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일의 교육 (8주차)
독일의 교육(9주차)
독일영상문화 (10주차)
독일의 음악 (11주차)
독일의 음악 (12주차)
독일의 대중매체 (13주차)
유럽연합과 독일 (14주차)
독일의 교육(9주차)
독일영상문화 (10주차)
독일의 음악 (11주차)
독일의 음악 (12주차)
독일의 대중매체 (13주차)
유럽연합과 독일 (14주차)
본문내용
대중매체 (13주차)
● 정보사회에서 대중매체의 중요성
● 언론, 출판의 자유 : 검열 X (기본법5조1항)
● 다양한 매체 : 신문 및 잡지는 약 2600개, 230여개의 라디오, 30여개의 TV방송국
● 연방정부의 언론 정보청은 정부와 대중의 중개자 역할
1. 통신사
● 독일 국내 뉴스를 제공.
● 독일프레스중개소(DPA) : 대표적 통신사, 1949 함부르크 창설, 독일의 전 신문에 뉴스서비스와 정보 전달.
● ADN(구동독의 국영통신사), AP(미국 연합 통신사), 로이터(rtr런던), AFP(프랑스)
●**통일후 DPA가 ADN을 통합
2.일간지/신문/주간
● 독일인은 신문 애독자, 상당수가 정기 구독자
● 현재 약 430종 이상의 일간지, 60종 이상의 주간지, 2만 이상의 각종 잡지가 발간
● 지방 일간 신문 :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역 일간지 발간
2.1 신문사의 집중화와 대형 출판사
● 1950년대 중반부터 경제적, 기술적 우위의 신문사들이 지방 신문사들 잠식. 기술 발전으로 저가로 신문생산 가능
● 대형 출판사들의 시장 독점화 : 일간지 최대 출판사 “악셀 슈프링어(Axel Springer)”, 대중 잡지출판사 “바우어, 그루너야르, 부르다” 그룹
→ 출판 시장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
But 언론재벌의 독점화 우려
●**베어텔스만, 키르히, 슈프링어 그룹은 방송재벌 : 방송 장악의 폐단
2.2 일간지
● 전국4대 일간지(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 Zeitung)
1) 남부독일 일간지 (SZ)
뮌헨에서 발간, 진보적인(좌파)성향, 지식인층이 주 독자층, 정확한 보도와 평론으로 호평
2) 프랑크푸르트 일간지 (FAZ)
● 프랑크푸르트에서 발행, 자유주의적 중도보수 노선, 세계10대신문
● 폭넓은 외신기사와 주요 경제정보기사
● 교양지식인이 애독 (문화면이 상세히 잘 대 있음)
3) 디 벨트(Die Welt)
● Axel Springer가 발간, ‘세계’ 라는 뜻
● 진보와 보수 성향 겸비 : 전문적인 개별분야 변혁에 진보적 (사회적 시장경제 우호)
4) 프랑크푸르트 룬드샤우(Frankfurter Rundschau, FR)
● 자유주의적 좌파성향
● 저소득층, 외국인 노동자등, 독일의 소외계층 문제 관심
기타일간지
1) 빌트(Bild)
● 독일 인간지 중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신문
● 1952년도 악셀 슈프링어 출판사가 창간한 가판신문
● ‘그림’이란 뜻으로 일반대중을 대상
● 선정적, 폭로 위주의 기사
2) 서부독일 일간지(Westdeutsche Allgemeine Zeitung)
● 지방지이면서도 독일일간지 중 두 번째의 발간 부수
● 정기구독 일간지로는 가장 높은 부수
3)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 독일 내 가장 권위 있는 경제전문 일간지
● 특히 경제인들이 애호
2.3 주요주간지(정치주간지)
1) 슈피겔 (Der Spiegel)
● 독일 내 최고의 전통과 권위를 갖고 있는 시사주간지
● ‘거울’이라는 뜻, 진보적 성향
● 심층, 기획기사와 공격적인 예리한 분석으로 특히 정부의 부정행위를 기사화
● 길고 복잡한 문장과 표현력으로 난해하다는 평
2) 포쿠스 (Focus)
● ‘초점’이라는 뜻, 1993년 창간한 시사주간지
● 중도보수 성향, 여론형성에 중요한 역할
● 간단명료한 문장, 컬러사진, 참신한 기획과 디자인으로 슈피겔에 비해 쉽고 대중적
3) 디자이트 (Die Zeit)
● ‘시대’라는 뜻, 함부르크에서 발행되는 주간지
● 정치사회경제문화 관련 주제들을 비판적 시선에서 분석. 주로 지식인층 애독
● 진보적, 객관적이라는 평
2.4 잡지
● 자동차, 테니스, 컴퓨터 등 특정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잡지들이 많다.
