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방법
2. 측정값
3. 실험결과
4. 결과에 대한 논의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출처
2. 측정값
3. 실험결과
4. 결과에 대한 논의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실험에서의 오차 정밀도가 상당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측정값에는 있지만 9번째 측정을 제외한 이유는 굴절률의 측정은 실제로 측정은 10번 했지만 9번째 이후로 거울을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제약과 반사된 레이저의 퍼짐으로 인하여 신뢰할 만한 테이터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5. 결론
변조를 이용한 빛의 속도 실험은 공기 중에서의 빛의 속도 측정 오차가 적어 매우 정밀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반면, 굴절률 측정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한 원인은 실험 1에서는 델타 x의 변화량을 0.05를 기준으로 장치에서 표시하는 값으로 계산하였지만, 실험 2의 경우 우선 매질이 있는 경우 x 변화량을 기록한 뒤, 오실로스코프에서 위상이 다시 일치하는 지점을 찾아 그 때의 나중 x 변화량을 기록하여 이 차이를 이용하여 굴절률을 계산했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에서 위상이 정확히 일치하였느냐에 따른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참고문헌 및 출처
부산대학교 빛의 속도 측정 실험 매뉴얼 (그림 및 이론)
변조의 정의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979&cid=40942&categoryId=32373
5. 결론
변조를 이용한 빛의 속도 실험은 공기 중에서의 빛의 속도 측정 오차가 적어 매우 정밀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반면, 굴절률 측정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한 원인은 실험 1에서는 델타 x의 변화량을 0.05를 기준으로 장치에서 표시하는 값으로 계산하였지만, 실험 2의 경우 우선 매질이 있는 경우 x 변화량을 기록한 뒤, 오실로스코프에서 위상이 다시 일치하는 지점을 찾아 그 때의 나중 x 변화량을 기록하여 이 차이를 이용하여 굴절률을 계산했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에서 위상이 정확히 일치하였느냐에 따른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참고문헌 및 출처
부산대학교 빛의 속도 측정 실험 매뉴얼 (그림 및 이론)
변조의 정의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979&cid=40942&categoryId=32373
추천자료
마이크로파 실험
스트레인게이지 실험 및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레포트]선팽창계수측정
[신소재공학실험2]CaTiO3 NiFe2O4 XRD 에 대한 조사 프레젠테이션
전기도금 실험
파동-입자의 이중성실험
약리학 실험보고서 - 항콜린성 약물의 효과
[미생물실험보고서] 현미경 사용법, 수생 미생물, 세균 수 관찰
생리학 실험보고서 - 현미경의 사용 및 기공의 구조, 변화 관찰
[일반화학실험]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실험] (예비) 얇은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
[재료공학실험] 재료시험법(경도시험) - 로크웰 경도시험 & 브리넬 경도 시험
[생물학실험]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생물학 실험보고서 - 원생생물 관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