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주장이 지나치게 단순한 것이라는 점이다. 종교개혁의 교리는 분명히 신학자들에게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그것이 퍼져나가는 과정이 신학자와 저술가들에 의한 확산, 그에 의한 법제화, 그리고 법제화를 통한 삶에서의 구체적 실체화로 정리되어야하는 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예를 들어 종교개혁이 진행되던 시기에 가톨릭을 믿는 도시에도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 해당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이 법제화를 통해서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들은 다른 경로를 통해 자신들의 삶 속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을 받아들였으며 개종 이후에 그것을 자신의 국가가 정치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들려고 하는 것이다. 즉, 저자가 상정하는 과정에 따라 종교개혁이 이루어졌다고만 보는 것은 종교개혁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주장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 책 「프로테스탄티즘: 혁명의 태동」은 종교개혁이 어떻게 신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결국 사람들의 삶 속에까지 들어갔는지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그 설명 틀이나 몇몇 주장들에 대해서 의문점이 생기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저자의 서술은 16C 종교개혁 시기에 대한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추천자료
서양의 과학전통과 기독교
프랑스의 사회복지 발달사 총정리
소설속에서 보여지는 여성상-한국문학
헤겔의 변증법과 국가주의
앨빈토플러의 제3의물결을 읽고 요약, 감상
부의 미래(1~2부 내용 요약)
귀스타브 쿠르베
현대교회사( 후스토 L. 곤잘레스) 요약 및 평가
2007년 1학기 관리회계원리 B형(선택적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개념)
의료사회복지역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 과정 자료
프랑스의 시민 교육
[나노기술, NT]나노기술(NT)의 의의, 나노기술(NT)의 분야, 나노기술(NT)의 전략적 육성, 나...
[전통윤리와 윤리의 변동] 사회변동과 인간관계, 전통윤리와 인간관계(동양윤리와 서양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