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왓슨의 행동주의
2.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쏜다이크의 시행착오설
4.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강화와 벌
6. 강화스케줄
7. 거스리의 접근적 조건화설
8. 헐의 체계적 조건화설
9. 톨만의 기호형태설
10. 반듀라의 관찰학습
2.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쏜다이크의 시행착오설
4.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강화와 벌
6. 강화스케줄
7. 거스리의 접근적 조건화설
8. 헐의 체계적 조건화설
9. 톨만의 기호형태설
10. 반듀라의 관찰학습
본문내용
싶다는 욕구가 줄어들게 된다. 즉, 갈증이 났을 경우 물을 먹는 것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강화가 이루어지면 갈증에 대한 욕구가 감소된다. 즉, 강화는 욕구를 감소시키기 위한 과정에 있는 것이다.
9. 톨만의 기호형태설
톨만의 기호형태설은 목표지향적 행동주의로 gestalt이론에 토대를 두고 만들어진 이론이다. 톨만은 학습과 강화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쥐 실험을 하였다.
ㆍ톨만의 실험 : 톨만은 A집단의 쥐와 B집단의 쥐를 분류하고 A집단의 쥐에게는 먹이를 주어 행동 강화를 유발한 반면, B집단의 쥐에게는 과제를 수행해도 먹이를 주지 않았다. 이후, A집단과 B집단의 과제수행능력을 보았더니 A집단의 쥐는 과제를 수행한 반면, B집단의 쥐는 과제를 수행하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톨만은 B집단 쥐에게도 먹이를 주었는데 B집단의 과제수행능력이 A집단의 쥐들과 금세 같아졌다.
ㆍ톨만의 실험 : 톨만은 A쥐에게 먹이를 주면서 미로찾기 실험을 시키며 B쥐는 A쥐가 미로찾기를 하는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높은 곳에서 이를 관찰하도록 시켰다. 이후, 톨만은 B쥐에게 미로찾기 실험을 시행하였더니 B쥐는 미로를 단지 어슬렁거렸다. 그러고 나서 톨만은 B쥐에게 먹이를 통해 강화하면서 실험을 하였는데 이 때 B쥐는 목적지를 쉽게 찾아냈다.
톨만은 이러한 실험들을 통해 B쥐는 이미 학습이 되었지만, 보상이 주어지지 않아 학습된 행동을 하지 않았을 뿐이라며, 보상은 단지 학습된 행동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보고 행동주의에서 주장한 보상의 역할을 수정하였다. 즉,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을 위해 강화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갖지만, Tolman은 강화물이 없어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로지 보상(강화물)은 학습한 내용을 표출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10. 반듀라의 관찰학습
반듀라는 자신에게 직접적인 강화가 존재하지 않아도 관찰을 통한 모방을 통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대리학습을 강조하였다. 대리학습이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학습을 말한다. 모방학습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의집중 → 파지과정 → 운동재생 과정 → 동기화
먼저, 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대해 주의집중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대리적 강화가 일어난다. 이후 모델의 행동을 기억ㆍ파지하고 파지한 모델의 행동을 행하기 적합한 상황이 올 경우 학습자는 모델을 통해 동기화 받은 행동을 실행하게 된다. 이후, 행동에 대한 강화를 받은 경우 행동 표출에 대한 동기와 욕구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이 어떤 사람이 꼬맹이한테 돈을 뜯어서 그것으로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 것을 보았다고 하자. 이를 본 아동은 대리적 강화를 받게 되며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을 때, 다른 꼬맹이한테 돈을 뺏어서 아이스크림을 사먹게 된다. 즉, 돈을 뺏어서 아이스크림을 사먹은 후에 이 행동에 대해 동기화가 이루어지며 앞으로 그 아동은 꼬마에게 돈을 빼앗아 아이스크림을 사먹는 것을 반복할 것이다.
9. 톨만의 기호형태설
톨만의 기호형태설은 목표지향적 행동주의로 gestalt이론에 토대를 두고 만들어진 이론이다. 톨만은 학습과 강화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쥐 실험을 하였다.
