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학습에 관한 초기이론] 톨만의 잠재학습이론, 행태주의 심리학 이론(쾰러의 통찰학습이론, 레빈의 장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학습에 관한 초기이론] 톨만의 잠재학습이론, 행태주의 심리학 이론(쾰러의 통찰학습이론, 레빈의 장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인지학습에 관한 초기 이론들

I. 톨만의 잠재학습이론

II. 형태주의 심리학 이론
1. 쾰러의 통찰학습이론
2. 레빈의 장이론

본문내용

도 적용될 수 있다. 통찰에
의해 학습된 것은 특정한 기능이 아니라 수단과 목적 간의 인지적 관계이다. 따라서
한 수단은 다른 장면에서 다른 도구로 대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천장에 매
달려 있는 바나나를 따기 위해 막대기나 상자를 사용해 본 침팬지는 높은 선반 위에
올라가 있는 물건을 꺼낼 때에도 그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2) 레빈(Lewin)의 장이론(Field theory)
장이론(인지적 장 심리학. cognitive field psychology)은 레빈(Kurt Lewin)에 의해서 이
루어진 이론이다. 레빈에 의하면 학습과정의 첫 단계로서의 인지는 분석적으로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전체적 장(field)의 관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장이란 인지
가 일어날 때 그 사람에게 심리적으로 영향을 준 전체적 상황이라는 뜻이다. 장이론
에서 중요한 것은 장에 있는 어떤 것도 분리해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은 장의 개념을 여러 가지 수준에서 사용한다. 형태 그 자체
를 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인지된 환경을 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사람 자
신을 역동적인 상호 관련 체제의 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은
사람에게 일어난 모든 것은 그에 관한 다른 어떤 것에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발통이 아프거나 위경련이 일어나면 세계는 이전과 다르게
보인다. 인간의 행동은 객관적인 세계의 실재 자체보다도 그 세계를 보는 자신의 주관에 의해서 결정된다. 인간은 마음이라는 색 안경을 끼고서 객관세계를 보고 있다
는 것이다. 물리적인 세계 안에 실재하는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그것을 의식
하지 않는 한 우리의 행동에는 아무런 효과를 미치지 못한다. 또한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은 총체를 항상 강조하고 개별적인 부분은 강조하지 않는다.
레빈은 학습을 생활공간이 보다 고도로 분화하면서 장의 인지구조가
변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행동에 대한 공식으로 B=f(P * E)를 제시했는데 여
기서 B는 행동(behavior)이며, P는 개인(person), 그리고 E는 환경(environment)을 의
미한다. 이 공식을 놓고 보면 인간의 행동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나타
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이론에서 학습이란 개인이 지각하는 외부의 장(환
경)과 내적, 개인적 영역의 심리적 장(개인)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지구조의 성립
또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억 속에서 항목들은 의미의 맥락에 따라 서로 관련되어 있다. 그 맥락을
잡을 수 있는 단서가 있어야 정보를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지나칠
때 그가 매우 친숙하지만 그가 누구인지 그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도무지 생각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던 중 어떤 영화를 보면서 문득 그 사람이 누구이고 그
와의 일화를 기억해 내는 경우가 있다. 이 예에서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인출하게
한 단서는 아마도 영화속전경일 것이다. 이전에 이 영화 속 전경과유사한상황에
서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했을 것이다. 이렇게 인출하는 상황이 부호화의 상
황과 유사할 때 정보를 인출하는 단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술에 취해 한 행동을 망
각했을 때 다시 그만큼 취해 그 상황이 되면 그 망각했던 행동을 다시 기억해 내게
되는 것과 같다. 이를 장 의존적 기억(field independent memory)이라고 한다. 장 의존
적 기억은 상황을 비슷하게 했을 때 기억을 잘 하는 것으로 학습상황과 동일한 상황
을 만들면 잊은 줄 알았던 정보도 잘 인출한다는 의미에서 장기기억의 영속성의 재차
확인해준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