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중국 문화‧문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크로드,중국 문화‧문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중국 문화‧문명
  1)한문화권
2, 실크로드 어원
3, 실크로드의 중요성
4, 길의 종류
Ⅱ 본론
1, 국제교역의장 장안
1) 장안의 3대종교 유적
2, 중국의 불교
3, 타클라마칸 사막
1)사막의 배 낙타
2)캬라반
4.바닷길
1)바닷길의 시초
2)바닷길의 발달
3)현대의 바닷길
Ⅲ 결론
1. 경제교류 중심 군사 요충지로의 변화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 중 일부가 멀리 극동지역에까지 교역되어 한국, 중국, 일본 등지의 고분에서 출토되거나 귀중품(貴重品) 혹은 위세품(威勢品)으로 보관되는 유리제품
로만글라스란 유리제품의 주물을 만드는 형식으로 하나하나 모래로 형틀을 만들고 그 속에 녹은 유리물을 부어 만듬
제조법 특성상 수량도 적고 크기도 작았지만 기원 1~2세기경부터 유리 그읏을 만드는 혁명적인 방법이 개발되었다. 현대와 같은 파이프 끝에서 불어서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크고 대량의 유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그 생산지역이 레바논 남부와 이집의의 알렉산드리아 등이였다. 중국의 광동 부근의 고분에서 초기의 로만글라스가 발굴되었는데 이는 그때에 이미 로마와 중국과의 거래가 성립 되어 있었다는 증거이다. 이런 유리 제품들은 중구그이 남해안에 국한되지 않고 필리핀 군도에서도 발견되어 로마 상인은 중국의 남해안 뿐만 아니고 동남아의 여러 섬에도 기항했었다는 중거일 것이다.
후한 이후에도 이러한 해상 교통은 더욱 더 활기를 띠게 되었고 나중에는 로마나 인도, 페르시아 무역선이 중국에 오는 것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역선이 적극적으로 동남아시아나 인도방면으로 출범해 나가는 시대가 되었다. 9세기경이 되어 동서의 교역로는 육로로부터 해로로 옮겨지고 만다. 한편 지금까지 무역품의 주종을 이루던 비단도 중국의 도자기가 주종 상품이 되어 이것을 싣고 중국의 무역선은 이때부터 16~17세기까지 동으로는 한국,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을 누볐고 서쪽으로는 인도, 페르시아, 아프리카 까지도 왕래하게 되었는데 가장 멀리까지 간 것으로는 카이로까지 라고 한다.
2)현대의 바닷길
중국은 2001년 WTO 가입 이후 대외수출 중심으로 가파른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는 세계의 양대 시장인 미국과 유럽의 구매력을 약화시키면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가시화된다. 대외 시장의 악화와 내수시장 확대로 인해 중국은 신상태(New Normal)를 선언하고 경제의 저성장을 인정하고 내수시장 확장과 정부기관의 권한 축소를 위한 개혁을 단행한다. 중국은 그동안 비축해두었던 경제력을 바탕으로 중국 국내개발과 더불어 주변국가와의 연결 프로젝트를 구상했다.
그중 하나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개발 지역에 포함되었다. 즉 중국 중서부, 중앙아시아, 유럽을 경제권역으로 하는 ‘육상실크로드 경제벨트’와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의 바닷길을 연결하는 ‘해상실크로드’를 통해 아시아 경제 공동체를 건설하자는 구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카자흐스탄 방문 때 처음 주창했다.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은 ‘일대일로’ 구상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한 것이다.
一帶一路 란 육상의 실크로드 경제지대(Silk Road Economic Belt)와 해상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대륙을 도로와 바닷길로 연결, 인근 일대를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세계 60개국 30억 명의 인구가 그 영향권 안에 들어왔다. 일대일로의 진정한 의미는 중국의 물류 ‘중국(中國)’화이다.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는 모든 길이 중국으로 통하게 만드는 전략이다. 중국과 주변국가 간에 철로, 도로, 석유 파이프, 전기 등이 연결될 계획이며 항만 및 공항 건설로 새로운 노선을 개설할 계획도 마련하고 있다.
Ⅲ 결론
1. 경제교류 중심 군사 요충지로의 변화
과거의 실크로드는 육로를 통한 문화전파의 중심이었다. 문화부터 시작하여 종교, 학문, 예술 까지도 전파되었었다. 현재의 실크로드는 해로를 통한 경제교류중심과 군사요충지로의 변화하였다.
중국은 에너지의 60%를 중동에서 수입한다. 석유의 80%는 인도양과 말라카 해협을 통과, 남중국해로 이어지는 바닷길에 의존하고 있다. 이 해로가 중국의 에너지 생명선이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육로를 통하게 되면 중국과 중동이 곧바로 연결된다. 시간과 자금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안보도 확보할 수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의 숨은뜻은.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는 중국과 유럽의 양끝에서 수렴하는 평행선이 아니다. 상호간에 다시 연결되어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그 네트워크 중심에 차항출해(借港出海: 타국의 항만을 빌려 해양 진출) 전략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중국 신장위구르지역과 파키스탄 과다르항을 들 수 있다. 파키스탄 과다르항은 세계 석유 수출로인 호르므즈 해협과 약 400km 거리로 인접한 항만이다. 원래 어촌이었던 이곳은 중국이 투자하면서 항만으로 탈바꿈한 지역이다. 중국은 이곳의 항만 투자와 더불어 중국 신장 위구르지역과의 석유수송로를 비롯한 인프라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중국은 타국의 항만을 개발 및 원조해주고 그 항만까지 연결되는 인프라를 건설하며 인도양에 진출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건설하였다 남중국해 8곳에 인공섬 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은 이 인공섬으로 근방의 영유권 주장에 힘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 인공섬의 용도는 무역로임과 동시에 3.5km의 활주로를 만들며 군사요충지로의 기능도 하고 있다.
남중국해 인공섬 위성사진
<그림8>
<참고문헌>
1. 杜文玉 林興霞(編),정애란 김영환 옮김, 『그림으로 설명하는 중국과 외국의 문화교류』, 길상득, 2010,
2. 김성곤, 『실크로드가 남긴 역사세계를 찾아1, 2』, 이상건축, 1999
3. 이상엽, 『땅과 바다와 철도로 가는 新실크로드1, 2』, 한국언론인협회, 2006
4. 곽귀순, 『실크로드의 어제와 오늘』 중앙교육진흥연구소, 고려서적주식회사, 1984
5. 신 실크로드3편 초원의 길 바람의 민족, KBS다큐
6. 실크로드-중국의 비단길, NHK
7. KOTRA GlobalWindow(www.globalwindow.org) 2015. 3. 4 “‘일대일로’ 추진현황 및 기대 효과”
8. http://changzhu.tistory.com/257 중국 리포트 : 일대일로 배경과 발전 전망
9.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키워드

  • 가격6,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2.03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