다.
7) 다시 트레버싱 동작으로 이어져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스키장 예절 캠페인
1) 안전 바 움직입니다
리프트가 움직이면 가장 먼저 할 일은 안전 바를 내리는 것이다.
자세를 바로 잡느라 안전 바에 신경을 쓰지 못하는 사람도 있지만 옆 사람이 해 주겠지하면
서 우두커니 있는 사람도 있다.
안전 바에 머리를 부딪치거나 옷이나 장비가 끼기도 한다. 안전 바를 올리거나 내릴 때는 항상 ‘안전 바 움직입니다’라고 신호를 해 사고를 방지하자.
2) 편 가르기 하지 말자
‘보드 타는 애들은 저래서 안 돼’ ‘스키어들 정말 웃기지 않냐’와 같은 이상한 구분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쓸데없는 시기심이나 경멸은 운동하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같은 장소에서 겨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갖자.
3) 슬로프에서 넘어진 보더나 스키어를 보호하자
스키어가 넘어졌을 때는 스키와 폴을 놓친 채 몸만 아래로 굴러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탈착된 장비들을 주워서 전해준다.
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는 큰 부상자를 만난다면 그 자리에 정지한 뒤 보드를 벗어서 부상자의 위쪽 2m 정도에 가로세운다.
다른 보더와의 2차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보드
<비기너와 너비스턴 에 대하여>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9.2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2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