● ADAC-모터 세계 자동차 전문 잡지의 발행부수 최강
● 주요시사오락주간지로 슈테른과 분테
1) 슈테른 (Stern)
● 슈피겔과 함께 대표 시사주간지(1947년)
● ‘별’이라는 뜻, 대중용 시사오락주간지, 중도좌파성향
● 좋은 사진술 및 가벼운 기사와 심각한 기사의 배합으로 다양한 독자층
2) 분테 (Bunte)
● ‘다채롭다’ 라는 뜻
● 슈테른과 함께 독일에서 가장 많은 독자
● 흥미위주
3. 방송국
3.1 독일 방송제도의 특징
●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이 공존하는 이원적 체제 ; 공영방송은 ‘기본공급’을 상업방송은 ‘보완적 공급’을 담당
● 방송에 대한 법률 등 방송운영은 주정부 소관, 연방은 방송에 대한 역할 행사 불가
3.2 공영방송사
1) ARD (제1공영방송)
● 11개 지역 공영방송공사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송
● 방영 프로그램은 ARD 자체제작이 아님. 지역방송 공사가 공동 또는 단독으로 제작
● 지역 방송공사의 지역방송은 제3채널로 방영
● 독일전역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방송
● 뉴스 프로그램은 가장 객관적, 신뢰성 있다는 평
● 교육, 문화중심의 프로그램을 유럽 전 지역으로 송출
2) ZDF (독일 제2공영 방송)
● ARD의 공영방송 독점 막기위해 1961년 설립, 단일조직형태
● ARD와 함께 프로그램 상호 조정
3) 국제방송 (DW)
● 1953년 창립, 독일연방정보가 유일하게 운영하는 국영TV.
● 독일전역과 위성을 통해 독어와 38개 외국어로 전파한 독일 해외홍보방송
● 1992년부터 해외 TV프로그램도 방송, 1995년부터 24시간 전일 방송
4) 공영라디오 방송 (Deutschlandradio)
● 현재 쾰른과 베를린에서 방송전파, 통일 후 주요 라디오 방송 통합
● 특히 청소년에게 인기
● 광고없고 보도와 문화에 중점
3.3 민영상업방송
● 1980년대 중반부터 상업방송 중요성 부각
● 1984년 초 첫 상업방송 RTL허가, 현재는 18개 전국방송국과 61개 지역방송국
● 광고수입에만 의지, 시청률 위주 방송 : 오락, 스포츠, 영화 등
● 공영방송과 경쟁
주요상업방송
1) SAT 1 (자트 아인스)
● 1985년 창립, 독일전역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방송, 독일 최초의 상업방송사
● 현재 RTL과 독일 상업방송 선두
2) RTL
● 1986년 방송 시작, 독일전역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유럽 각국에 방송
● 현재 24시간 방송 채널, 오락, 연예, 영화프로그램을 중심
●
● 정보사회에서 대중매체의 중요성
● 언론, 출판의 자유 : 검열 X (기본법5조1항)
● 다양한 매체 : 신문 및 잡지는 약 2600개, 230여개의 라디오, 30여개의 TV방송국
● 연방정부의 언론 정보청은 정부와 대중의 중개자 역할
1. 통신사
● 독일 국내 뉴스를 제공.
