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3
아들러의 생애 ··································· 3
주요개념 ·········································· 4
성격의 발달 ····································· 7
성격의 유형 ····································· 9
참고문헌 ········································· 1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3
아들러의 생애 ··································· 3
주요개념 ·········································· 4
성격의 발달 ····································· 7
성격의 유형 ····································· 9
참고문헌 ········································· 11
본문내용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목차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3
아들러의 생애 ··································· 3
주요개념 ·········································· 4
성격의 발달 ····································· 7
성격의 유형 ····································· 9
참고문헌 ········································· 11
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신프로이트 학파의 한 이론으로 분류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생물학전 기원을 가진 무의식적인 원초적 본능의 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나 아들러는 사회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개인의 성격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아들러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사회적 요구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적 존재인 점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개인이 자신의 삶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점을 더욱 중시한다. 각 개인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원시적 욕구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더욱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존재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성격은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각 개인의 주관적 결정에 의해 창조되며 인간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열등에서 우월로의 상향이동을 추구하는 존재로 보고 있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5)이종복, 전남련 공저, 형설 출판사
프로이트의 이론적 입장과 대립적인 그의 이론을 살펴본다.
1. 생리학보다 사회심리학을 중요시 여겼다.
2. 인과론 보다 목적론을 강조했다.
3. 프로이트가 인간을 본능적인 생활과 문명의 수동적인 희생물이라고 본 반면에, 아들러는 인간은 선택하는 사람으로 내적 환경과 외적 환경 모두를 조정할 수 있다고 봤다.
아들러는 열등감과 우월성 추구라는 개념을 정신건강에 적용하였는데, 격려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관심을 강화하는 접근이다. 출생순위 등 클라이언트의 생활양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들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가족분위기, 가족 형태, 가족구성원의 생활양식 등에 초점을 둔 아들러의 이론은 개인상담뿐 아니라 가족상담에 유용한 지식기반이 될 수 있다. EH한 열등감은 집단 내에서 효과적으로 도전받고 극복될 수 있으며, 사회적, 정서적 문제의 근원인 잘못된 생활양식은 집단경험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므로 아들러 이론의 주요 개념은 집단사회사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2. 아들러의 생애
1870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헝가리계 유대인인 아들러는 어렸을 때 폐렴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겼고 동생 또한 병으로 죽자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1895년 의사가 되었다. 1902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한 수요모임인 \'빈 정신분석학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1912년 \'빈 정신분석학회\'에서 8명의 회원들과 탈퇴하여 \'개인심리학회\'를 결성하고 연구 활동의 결과물로 만들어낸 저서 《신경증 기질 The Neurotic Constitution》을 발표하였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빈을 중심으로 아동 정신병원 22곳을 열었으나 1932년 아들러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 폐쇄되었다. 1927년 이후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유럽과 미국에서 여러차례 대중 강연을 한 경력이 인정되어 이후 미국의 롱아일랜드 의과대학 교수직에 임명되었다. 그는 성(性)본능을 중시하는 프로이트의 설에 반대하여, 인간의 행동과 발달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존재에 보편적인 열등감 ·무력감과 이를 보상 또는 극복하려는 권력에의 의지, 즉 열등감에 대한 보상욕구라고 생각하였다. 나폴레옹은 키가 작았기 때문에 위대해졌고, 색약(色弱)은 간혹 대(大)화가를 만들어 낸다는 \'열등콤플렉스\'라는 용어를 고안해 내기도 하였다. 신경증의 생성, 가정에서의 인간관계, 경쟁을 본질로 하는 현대문화 등에 관하여서도 고찰하였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성격의 형성은 힘이나 개인적 강화욕구, 사회적 감정과의 일치욕구라는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 인간 개개인은 두 가지 요소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거부하기도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독특한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주요 저서로는 《신경쇠약의 특색에 관하여 Uber den nervo sen Charakter》(1912) 《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The Practice and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1924) 《삶의 과학 The Science of Living》《의미있는 삶 What Life Could Mean to You》《인간 본성의 이해 Understanding Human Nature》등이 있다.
3. 주요개념
그의 개인심리학이론에서는 인간에게 우연성이나 결정론은 있을 수 없다고 하면서, 각 개인의 성격은 거의 대부분이 자신의 주관적 선택에 의해 창조된다고 보았다.
