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목적 - 교육의 이념과 목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목적 - 교육의 이념과 목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의 목적

I. 교육의 이념

II. 교육의 목적
1. 교육의 외재적 목적과 내재적 목적
2. 좋은 교육목적의 준거
3.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의 관계

본문내용

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물
을 때 유일하게 대답할 수 있는 것은 지성이나 인격을 도야하는 것과 같은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내재적인 목적을 지칭하게 된다(Peters 1964)고
하였다.
피터스(1981)는 교육의 목적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발달의 특징들을
지시해야 하고, 표적과 같이 특수한 목표들(goals)을 지시해야 하며, 교육의
이념과는 달리 달성할 수 있는 목표들을 제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준거에 따라 그는 교육의 내재적인 목적으로서 (1) 지적인 탁월성-합리성
비판적인 사고, 자율성 (2) 도덕적인 탁월성 (3) 미적인 경험 등을 들었다.
3)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의 관계
위에서 제시한 교육목적의 내재적-외재적 구분은 개념상으로 가능한 것
이다. 우리들이 접하는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는 내재적인 목적만을 추구하
거나 외재적인 목적만을 추구하는 교육은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의 실천
과정에서는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한 입장에서 오코너(O' Conor, 1957)는 현대 영국인들이 추구해야 할
교육목적의 잠정적인 목록으로서 (1) 사람들이 사회 안에서 그들의 지위를
갖고 더 많은 지식을 얻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2)
사람들이 자립을 할 수 있도록 직업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3) 지식에 대한
흥미와 취미를 갖게 하기 위해 (4) 사람들이 비판적인 안목을 기르기 위해
(5) 인류의 문화적, 도덕적 업적을 감상할 수 있기 위해 등 5가지 교육목적
을 들었다.
이에 비해 허스트(P. H. Hirst)는 "교육의 목적들: 본질과 내용J(1992)과
"교육목적의 본질"(1999)이라는 논문에서 종래에 지식과 이해를 강조하던
합리주의적인 관점에서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요구와 욕구, 그리고 인간의
복지에도 관심을 가지는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하였
다. 그는 합리주의적 관점에서의 이성, 지식, 이해는 선한 삶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도구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공리주의적인 관
점은 진실, 독립, 사러, 용기, 자선 등 선한 삶을 위해 유용한 탁월성을 중
시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 두 관점의 대립과 양극적인 견해를 비판하고
제3의 길을 모색하였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항상 합리적으로만 계획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실천 과결에서 합리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