● 독일프레스중개소(DPA) : 대표적 통신사, 1949 함부르크 창설, 독일의 전 신문에 뉴스서비스와 정보 전달.
● ADN(구동독의 국영통신사), AP(미국 연합 통신사), 로이터(rtr런던), AFP(프랑스)
●**통일후 DPA가 ADN을 통합
2.일간지/신문/주간
● 독일인은 신문 애독자, 상당수가 정기 구독자
● 현재 약 430종 이상의 일간지, 60종 이상의 주간지, 2만 이상의 각종 잡지가 발간
● 지방 일간 신문 :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역 일간지 발간
2.1 신문사의 집중화와 대형 출판사
● 1950년대 중반부터 경제적, 기술적 우위의 신문사들이 지방 신문사들 잠식. 기술 발전으로 저가로 신문생산 가능
● 대형 출판사들의 시장 독점화 : 일간지 최대 출판사 “악셀 슈프링어(Axel Springer)”, 대중 잡지출판사 “바우어, 그루너야르, 부르다” 그룹
→ 출판 시장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
But 언론재벌의 독점화 우려
●**베어텔스만, 키르히, 슈프링어 그룹은 방송재벌 : 방송 장악의 폐단
2.2 일간지
● 전국4대 일간지(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 Zeitung)
1) 남부독일 일간지 (SZ)
뮌헨에서 발간, 진보적인(좌파)성향, 지식인층이 주 독자층, 정확한 보도와 평론으로 호평
2) 프랑크푸르트 일간지 (FAZ)
● 프랑크푸르트에서 발행, 자유주의적 중도보수 노선, 세계10대신문
● 폭넓은 외신기사와 주요 경제정보기사
● 교양지식인이 애독 (문화면이 상세히 잘 대 있음)
3) 디 벨트(Die Welt)
● Axel Springer가 발간, ‘세계’ 라는 뜻
● 진보와 보수 성향 겸비 : 전문적인 개별분야 변혁에 진보적 (사회적 시장경제 우호)
4) 프랑크푸르트 룬드샤우(Frankfurter Rundschau, FR)
● 자유주의적 좌파성향
● 저소득층, 외국인 노동자등, 독일의 소외계층 문제 관심
기타일간지
1) 빌트(Bild)
● 독일 인간지 중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신문
● 1952년도 악셀 슈프링어 출판사가 창간한 가판신문
● ‘그림’이란 뜻으로 일반대중을 대상
● 선정적, 폭로 위주의 기사
2) 서부독일 일간지(Westdeutsche Allgemeine Zeitung)
● 지방지이면서도 독일일간지 중 두 번째의 발간 부수
● 정기구독 일간지로는 가장 높은 부수
3)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 독일 내 가장 권위 있는 경제전문 일간지
● 특히 경제인들이 애호
2.3 주요주간지(정치주간지)
1) 슈피겔 (Der Spiegel)
● 독일 내 최고의 전통과 권위를 갖고 있는 시사주간지
● ‘거울’이라는 뜻, 진보적 성향
● 심층, 기획기사와 공격적인 예리한 분석으로 특히 정부의 부정행위를 기사화
● 길고 복잡한 문장과 표현력으로 난해하다는 평
2) 포쿠스 (Focus)
● ‘초점’이라는 뜻, 1993년 창간한 시사주간지
● 중도보수 성향, 여론형성에 중요한 역할
● 간단명료한 문장, 컬러사진, 참신한 기획과 디자인으로 슈피겔에 비해 쉽고 대중적
3) 디자이트 (Die Zeit)
● ‘시대’라는 뜻, 함부르크에서 발행되는 주간지
● 정치사회경제문화 관련 주제들을 비판적 시선에서 분석. 주로 지식인층 애독
● 진보적, 객관적이라는 평
2.4 잡지
● 자동차, 테니스, 컴퓨터 등 특정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잡지들이 많다.
