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란?
업다운은 BBP 자세를 기본으로 몸을 일으키는 업(UP)과 몸을 낮추는 다운(DOWN)을 합친 말이다.
보드에 압력을 주면 슬로프에 에지가 눌리면서 회전을 시작한다.
아래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압력을 주고 위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풀어준다.
보드에 압력을 주거나 풀기 위해서 무릎과 발목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압력을 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몸의 중심 자체를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허리와 골반의 힘을 이용하고 무릎과 발목은 보조로 사용 한다.
너비스 턴 하는 방법
1) 트레버싱 동작으로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2) 턴을 하고자 하는 시점이 되면 몸을 서서히 돌린다.
3) 보드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허리와 무릎, 발목을 이용하여 보드를 눌러주는 다운을 시작한다.
4) 보드가 폴라인을 향할 때가 최대 다운 시점이 되며 이때에는 다운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5) 보드가 폴라인을 벗어나면서 돌고 턴이 끝나면 서서히 몸을 일으키면서 다운을 풀어주고 몸을 일으키는 동작을 진행한다.
6) 회전이 끝나면 몸은 완전히 처음의 BBP를 유지하게 된다.
7) 다시 트레버싱 동작으로 이어져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스키장 예절 캠페인
1) 안전 바 움직입니다
리프트가 움직이면 가장 먼저 할 일은 안전 바를 내리는 것이다.
자세를 바로 잡느라 안전 바에 신경을 쓰지 못하는 사람도 있지만 옆 사람이 해 주겠지하면
서 우두커니 있는 사람도 있다.
안전 바에 머리를 부딪치거나 옷이나 장비가 끼기도 한다. 안전 바를 올리거나 내릴 때는 항상 ‘안전 바 움직입니다’라고 신호를 해 사고를 방지하자.
2) 편 가르기 하지 말자
‘보드 타는 애들은 저래서 안 돼’ ‘스키어들 정말 웃기지 않냐’와 같은 이상한 구분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쓸데없는 시기심이나 경멸은 운동하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같은 장소에서 겨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갖자.
3) 슬로프에서 넘어진 보더나 스키어를 보호하자
스키어가 넘어졌을 때는 스키와 폴을 놓친 채 몸만 아래로 굴러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탈착된 장비들을 주워서 전해준다.
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는 큰 부상자를 만난다면 그 자리에 정지한 뒤 보드를 벗어서 부상자의 위쪽 2m 정도에 가로세운다.
다른 보더와의 2차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보드
<비기너와 너비스턴 에 대하여>
업다운은 BBP 자세를 기본으로 몸을 일으키는 업(UP)과 몸을 낮추는 다운(DOWN)을 합친 말이다.
보드에 압력을 주면 슬로프에 에지가 눌리면서 회전을 시작한다.
아래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압력을 주고 위로 움직이면서 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풀어준다.
보드에 압력을 주거나 풀기 위해서 무릎과 발목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압력을 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몸의 중심 자체를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허리와 골반의 힘을 이용하고 무릎과 발목은 보조로 사용 한다.
너비스 턴 하는 방법
1) 트레버싱 동작으로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2) 턴을 하고자 하는 시점이 되면 몸을 서서히 돌린다.
3) 보드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허리와 무릎, 발목을 이용하여 보드를 눌러주는 다운을 시작한다.
4) 보드가 폴라인을 향할 때가 최대 다운 시점이 되며 이때에는 다운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5) 보드가 폴라인을 벗어나면서 돌고 턴이 끝나면 서서히 몸을 일으키면서 다운을 풀어주고 몸을 일으키는 동작을 진행한다.
6) 회전이 끝나면 몸은 완전히 처음의 BBP를 유지하게 된다.
7) 다시 트레버싱 동작으로 이어져 슬로프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내려온다.
스키장 예절 캠페인
1) 안전 바 움직입니다
리프트가 움직이면 가장 먼저 할 일은 안전 바를 내리는 것이다.
자세를 바로 잡느라 안전 바에 신경을 쓰지 못하는 사람도 있지만 옆 사람이 해 주겠지하면
서 우두커니 있는 사람도 있다.
안전 바에 머리를 부딪치거나 옷이나 장비가 끼기도 한다. 안전 바를 올리거나 내릴 때는 항상 ‘안전 바 움직입니다’라고 신호를 해 사고를 방지하자.
2) 편 가르기 하지 말자
‘보드 타는 애들은 저래서 안 돼’ ‘스키어들 정말 웃기지 않냐’와 같은 이상한 구분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쓸데없는 시기심이나 경멸은 운동하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같은 장소에서 겨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갖자.
3) 슬로프에서 넘어진 보더나 스키어를 보호하자
스키어가 넘어졌을 때는 스키와 폴을 놓친 채 몸만 아래로 굴러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탈착된 장비들을 주워서 전해준다.
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는 큰 부상자를 만난다면 그 자리에 정지한 뒤 보드를 벗어서 부상자의 위쪽 2m 정도에 가로세운다.
다른 보더와의 2차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보드
<비기너와 너비스턴 에 대하여>
추천자료
컴퓨터PC분해 보고서
캐패시터와 RC회로 실습보고서
윈드서핑 용어에 대하여 - 윈드서핑의 정의, 용어 설명
윈드서핑에 대해...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변형 및 하중 측정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스노우캐슬 시장조사
ㅇ 유치원 관찰기록 보고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자세조절, 양측협응, 운동계획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실놀이수업, 교실영어수업 교육자료(지도자료), 퀴즈수업 교육자료(지도자료), 국제광고수...
MDF와 PB의 개요 (Medium Density Fiberboard/ Particle Board)
(예비) 전위차계에 의한 기전력측정 - 습동선형의 전위차계를 사용하여 표준전지를 기준으로 ...
마케팅관리-나이키
컴퓨터 조립하기 - 컴퓨터 부품 구입 요령, 컴퓨터 조립 시 준비물 및 주의 사항, 주요 장치 ...
<소비자 태도 및 구매 분석> 고객의 구매 전(다속성 태도모델, HEIDER 균형이론 이론, Katz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