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독일 음식의 특징
(1) 독일 고유의 특징
(2) 지역간 특징
2. 독일의 하루식사는 어떨까
(1) 아침식사
(2) 점심식사
(3) 저녁식사
3. 독일의 식사예절 및 식사법
(1) 공통적인 식사예절 및 식사법
(2) 가정집
(3) 레스토랑
4. 독일의 음식종류
5. 우리나라에 있는 독일 음식점
1. 독일 음식의 특징
(1) 독일 고유의 특징
(2) 지역간 특징
2. 독일의 하루식사는 어떨까
(1) 아침식사
(2) 점심식사
(3) 저녁식사
3. 독일의 식사예절 및 식사법
(1) 공통적인 식사예절 및 식사법
(2) 가정집
(3) 레스토랑
4. 독일의 음식종류
5. 우리나라에 있는 독일 음식점
본문내용
오븐에 구운 슈바이네학세, 식초와 소금 그리고 향료와 함께 삶은 아이스바인(Eisbein)도 대중적인 음식이다. 독일은 소시지의 종류만도 천 여종이 넘는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뉘른베르크 소시지, 물에 삶아 먹는 복(Bock) 소시지, 소 간 소시지, 그릴 판에 구워 먹는 크라카우어 소시지 등이 있다. 한국에서 유명한 프랑크 소시지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Frankfurt)라는 도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대표적인 페스트푸드인 햄버거(hamburger)는 그 유래가 제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후 점령군 미군이 함부르크(hamburg)에서 빵 사이에 \"함부르크 스테이크\"라는 \"함부르크 항구에서 일하는 선원들을 위하여 만들어진 값싼 음식\"을 끼워 먹던 것이 유래가 된 것으로 미군이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대중들에게 널리 퍼져 대중적인 음식이 되었다.
아이스바인을 먹을 때는 자우어크라우트(Sauerkraut)가 항상 곁들여 지는데, 이것은 양배추를 소금과 캐러웨이(Kümmel)를 비롯한 몇가지 향료에 절여서 발효시킨 것이다.
영어권 국가에서 독일인의 별칭으로 \'Kraut\'라는 말을 사용할 만큼 독일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빵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일의 음식은 매우 훌륭하다. 빵을 예로 든다면 매우 전통적이다. 하지만 유럽의 어느 나라에서도 독일 빵보다 더 훌륭한 것을 찾아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훌륭한 빵을 맛본다면 유럽인들이 어떻게 오직 빵 만으로 그렇게 오랜 동안 잘 살 수 있었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다. 검고, 무겁지만, 씹는 맛이 일품이고, 영양가도 많은데다 향기도 뛰어난 이 빵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식단이다. 만일 이에 대해 의심을 가지고 있다면 한 번 맛보기 바란다. 특히 약간 신 맛과 향이 나는 묵직한 검은 호밀 빵은 천연 효모와 오랜 숙성과정과 약한 불에서 장시간 구워짐으로서 탄생한다. 가장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빵은 너트가 들어간 스톨렌이다. 크리스마스에 많이 먹었던 이 빵 반죽은 이스트로 발효를 시키고, 다량의 너트와 설탕에 절인 과일이 들어가 영양 덩어리이고 독특한 풍미를 갖는다. 독일의 모든 지역들은 각기 고유한 스톨렌 제조법이 있는데, 가장 인상적인 것은 양귀비 씨가 들어있는 바이에른 지역의 몬쿠헌이다.
독일인들의 아침은 주로 빵과 커피를 마시고 점심은 간단하게 그리고 저녁은 푸짐하게 먹는 편이다. 바쁜 아침, 일과시간의 점심보다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은 저녁을 잘 먹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닌가 한다. 아침에 많이 먹는 빵으로는 주먹만한 브뢰첸(Broechen)이 있는데, 프랑스의 바게트처럼 겉은 딱딱하지만, 밀가루, 효모와 물 이외에는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호밀빵 (rye bread) 흑빵이라고도 불리는 호밀빵은 독일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빵이다. 거칠다 싶을 정도로 맛이 담백하며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 대체로 내장으로 만든 소시지처럼 독특한 훈연 육류, 진한 풍미의 치즈와 잘 어울린다. 대개는 부피가 커 슬라이스 하여 사용한다. 라우겐 (laugen)은 짭짤하고 쫄깃한 빵이 일품인 독일 빵. 씹을수록 고소한 라우겐에 진한 맛의 살라미와 피클, 양파, 토마토를 듬뿍 넣어 샌드위치를 만들면 아주 맛있다.
