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동기] 앳킨슨(Atkinson), 맥클레랜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취동기] 앳킨슨(Atkinson), 맥클레랜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책임감(responsibility)
자신이 수행하는 과제에 대해서는 일체의 책임을 지고, 실패했더라도 책임을 회피하려 하지 않는다.
6/ 행동결과에 대한 정보(knowledge of the result) 추구 경향성
과제수행의 진행 상황과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정보를 계속 추구하여 정확한 예측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7/ 미래지향성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미래에 얻게 될 성취만족을 기대하면서 끈기 있게 지속해 나간다.
성취동기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육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도 있다. McClelland는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 따라 성취동기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Kolb(1965)는 육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아지고 성적이 향상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는 성취동기육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통제집단)의 학업성취를 비교 연구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난 6개월 후에 성취동기육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나, 성적은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년 6개월 후에는 성취동기육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성적도 월등히 높아졌다.
이와 같이 성취동기는 개인차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즉, 학습자가 경험한 성취결과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고, 과제의 성격이나 환경, 개인의 능력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론 성취동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동기유형과 수준을 파악하여 학생에게 성공 혹은 실패의 경험을 적절히 조정하여 주면서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전적이며 성취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부여함으로써 학생에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주고,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갖고 개인적 성취감을 맛보게 한 후, 점차적으로 어려운 과제를 부여하여 도전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성취동기는 대개 Murray가 창안한 주제통각검사(TAT)로 측정한다. 이 검사는 피험자가 제시된 그림을 보고 해석할 때 자신의 성취가치를 투사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피험자가 그림을 보고 마음에 연상된 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하면 그 내용에 투사된 성취노력들(예: 성취, 성취 관심, 목표, 성취에 관련된 정서의 표현 등)을 채점하여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는 동기가 무의식적인 상상 속에서 표현된다는 Freud적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