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주의 비평] [문학文學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 - 수상한 그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주의 비평] [문학文學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 - 수상한 그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이드, 에고, 슈퍼에고
2. 프로이트 비평과 예술의 상관관계
3. 영화 ‘수상한 그녀’의 내용과 감상평
4. ‘수상한 그녀’의 여주인공 오두리의 심리주의비평 적용
1) 이드
2) 에고
3) 슈퍼에고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프로이드 자신이 사람의 마음을 이렇게 생각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프로이트 비평과 예술의 상관관계
정신의 심층 및 의식적 행동의 이면에 존재하는 무의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 정신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세운 정신분석학은 인간 이해를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인간의 마음을 연구한 학자로서 1896년 ‘정신분석학(Psycho analyse)’을 창안한다. 학문의 이론적 바탕은 문학이었는데, 그의 가설은 문학 연구에 적용되어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프로이트가 소포클레스(Sophokles)의 『오이디푸스 왕(Konig Odipus)』에서 오이디푸스콤플렉스(Odipus komplex), 빌헬름 옌젠(Wilhelm Jensen)의 『그라디바(Gradiva)』에서 꿈 이론(Traum Theorie), 도스또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ii)의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Bratya Karamazovy)』에서 인류의 살부(殺父) 심리를 확충했듯이, 문학 작품은 정신분석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프로이트가 자신의 가설을 서사를 바탕으로 하는 문학에서 구축한 이유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 분석의 매개가 된 ‘언어’와 ‘무의식에 대한 재구성된 서사 김유경, 정신분석학의 서사성: 프로이트 저작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가 언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신분석 과정에서 환자와 분석가 사이에서 매개가 되는 것은 언어로 맺어진다. 언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분석가는 언어를 매개로 분석을 시도한다. 이때 언어는 두 사람을 이어주는 연결고리이자 피분석가의 무의식을 나타내게 된다. 결국, 정신분석은 곧 언어에 대한 분석이며, 언어를 통해 피분석가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증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언어와 정신 분석의 관계는 문학이 피분석가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에서도 유효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학 작품이 바로 무의식으로 통하는 언어에 세워진 학문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무의식은 의식으로는 ‘알 수 없는’, ‘알려지지 않은’ 인간의 심층 심리로서 인간 의식적 행위의 동기를 이룬다. 일상적 행위 이면에 존재하는 이 무의식은 말, 행동, 사고를 지배하는 심적 상태로서 실언, 실수, 꿈, 공상이나 농담 등을 통해 의식의 검열을 피해 절충 형태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러한 예는 꿈과 문학의 관계에서 명료해지는데, 꿈의 언어와 문학적 언어가 가지는 근원적 유사성에서 발견된다 박찬부, 문학과 정신분석학, 외국문학 제 32권, 1992.
.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을 표출하는데, 이 때 무의식은 작품을 통해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변형된다. 이때 사용되는 수사법은 꿈의 과정과 비견될 수 있다. 꿈이 압축, 전치, 이동 등의 무의식적 과정을 통해 무의식을 의식으로 표출한다면, 작품은 은유, 환유 등의 수사적 장치와 작품 형식이라는 의식적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는 고전정신분석에서 문학 텍스트를 꿈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루었다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이란 문학을 ‘피분석가’로 대하여 작품에 투영되는 작가의 무의식적 동기, 작중 인물의 행동과 사고를 지배하는 무의식, 작품을 통해 무의식적 쾌감을 획득하는 독자의 무의식을 분석하는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정신분석학적 문학 비평은 무의식의 결과물을 분석하는 방법론적 당위성을 부여받으며, 무의식과 심급 간의 갈등 속에 빚어지는 인간 행동의 근원을 분석함으로써 타(他)방법론 보다 작가나 작중 인물의 심리 분석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3. 영화 ‘수상한 그녀’의 내용과 감상평
이 영화의 주인공인 오말순은 70대쯤 되는 할머니로서 남편과는 일찍이 사별했고, 대학교수를 하는 아들이 한명 있다. 오말순은 그러한 아들을 남들에게 항상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또한 그녀의 며느리는 아주 조용한 성격의 소유자이지만 성격이 약간 모난 편이다. 가끔씩 이런 저런 잔소리를 하는 오말순과 그녀는 관계가 그다지 원만해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손자의 이름은 반지하로서 밴드활동을 하고 20대쯤의 예쁜 손녀도 한명 있다.
오말순은 노인시설에서 어릴 때부터 알아오던 할아버지와 함께 아르바이트를 한다. 이 할아버지는 오말순의 집에서 예전에 하인으로 있던 사람이다. 원래부터 천민출신은 아니었으나 당시에 형편이 어려워서 어쩔 수 없이 그 집안의 일을 도우면서 지내게 되었다.
오말순의 며느리가 심장병으로 입원을 하게 되는데, 의사의 소견으로 그 주요 된 이유는 스트레스라고 한다. 오말순은 도저히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 결국 며느리가 몸이 좋지 않은 것이 두 사람의 갈등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솔직히 오말순은 인정이 있고 다정다감한 성격이었으나 가끔씩 잔소리가 많아서 며느리가 그것을 견디지 못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오말순에 대한 집안의 좋지 못한 말이 오가는데 그녀를 요양원에 보내는 것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이러한 말들을 우연히 듣게 된 오말순은 크게 낙심하고 밖으로 나가서 사진관에 영정사진을 찍으러 간다. 사람이 영정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이미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약간은 우울하면서도 슬픈 현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사진관의 이름은 ‘청춘사진관’으로서 뭔가 새로운 사건이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한다.
영정사진을 찍고 손자인 반지하와의 약속장소로 가는데 자신의 모습이 20대로 바뀐 것을 발견하게 된다. 당연히 손자가 알아보지 못할 것이므로 약속장소에 나가지만 만나지는 않는다. 여기서 할머니를 만나지 못하는 반지하는 가족들에게 사실을 알리자 모두 크게 걱정한다. 가족들이 할머니에게 그동안 섭섭하게 대했던 것에 대하여 생각하면서 경찰서에 실종신고를 하게 된다.
한편 20대의 꽃다운 나이로 돌아간 오말순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외모로 바꾸고자 옷을 구매하고 헤어스타일도 변신시켜준다. 그녀가 바꾼 스타일은 1950~60년대에 인기를 누렸던 미국 여배우 오드리햅번이었다. 오말순이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10.09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