독일식 케이크는 쿠헨(Kuchen)이라고 한다. 하지만 오후 3시쯤 커피나 차와 함께 먹는 쿠헨은 비만의 주범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수프
독일 음식 중 빵 만큼이나 유명한 것은 수프이다.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감자 스프Kartoffelsuppe를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야채와 고기가 들어간 스프들이 있다. (렌즈콩 스프, 굴라쉬스프Gulaschsuppe 등) 그러나 가장 독특한 스프는 함부르크 지방의 장어스프Aalsuppe이다. 독일하면 일반적으로 맥주와 소시지의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이렇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들은 이 지역에서 배고픔의 고통을 인내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면 이는 오산이다. 독일인들은 야채와 과일에 대해 편집적인 집착을 보인다. 야채 중 양배추Kraut 또는 배추Kohl, 아스파라거스를 많이 먹는다. 독일인에게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는 한국인에게 김치와도 같다.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이 음식은 우선 양배추를 채썰어서 소금에 절인 다음, 후추, 식초, 설탕과 같은 양념을 넣고 달콤하면서 시큼한 맛일 날 때까지 2-3일간 발효시킨 것이다. 이외에도 붉은 양배추에 양파와사과를 넣고 포도주 소스와 함께 약한 불에 살짝 튀긴 다음 끓인 요리, 버터를 발라 구운 버섯 요리 등이 많이 먹는 음식이다. 아스파라거스 수확이 절정기인 5월에 독일 식당들의 상당수는 수 십 가지 아스파라거스 요리를 특선으로 제공하고 있다.
*치즈
독일인들은 다른 유럽인들과 같이 치즈의 소비가 많다. 빵에 치츠를 발라 먹는 것은 대중적이다. 하지만 독일의 치즈가 유럽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독일의 치즈는 별로 없었다.
대표적으로 독일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크라우터 라고 불리는 치즈이다. 이 치즈는 풀잎을 넣은 치즈란 뜻이다. 15세기 중엽부터의 전통을 지닌 스위스의 샤브치거와 같은 종류이며, 별명을 초록치즈라고 한다. 이 치즈는 달콤한 방향이 있는 클로버 잎의 분말을 넣어서 담록색이고 예리한 자극성과 상쾌한 향기를 지닌다. 오랫동안 압착하면서 발효시키기 때문에 단단하여 강판에 갈아서 쓰는 데에 적합하다.
*감자요리
독일인들에게 건강식이 있다면 이는 바로 감자이다. 한국에서의 무처럼 독일에서는 이 감자를 가지고 셀 수 없이 다양한 음식을 만들고 있다. 다양한 감자전과 감자 경단이 있는데, 특히 감자경단은 독일을 대표하는 음식 중의 하나인 사우어브라텐Sauerbraten과 함께 먹는다. 사우어브라텐은 말 그대로 시큼한 맛이 나는 구운 소고기인데, 거의 나흘 동안 붉은 포도주에 담궜다가 약한 불에 천천히 익혀낸 음식이다. 이외의 또 다른 감자음식은 감자 팬케익인 카토펠푸퍼른Kartoffelpuppern와 감자샐러드Kartoffelsalad가 있다. 감자샐러드는 따끈하게 나오는데, 주로 베이컨과 함께 먹는다. 주식 요리에 감자가 같이 나오지 않았다면, 거의 대부분 슈페
아이스바인을 먹을 때는 자우어크라우트(Sauerkraut)가 항상 곁들여 지는데, 이것은 양배추를 소금과 캐러웨이(Kümmel)를 비롯한 몇가지 향료에 절여서 발효시킨 것이다.
영어권 국가에서 독일인의 별칭으로 \'Kraut\'라는 말을 사용할 만큼 독일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빵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일의 음식은 매우 훌륭하다. 빵을 예로 든다면 매우 전통적이다. 하지만 유럽의 어느 나라에서도 독일 빵보다 더 훌륭한 것을 찾아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훌륭한 빵을 맛본다면 유럽인들이 어떻게 오직 빵 만으로 그렇게 오랜 동안 잘 살 수 있었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다. 검고, 무겁지만, 씹는 맛이 일품이고, 영양가도 많은데다 향기도 뛰어난 이 빵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식단이다. 만일 이에 대해 의심을 가지고 있다면 한 번 맛보기 바란다. 특히 약간 신 맛과 향이 나는 묵직한 검은 호밀 빵은 천연 효모와 오랜 숙성과정과 약한 불에서 장시간 구워짐으로서 탄생한다. 가장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빵은 너트가 들어간 스톨렌이다. 크리스마스에 많이 먹었던 이 빵 반죽은 이스트로 발효를 시키고, 다량의 너트와 설탕에 절인 과일이 들어가 영양 덩어리이고 독특한 풍미를 갖는다. 독일의 모든 지역들은 각기 고유한 스톨렌 제조법이 있는데, 가장 인상적인 것은 양귀비 씨가 들어있는 바이에른 지역의 몬쿠헌이다.
독일인들의 아침은 주로 빵과 커피를 마시고 점심은 간단하게 그리고 저녁은 푸짐하게 먹는 편이다. 바쁜 아침, 일과시간의 점심보다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은 저녁을 잘 먹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닌가 한다. 아침에 많이 먹는 빵으로는 주먹만한 브뢰첸(Broechen)이 있는데, 프랑스의 바게트처럼 겉은 딱딱하지만, 밀가루, 효모와 물 이외에는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호밀빵 (rye bread) 흑빵이라고도 불리는 호밀빵은 독일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빵이다. 거칠다 싶을 정도로 맛이 담백하며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 대체로 내장으로 만든 소시지처럼 독특한 훈연 육류, 진한 풍미의 치즈와 잘 어울린다. 대개는 부피가 커 슬라이스 하여 사용한다. 라우겐 (laugen)은 짭짤하고 쫄깃한 빵이 일품인 독일 빵. 씹을수록 고소한 라우겐에 진한 맛의 살라미와 피클, 양파, 토마토를 듬뿍 넣어 샌드위치를 만들면 아주 맛있다.