(1) 인간관
①총체적 존재
각 개인을 통합된 총체, 즉 인간은 하나의 전체로서 기능하기
목차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3
아들러의 생애 ··································· 3
주요개념 ·········································· 4
성격의 발달 ····································· 7
성격의 유형 ····································· 9
참고문헌 ········································· 11
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신프로이트 학파의 한 이론으로 분류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생물학전 기원을 가진 무의식적인 원초적 본능의 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나 아들러는 사회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개인의 성격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아들러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사회적 요구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적 존재인 점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개인이 자신의 삶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점을 더욱 중시한다. 각 개인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원시적 욕구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더욱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존재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성격은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각 개인의 주관적 결정에 의해 창조되며 인간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열등에서 우월로의 상향이동을 추구하는 존재로 보고 있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5)이종복, 전남련 공저, 형설 출판사
프로이트의 이론적 입장과 대립적인 그의 이론을 살펴본다.
1. 생리학보다 사회심리학을 중요시 여겼다.
2. 인과론 보다 목적론을 강조했다.
3. 프로이트가 인간을 본능적인 생활과 문명의 수동적인 희생물이라고 본 반면에, 아들러는 인간은 선택하는 사람으로 내적 환경과 외적 환경 모두를 조정할 수 있다고 봤다.
아들러는 열등감과 우월성 추구라는 개념을 정신건강에 적용하였는데, 격려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관심을 강화하는 접근이다. 출생순위 등 클라이언트의 생활양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들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가족분위기, 가족 형태, 가족구성원의 생활양식 등에 초점을 둔 아들러의 이론은 개인상담뿐 아니라 가족상담에 유용한 지식기반이 될 수 있다. EH한 열등감은 집단 내에서 효과적으로 도전받고 극복될 수 있으며, 사회적, 정서적 문제의 근원인 잘못된 생활양식은 집단경험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므로 아들러 이론의 주요 개념은 집단사회사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2. 아들러의 생애
1870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헝가리계 유대인인 아들러는 어렸을 때 폐렴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겼고 동생 또한 병으로 죽자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1895년 의사가 되었다. 1902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한 수요모임인 \'빈 정신분석학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1912년 \'빈 정신분석학회\'에서 8명의 회원들과 탈퇴하여 \'개인심리학회\'를 결성하고 연구 활동의 결과물로 만들어낸 저서 《신경증 기질 The Neurotic Constitution》을 발표하였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빈을 중심으로 아동 정신병원 22곳을 열었으나 1932년 아들러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 폐쇄되었다. 1927년 이후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유럽과 미국에서 여러차례 대중 강연을 한 경력이 인정되어 이후 미국의 롱아일랜드 의과대학 교수직에 임명되었다. 그는 성(性)본능을 중시하는 프로이트의 설에 반대하여, 인간의 행동과 발달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존재에 보편적인 열등감 ·무력감과 이를 보상 또는 극복하려는 권력에의 의지, 즉 열등감에 대한 보상욕구라고 생각하였다. 나폴레옹은 키가 작았기 때문에 위대해졌고, 색약(色弱)은 간혹 대(大)화가를 만들어 낸다는 \'열등콤플렉스\'라는 용어를 고안해 내기도 하였다. 신경증의 생성, 가정에서의 인간관계, 경쟁을 본질로 하는 현대문화 등에 관하여서도 고찰하였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성격의 형성은 힘이나 개인적 강화욕구, 사회적 감정과의 일치욕구라는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 인간 개개인은 두 가지 요소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거부하기도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독특한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주요 저서로는 《신경쇠약의 특색에 관하여 Uber den nervo sen Charakter》(1912) 《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The Practice and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1924) 《삶의 과학 The Science of Living》《의미있는 삶 What Life Could Mean to You》《인간 본성의 이해 Understanding Human Nature》등이 있다.
3. 주요개념
그의 개인심리학이론에서는 인간에게 우연성이나 결정론은 있을 수 없다고 하면서, 각 개인의 성격은 거의 대부분이 자신의 주관적 선택에 의해 창조된다고 보았다.
(1) 인간관
①총체적 존재
각 개인을 통합된 총체, 즉 인간은 하나의 전체로서 기능하기
추천자료
아들러의 인간관 질병관 이상적 인간상 성격이론 정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뷰티플 마인드를 통한 분석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민호의 Holland, Adler, Jung의 이론에 근거한 진로 지도 및 분석
Alfred Adler 상담 및 심리치료
창조적 자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카톨릭상지대학(사이버대학)
이상 행동의 이해
나의 청소년기와 아들러(Adler)의 성격이론
인격자가 되려면
이상행동의 원인 및 유형과 이상행동에 대한 상담학적 접근
프로이트, 에릭슨, 아들러, 융, 피아제, 반두라 등 성격심리학자의 성격발달이론들 중 자신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아들러)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