ㆍ톨만의 실험 : 톨만은 A집단의 쥐와 B집단의 쥐를 분류하고 A집단의 쥐에게는 먹이를 주어 행동 강화를 유발한 반면, B집단의 쥐에게는 과제를 수행해도 먹이를 주지 않았다. 이후, A집단과 B집단의 과제수행능력을 보았더니 A집단의 쥐는 과제를 수행한 반면, B집단의 쥐는 과제를 수행하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톨만은 B집단 쥐에게도 먹이를 주었는데 B집단의 과제수행능력이 A집단의 쥐들과 금세 같아졌다.
ㆍ톨만의 실험 : 톨만은 A쥐에게 먹이를 주면서 미로찾기 실험을 시키며 B쥐는 A쥐가 미로찾기를 하는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높은 곳에서 이를 관찰하도록 시켰다. 이후, 톨만은 B쥐에게 미로찾기 실험을 시행하였더니 B쥐는 미로를 단지 어슬렁거렸다. 그러고 나서 톨만은 B쥐에게 먹이를 통해 강화하면서 실험을 하였는데 이 때 B쥐는 목적지를 쉽게 찾아냈다.
톨만은 이러한 실험들을 통해 B쥐는 이미 학습이 되었지만, 보상이 주어지지 않아 학습된 행동을 하지 않았을 뿐이라며, 보상은 단지 학습된 행동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보고 행동주의에서 주장한 보상의 역할을 수정하였다. 즉,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을 위해 강화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갖지만, Tolman은 강화물이 없어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로지 보상(강화물)은 학습한 내용을 표출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10. 반듀라의 관찰학습
반듀라는 자신에게 직접적인 강화가 존재하지 않아도 관찰을 통한 모방을 통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대리학습을 강조하였다. 대리학습이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학습을 말한다. 모방학습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의집중 → 파지과정 → 운동재생 과정 → 동기화
먼저, 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대해 주의집중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대리적 강화가 일어난다. 이후 모델의 행동을 기억ㆍ파지하고 파지한 모델의 행동을 행하기 적합한 상황이 올 경우 학습자는 모델을 통해 동기화 받은 행동을 실행하게 된다. 이후, 행동에 대한 강화를 받은 경우 행동 표출에 대한 동기와 욕구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이 어떤 사람이 꼬맹이한테 돈을 뜯어서 그것으로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 것을 보았다고 하자. 이를 본 아동은 대리적 강화를 받게 되며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을 때, 다른 꼬맹이한테 돈을 뺏어서 아이스크림을 사먹게 된다. 즉, 돈을 뺏어서 아이스크림을 사먹은 후에 이 행동에 대해 동기화가 이루어지며 앞으로 그 아동은 꼬마에게 돈을 빼앗아 아이스크림을 사먹는 것을 반복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민반응의 종류 및 특성
[학습동기][학습동기 유발][학습동기 모델][동기이론][동기이론][ARCS이론]학습동기 유발과 ...
[행동수정][행동수정이론][행동수정기법]행동수정 기법 고찰(행동수정기법, 강화에 의한 행동...
문학교육-반응중심유아문학활동(만점받음)
[남성][여성][남성과 여성 비교][성욕차이][성생리차이][피임방법][성반응][성심리양상]남성...
[증후군]인터넷중독증후군, VDT증후군, 새집증후군,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과민성대...
[최면][최면술][최면(최면술) 반응][최면(최면술) 장점][최면(최면술)과 텔레파시]최면(최면...
광형태 발생반응에서의 피토크롬(phytochrome) 광가역성과 역할
면역반응을 이용한 항암치료방법이란?
[소비자태도][인식적 반응접근법]소비자태도와 관여도, 소비자태도의 형성, 소비자태도와 광...
9.수용자반응비평!
[영아기 애착발달] 영아기 애착형성단계, 영아의 애착반응, 애착발달이론, 영아기 애착반응, ...
1. 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4가지 과민반응별로 발생기전과 사례 2...
각성과 오르가즘의 생리학(성교시의 생리적 반응, 성반응성과 노화, 성기능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