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안교육의 과제와 전망]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개선과제와 전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대안교육의 과제와 전망]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개선과제와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 대안교육의 과제와 전망

I. 대안학교의 시대적 역할

II. 준비된 교사

III. 교육 프로그램

IV. 학교 밖 학교에서 학교 다음 학교로

V. 재정적 안정의 과제

VI. 준비된 학부모의 과제

VII. 대안학교법

본문내용

석차로 내고 내신 성적을 내야 한다는 점이었다.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는 약70%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어 교과 편성상의 제약은 거의 받지 않는 편이다. 다만 고등학교 1학년 때 이수해야 하는 국민공통 기본교과 때문에 학생들이 다소 힘들어 하는 점이 있다. 운영상의 표를 발휘하면 그다지 심각한 제약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특성화중학교의 경우는 특성화고등학교와는 달리 70%에 있어 국가교육과정을 따라야 하고 자율권이 30%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사실상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 거의 자율권이 없는 편이다. 그래서 중학교나 초등학교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상의 자율권 없이는 인가를 받는 것이 별 의미가 없게 될 것이다.
모든 학생들의 내신 성적을 매겨야 한다는 것이다. 1997년에는 석차를 매자지 않고 오로지 서술식 평가만 했었는데, 인가 이후에는 이러한 서술식 평가를 계속하면서 교육청에 보고하는 내신 성적은 학생들과 학부모에게 공개하지 않고 따로 작성한 적도 있었다. 결국 일원화된 내신 성적 처리를 할 수밖에 없었다.
(5) 가장 심각한 변화는 교사문화가 점점 공동체성을 잃고 직장으로 변해간다.
발령받는 교사는 이제는 국가의 공무원이다. 그 동안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출퇴근 시간 상관없이, 교육상 필요하면 언제나 학생들을 위해 일했다. 지금은 교사들은 9시에 출근하고 5시경이면 퇴근한다. 주말이나 5시 이후에 일하게 되면 초과 수당을 신청한다. 비인가 학교였을 때는 이러한 것을 상상도 하지 못했다. 인가학교의 교사들이 기득권을 벌고 미인가 시절의 마음을 되찾을 때에만 대안학교로서의 공동체성을 지킬 수 있다고 본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