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과정의 발전과정-역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교육과정의 발전과정-역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I. 미군정하의 각과 교수요목시대 : 교수요목 강조시대

II. 제1차 교육과정 개정 : 교과과정 강조시대

III. 제2차 교육과정 개정 : 생활중심 교육과정 강조시대

IV. 제3차 교육과정 개정 : 학문중심 교육과정 강조시대

V. 제4차 교육과정 개정 : 인간중심 교육과정 강조시대

VI. 제5차 교육과정 개정 : 통합교육과정 강조시대

VII. 제6차 교육과정 개정
1. 교육과정의 구성방침
2. 개정의 특징

VIII. 제7차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성격
2. 추구하는 인간상
3. 교육과정의 구성방침

본문내용

의 조정, 과목분류 체계의 합리화, 내용의 적정성 제고
4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화 : 학생의 적성, 능력, 진로에 부응하도록 함
5 교육과정 내용 및 방법 평가의 중시화 : 학습, 생활의 기초강화 및 평가의 개선
6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의 분권화 추구 : 교육부에 의해 획일적으로 운영되어왔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권을 시 도 교육청과 일선학교에 대폭 위임함으로써 지역특성과 학교 실정에 알맞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틀 마련
8. 제7차 교육과정(1997-)
이 교육과정은 초 중고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1997년에 고시하여 2000년에서부터 2004년까지 연차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초 중등학교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 중등학교에서 편성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이 교육과정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의 성격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구 개인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 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 학교교육 체제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2) 추구하는 인간상
우리나라의 교육이념(교육기본법 제2조)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 민주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
(3) 교육과정의 구성방침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방침은 다음과 같다.
-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체제를 도입한다.
-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하고 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한다.
-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한다.
-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 교육과정 평가체제를 확립하여 교육에 대한 질 관리를 강화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26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