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엽식물觀葉植物의 두 얼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엽식물觀葉植物의 두 얼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 주위의 관엽식물

관엽식물 사고 사례

대표적인 위험식물

우리의 자세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종류
잎의 모양 : 필로덴드론, 몬스테라 등
잎 모양과 빛깔 : 아칼리파, 베고니아, 알로카시아 등
줄기 : 선인장, 유포르비아 등
모용, 가시 : 선인장, 야자나무 등
잎과 꽃 : 아나나스, 안투리움, 아펠란드라 등
특이 생태 : 식충식물


4) 스킨답서스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골든포토스’, ‘에피프레넘’ 등의 명칭으로 불리우기도 함 (아직까지 명확한 구분 X)
‘포름알데히드’나 ‘톨루엔’ 제거에 탁월
수경재배가 가능해 어항에 키우기도 함
독성 성분이 있어 섭취 시에 구강 점막을 자극해 구토를 유발하고, 심하면 실신에 이름

대표적인 위험식
1) 협죽도
협죽도과의 상록관목
햇볕이 잘 쬐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서식 (제주도, 남부지방)
공해에 매우 강하며, 공기정화 능력이 뛰어남
독소인 ‘올레알드린’은 청산가리의 6,000배 정도의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심장에 영향을 주어 사망에 이름
독성을 이용해 약재로도 활용
2) 아이비
두릅나무과의 관엽식물
주변 물체에 붙어 자라는 덩쿨식물로 30m까지 자랄 수 있음
뛰어난 공기정화 능력으로 실내식물로 각광받음 (NASA 선정 공기정화 식물, 새집증후군 예방 효과)
독소인 ‘팰캐리놀’은 피부발진 및 호흡곤란을 일으킴
진통제나 소염제로 활용하기도 함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5.10.02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83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