● ADAC-모터 세계 자동차 전문 잡지의 발행부수 최강
● 주요시사오락주간지로 슈테른과 분테
1) 슈테른 (Stern)
● 슈피겔과 함께 대표 시사주간지(1947년)
● ‘별’이라는 뜻, 대중용 시사오락주간지, 중도좌파성향
● 좋은 사진술 및 가벼운 기사와 심각한 기사의 배합으로 다양한 독자층
2) 분테 (Bunte)
● ‘다채롭다’ 라는 뜻
● 슈테른과 함께 독일에서 가장 많은 독자
● 흥미위주
3. 방송국
3.1 독일 방송제도의 특징
●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이 공존하는 이원적 체제 ; 공영방송은 ‘기본공급’을 상업방송은 ‘보완적 공급’을 담당
● 방송에 대한 법률 등 방송운영은 주정부 소관, 연방은 방송에 대한 역할 행사 불가
3.2 공영방송사
1) ARD (제1공영방송)
● 11개 지역 공영방송공사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송
● 방영 프로그램은 ARD 자체제작이 아님. 지역방송 공사가 공동 또는 단독으로 제작
● 지역 방송공사의 지역방송은 제3채널로 방영
● 독일전역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방송
● 뉴스 프로그램은 가장 객관적, 신뢰성 있다는 평
● 교육, 문화중심의 프로그램을 유럽 전 지역으로 송출
2) ZDF (독일 제2공영 방송)
● ARD의 공영방송 독점 막기위해 1961년 설립, 단일조직형태
● ARD와 함께 프로그램 상호 조정
3) 국제방송 (DW)
● 1953년 창립, 독일연방정보가 유일하게 운영하는 국영TV.
● 독일전역과 위성을 통해 독어와 38개 외국어로 전파한 독일 해외홍보방송
● 1992년부터 해외 TV프로그램도 방송, 1995년부터 24시간 전일 방송
4) 공영라디오 방송 (Deutschlandradio)
● 현재 쾰른과 베를린에서 방송전파, 통일 후 주요 라디오 방송 통합
● 특히 청소년에게 인기
● 광고없고 보도와 문화에 중점
3.3 민영상업방송
● 1980년대 중반부터 상업방송 중요성 부각
● 1984년 초 첫 상업방송 RTL허가, 현재는 18개 전국방송국과 61개 지역방송국
● 광고수입에만 의지, 시청률 위주 방송 : 오락, 스포츠, 영화 등
● 공영방송과 경쟁
주요상업방송
1) SAT 1 (자트 아인스)
● 1985년 창립, 독일전역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방송, 독일 최초의 상업방송사
● 현재 RTL과 독일 상업방송 선두
2) RTL
● 1986년 방송 시작, 독일전역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유럽 각국에 방송
● 현재 24시간 방송 채널, 오락, 연예, 영화프로그램을 중심
●
추천자료
영상문화의 이해 - 사례로 본 독일 역화의 미래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 서로의 문화가 보인다
독일과 한국 교육제도의 비교
독일 통일 후의 현황과 문제
독일의 모든것
독일, 독일의 여행지, 독일 음식, 독일 역사
독일을 대표하는 문화유산
유럽문화와사회 - 유럽(독일)의 주요도시
독일 뮌헨 맥주축제(옥토버페스트)의 시초, 독일 뮌헨 맥주축제(옥토버페스트)의 명칭, 독일 ...
[독일 뮌헨 맥주축제]독일 뮌헨 맥주축제(옥토버페스트)의 유래, 행사주제, 독일 뮌헨 맥주축...
독일의 경제상황 및 부동산문화
독일 건축과 주거문화
[서유럽문화기행][스페인][마드리드,그라나다,바르셀로나] 서유럽 5개 국가(프랑스, 영국, 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