독일식 케이크는 쿠헨(Kuchen)이라고 한다. 하지만 오후 3시쯤 커피나 차와 함께 먹는 쿠헨은 비만의 주범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수프
독일 음식 중 빵 만큼이나 유명한 것은 수프이다.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감자 스프Kartoffelsuppe를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야채와 고기가 들어간 스프들이 있다. (렌즈콩 스프, 굴라쉬스프Gulaschsuppe 등) 그러나 가장 독특한 스프는 함부르크 지방의 장어스프Aalsuppe이다. 독일하면 일반적으로 맥주와 소시지의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이렇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들은 이 지역에서 배고픔의 고통을 인내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면 이는 오산이다. 독일인들은 야채와 과일에 대해 편집적인 집착을 보인다. 야채 중 양배추Kraut 또는 배추Kohl, 아스파라거스를 많이 먹는다. 독일인에게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는 한국인에게 김치와도 같다.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이 음식은 우선 양배추를 채썰어서 소금에 절인 다음, 후추, 식초, 설탕과 같은 양념을 넣고 달콤하면서 시큼한 맛일 날 때까지 2-3일간 발효시킨 것이다. 이외에도 붉은 양배추에 양파와사과를 넣고 포도주 소스와 함께 약한 불에 살짝 튀긴 다음 끓인 요리, 버터를 발라 구운 버섯 요리 등이 많이 먹는 음식이다. 아스파라거스 수확이 절정기인 5월에 독일 식당들의 상당수는 수 십 가지 아스파라거스 요리를 특선으로 제공하고 있다.
*치즈
독일인들은 다른 유럽인들과 같이 치즈의 소비가 많다. 빵에 치츠를 발라 먹는 것은 대중적이다. 하지만 독일의 치즈가 유럽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독일의 치즈는 별로 없었다.
대표적으로 독일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크라우터 라고 불리는 치즈이다. 이 치즈는 풀잎을 넣은 치즈란 뜻이다. 15세기 중엽부터의 전통을 지닌 스위스의 샤브치거와 같은 종류이며, 별명을 초록치즈라고 한다. 이 치즈는 달콤한 방향이 있는 클로버 잎의 분말을 넣어서 담록색이고 예리한 자극성과 상쾌한 향기를 지닌다. 오랫동안 압착하면서 발효시키기 때문에 단단하여 강판에 갈아서 쓰는 데에 적합하다.
*감자요리
독일인들에게 건강식이 있다면 이는 바로 감자이다. 한국에서의 무처럼 독일에서는 이 감자를 가지고 셀 수 없이 다양한 음식을 만들고 있다. 다양한 감자전과 감자 경단이 있는데, 특히 감자경단은 독일을 대표하는 음식 중의 하나인 사우어브라텐Sauerbraten과 함께 먹는다. 사우어브라텐은 말 그대로 시큼한 맛이 나는 구운 소고기인데, 거의 나흘 동안 붉은 포도주에 담궜다가 약한 불에 천천히 익혀낸 음식이다. 이외의 또 다른 감자음식은 감자 팬케익인 카토펠푸퍼른Kartoffelpuppern와 감자샐러드Kartoffelsalad가 있다. 감자샐러드는 따끈하게 나오는데, 주로 베이컨과 함께 먹는다. 주식 요리에 감자가 같이 나오지 않았다면, 거의 대부분 슈페
키워드
추천자료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산업혁명 전개 및 특징
독일 영방국가와 시기별 영방국가의 특징
영국, 미국, 독일의 관료제 특징
파시즘[fascism]의 정의 배경과 이탈리아, 독일의 파시즘 전개 및 파시즘 이데올로기의 특징
[독일][발도르프 교육]독일 발도르프 교육에 관한 심층 고찰(슈타이너의 교육사상, 발도르프 ...
[산재보험][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독일 산재보험][미국 산업재해보상보험][산업재해][산재...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도래와 사회변화, 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정...
[장학][장학활동][교내장학][자율장학]장학(장학활동, 교내장학, 자율장학)의 특징, 실천방법...
[모차르트음악][모짜르트음악]모짜르트(모차르트)의 성장과 천재성, 모짜르트(모차르트)의 생...
[전자결제]전자결제(전자결제시스템)의 등장, 전자결제(전자결제시스템)의 특징과 유형, 전자...
[문법][전통문법][규범문법][구조문법][역사비교문법]문법의 개념, 문법의 특징, 문법의 범주...
독일의 지방자치 발달(지방제도)과 특징
독일 르네상스 미술 탄생배경과 개념, 미술의 흐름, 특징, 성격, 작가, 역사, 대표작품들, 분...
미국, 독일, 일본광고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