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의 관점과 주요개념,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경험적 가족치료기법(방법), 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의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의 관점과 주요개념,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경험적 가족치료기법(방법), 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의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험적 가족치료

I. 치료이론의 관점 및 주요 개념

II. 정상가족과 역기능 가족
1. 정상가족
2. 역기능 가족

III.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1. 치료목표
2. 치료과정

IV. 치료기법
1. 가족조각기법
2. 가족 미술치료
3. 역할극
4. 빙산 탐색

V.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술치료
가족 미술치료는 서로 연결된 일련의 그림을 그리도록 가족들에게 지시한 후에 전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통일된 그림으로 완성하게 하는 치료기법이다.
또는 가족원들에게 가족으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해 그림을 그리게 하거나 두 세 가지 측면의 가족 그림이나 합작 벽화를 그리게 하기도 한다.
(3) 역할극
이 기법은 경험적 치료자들이 좋아하는 기법이다. 역할극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느낌을 노출하는 것을 전제한다. 과거의 사건이나 바람 또는 미래 사건에 대한 감정을 직접 표현하게 함으로써 가족원에게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4) 빙산 탐색
사티어는 정서적 경험이 치료적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라고 믿고, 정서적 경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족조각, 안무, 은유, 재정의, 유머, 접촉, 의사소통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특히 그녀는 부정적인 문제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재정의에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티어는 가족 규칙과 의사소통 유형 뒤에 숨겨 있는 감정과 개인의 느낌, 기대, 열망, 자아, 생명력 등을 템산 탐색 기법을 사용하여 사정하고 개입하였다. 사티어는 삶에 대한 강한 사랑과 깊은 감사, 변화와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갖고, 빙산 탐색 과정을 통하여 과거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패턴 대신에 일치형 패턴으로 변화하며 개인적인 성장과 건강한 가족관계를 수립하도록 도왔다.
5)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경험적 가족치료자들은 방어기제를 줄이고 정서적 경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매우 적극적이다. 이 치료에서는 이해보다는 경험을 강조하고 주로 감성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대부분의 치료자들은 체계를 중시하였지만 체계 내에서의 개인을 역시 중시하였다. 그들은 풍부한 감수성 증진과 경험의 확대, 경험의 공유 등을 치료의 핵심적 목표로 삼았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실존주의, 인본주의, 현상학 이론 등에 바탕을 두었지만 이론적 체계가 미흡하고, 기법도 다른 치료방법에서 도입한 것들이다. 또 다른 치료 모델과 비교할 때 경험적 치료 모델의 개념이 추상적이고 치료의 효과측정이 쉽지 않으며, 기법이 창의적이고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므로 효과 측정이 더욱 어려운 과제이다.
그러나 실제 미국의 가족치료자들은 물론 우리나라 가족치료자들도 이 모델을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를 실시하려면 많은 훈련과 자질의 연마가 필요하고 문화적 배경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2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