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의 유형(객관주의적 지식관, 인격주의적 지식관, 해석학적 지식관, 사랑에 의한 지식관, 지식과 교육적 앎)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식관의 유형(객관주의적 지식관, 인격주의적 지식관, 해석학적 지식관, 사랑에 의한 지식관, 지식과 교육적 앎)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지식관의 유형

I. 객관주의적 지식관

II. 인격주의적 지식관

III. 해석학적 지식관

IV. 사랑에 의한 지식관

V. 지식과 교육적 앎

본문내용

종류의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진실된 열정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연민과 사랑에서 나온 지식이다. 팔머에 의하면 지식의 원천은 사랑이며, 지식욕의 가장 깊은 샘은 공동체를 재창조하려는 열정이다. 이와 같은 사랑에 발원한 지식은 기쁨과 책임감과 연대감을 형성하여 공동체를 줘는 끈이 된다.
우리들은 그동안 지식을 지배를 위한 수단으로 잘못 사용하여 왔다. 우리들은 인간의 정신을 분열과 소외의 극복, 상호 유기적인 연대성을 위해 사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팔머는 "안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이다"고 주장하였으며, 참된 지식은 사랑 속에 근거를 가져야 한다고 보았다.
(5) 지식과 교육적 앎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일은 추상적인 명제와 지식을 가르치는 일이다. 이 일은 불가피하고, 필수적인 것이다. 명제적인 지식을 아는 것은 방법적 지식을 아는 한 부분이다. 명제적인 지식과 방법적인 지식을 서로 분리할 수 없다. 명제적 지식을 제대로 아는 것은 명제를 다를 줄 아는 방법을 아는 것을 포함한다.
오크쇼트는 명제적인 지식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조건의 성격을 지닌 지식 : 어떤 일을 할 수 있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조건(모르스 부호에 관한 지식)
2) 준거의 성격을 지닌 지식 : 어떤 것이 올은지 판단할 수 있는 준거(문법적 지식은 행위(말)를 잘하는 것과는 무관한 지식)
3) 원리의 성격을 가진 지식 :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지식(도덕적인 중용에 관한 지식, 물리적인 지식)
오크쇼트의 이러한 분류에 의하면 우리들은 교육 현장에서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의 명제적인 지식을 가르쳐 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명제적 지식을 가르치는 일은 의미와 원리의 이해, 활동의 이해, 적용과 활용 방법의 이해, 사고방식의 이해, 삶의 양식의 이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명제적인 지식을 아느냐, 모르느냐도 아는 것에도 다양한 수준의 앎이 가능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이 학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지식은 명제적인 지식에 치우치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에서는 헌신적인 앎, 인격적인 앎도 또한 추구해야 한다. 명제적인 지식에만 치우쳐 앎과 인격이 분리된 생병이 없는 껍데기만의 지식, 삶과 무관한 사변적인 관념만으로는 살아 있는 진리를 가르치기 어렵다.
참된 교육적인 앎에는 인격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밖에 없다. 인격적인 앎이란 앎의 주체의 아는 상태, 태도, 특성을 기술하는 말이다. 우리들은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앎의 인격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여 왔다. 참된 인격적인 않은 신념에 찬 앙, 확신을 가지는 앙, 행동과 능력으로 나타나는 않이다.
오크쇼트는 "안다"는 말은 정보와 판단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앙의 판단적인 요소는 앎의 과정과는 별게의 것으로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앎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속에 심어지는 것이다. 앎의 참된 내용은 보이지 않는 판단을 길러 주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적인 않은 인격적인 판단과 덕과 성향을 가르쳐 생명력이 있는 지식, 살아 있는 지식이 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