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론의 형성 및 자유시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현대시론의 형성 및 자유시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개화기 시가 양식의 전개
2.1. 개화가사
2.2. 창가
2.3. 신체시
3. 자유시론의 형성
3.1. 상징주의의 유입 과정
3.2. 자유시론의 정착
4.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과하며, 실은 미(美)를 구하다가 얻지 못하여 추(醜), 진(眞)을 찾다가 찾지 못하여 위(僞), 선(善)을 구하다가 얻지 못하여 악(惡)을 맛보게 되며, 동경(憧憬)하게 된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선의 열렬한 동경자이기 때문에 따라서 충실한 악(惡)의 노복(奴僕)이 되며, 이상적(理想的)이기 때문에 현실적이 아니 될 수 없는, 즉 선과 악의 혼합인 절대자가 되는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그와 같은 이율배반적 모순을 안고 있으므로 <순간순간의 생활은 회한이며, 비수이며, 공포며, 암민(暗悶이)이며, 추구적·추회적 쓴 심정을 맛보는 불안>이라는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김은전, <김억의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 양상>,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84.
결국 이 글의 제목인 ‘요구와 회한’은 곧 베를렌느와 보들레르 두 시인의 미와 진신(眞神)에 대한 동경과 갈구, 즉 ‘요구’와 이 요구가 좌절되어 세속적 의미에서의 타락한 데 대한 ‘회한’을 단적으로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안서의 「요구와 회한」은 베를렌느, 보들레르 두 시인에만 한정하여 주로 그 옹호에 치중했으나 1918년 태서문예신보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 1918년 9월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주간지이며 1919년 2월 16호로 종간되었다. 약 5개월동안 16호를 내었으나 매주 정기적으로 발행되지는 못한 셈이지만 당시의 사정으로 보아서는 좋은 성적이라 볼 수 있겠다. 이 잡지의 주요내용은 창작시, 번역시, 창작소설, 번안소설, 외국문학과 문단 사정의 소개, 시론 등으로 되어있는데 가장 주목할 것은 김억등을 중심으로 한 상징주의를 수입, 수용한 것이다.
의 10호와 11호에 걸친 「프란스 詩壇」에서는 프랑스 상징주의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다수의 상징시를 번역하여 싣는 한편 자신의 창작시도 발표하고 있다.
베르렌 스테핀 마라르메 베레 릴아담들 시인의 고답파에 대한 반동운동의 세력은 데카단스(Decadence)라는 새 세체를 밧든 일파로 말미암아서 어젓다. 한데 몬저 데카단스라는 명칭의 유래를 말하면 로마제국의 문화의 꽃 시대를 지내서의 말기에 사상의 암조, 몰이상, 회의. 비고의 시대를 가르쳐 사가가 Decadence Latin고 하엇다. 근대 도학적 비평가 불국문단의 사상의 혼돈, 멸망, 퇴망을 비우서 이 명칭을 썼다. (중략)한데 데카단스파에서 얼마 아니하야 씸볼리스트(Symbolist)가 생기고 또 씸볼리스트에 버르 립리스트가 생겼다. 쇠퇴파(Decadence)라든가 상징파(Symbolist)라든가 자유시파(Versbristes)라는 것을 동일시하기도 한다. 정종진, 『한국현대시론사』, 태학사, 1984.
예문을 보면 상징주의가 고답파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다는 것과 그것이 데카당적인 것이라는 것, 상징주의의 어원과 상징파와 쇠퇴파, 자유시파를 동격으로 본다는 것, 상징주의의 개념과 그 요체, 그리고 보들레르와 베들렌느의 시풍의 변호 등 전반적인 것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소개됐음을 알 수 있다. 정종진, 위의 책.
안서의 상징주의에 대한 소개는 백대진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 안서의 감정적 상징주의 감정적 상징주의는 내밀한 음악, 가느다란 현의 떨림, 소도구의 악기 등에 연연하는 데카당파의 사맹이나 베를렌느 계열이라 할 수 있다.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일지사, 1983, pp.17.
가 지적 상징주의보다 한국 독자들에게 공감대 형성이 쉬웠기 때문이다. 더욱이 3.1운동의 좌절과 일제 치하의 상황은 상징주의가 갖고 있는 퇴폐주의적 경향을 극대화하여 수용하게 된다. 또한 백대진이 주로 상징주의 이론의 소개에 그쳤던 것에 비해 안서는 상징주의와 관련한 번역시나 창작시를 발표하게 된다. 그러나 안서가 받아들인 상징주의는 베를렌느의 시와 시학 베를렌느는 시를 주로 음악과 관련시켰다. 뉘앙스와 음악을 중시하고 이를 통해 몽롱한 인상을 창조해낸다. 최유찬,『문예사조의 이해』,실천문학사, 2003.
이 중심이었는데 이는 상징주의의 요체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안서의 시론을 중심으로 볼 때 역시 베를렌느의 음악성에 관심을 갖고 접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안서는「프란스 詩壇」을 통해 상징주의에 있어 ‘암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말라르메의 상징주의 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말라르메는 지적 상징주의의 계열에 속하므로 안서 역시 지적 상징주의의 영향도 조금은 수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상징주의란 무엇인가? 상징파 시인들은 잡기 어려운 이해를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0.2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