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보고서 - 오염된 배지관찰 (3주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보고서 - 오염된 배지관찰 (3주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재료
3. 실험순서
4. 조사
5. 고찰

본문내용

배지
-실험순서
1. 싹이 난 종자 관찰.
2. 발아가 안 된 종자 주위에 갈색 물질이 퍼진 것 관찰.
3. 바닥 전체가 갈색 물질로 덮여 배지 전체에 발아 된 종자가 없는 배지 관찰.
-고찰
갈색 물질의 정체는?
종자 주위에 갈색 물질이 생긴 것이 많이 관찰되었고, 그러한 종자들은 보통 발아하지 못했다. 외부 오염을 의심했으나 실험과정에서 밀봉을 제대로 했고 특정 배지에서만 나타난 것이 아닌 다수의 배지에서 동시에 나타난 현상이므로 외부 오염의 가능성은 낮아 보였다. 또한 곰팡이 등이 생긴 흔적도 볼 수 없었다. 종자 자체를 전부 가열 살균한 배지에서도 갈색 물질이 발견되었으니 종자 자체가 오염된 것이었을 가능성도 낮다.
위의 상황을 종합해봤을 때 갈색 물질은 종자가 자체적으로 만든 방어물질, 즉 피톤치드(phytoncide) 로 추측된다. 피톤치드는 1937년 러시아의 생화학자 토킨에 의하여 명명된 것으로, 식물이 병원균·해충·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을 말한다. 피톤치드의 살균작용이 그것을 흡입하는 사람의 장과 심폐기능을 강화해준다 하여 최근에는 삼림욕에서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다. 피톤치드는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 다양하지만 갈색을 띄는 것으로 보아 종자에서 나온 것은 탄닌 성분의 일종으로 보인다. 탄닌은 식물이 내뿜는 떫은맛을 내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여러 가지 폴리페놀류가 중합한 고분자물질로 원래는 무색이지만 폴리페놀 산화 작용에 의해 갈색을 나타낸다. 이처럼 피톤치드를 내뿜은 것으로 보아 소독, 이식의 과정에서 종자에 손상이 갔거나 배지의 환경이 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염된 배지는 무엇에 의한 오염인가?
전체적으로 오염된 배지의 경우 갈색 물질이라는 점에서 위에 언급한 탄닌이나 피톤치드의 일종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그 형태는 다르다. 피톤치드가 액체로 분비된 것에 비해 해당 배지의 갈색 물질은 가루 형태로 전체적으로 퍼져있다. 배지 바닥이 전체적으로 오염된 것으로 보아 종자 자체가 내뿜은 물질이라기보다는 외부적 오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배지를 만들 당시 섞여 들어간 박테리아 등 이물질이 있거나 밀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오염된 것으로 보인다.
2주차
-실험재료: 배지
-실험순서
종자 주위에 갈색 물질이 더 많아진 것을 관찰.
2개의 배지에서 다량의 물이 관찰.
주위가 갈색으로 변색된 종자에서 분홍색 물질을 관찰.
1. 발아 된 종자에서는 큰 변화 관찰되지 않음.
2. 배지 전반적으로 액체화 진행된 것이 보임.
3. 분홍빛 덩어리가 나온 종자 관찰.
-고찰
액체가 많이 생긴 배지가 관찰되었다. 전반적으로 물이 생기긴 했지만 특정 배지에서 물이 흐를 정도로 많이 생긴 것은 세균 등의 외부영향으로 보인다. 물이 많이 생긴 배지는 발아를 한 종자도 성장이 더뎠다.
또한 지난 실험과 다른 점은 발아가 되지 않던 한 종자에서 분홍색 덩어리가 나왔다는 것인데, 모양으로 보면 발아를 하는 것처럼 보이나 물질의 색으로 보면 오염물질에 더 가까워 보인다.
3주차
-실험재료: 배지
-실험순서
가장 많이 오염된 세 개의 배지.
곰팡이로 보이는 회색 덩어리, 분홍색 액체, 갈색 가루로 보이는 물질에 각각 오염.
-고찰
지난 실험에서 관찰되었던 분홍색 물질이 나온 배지는 배지 전체가 분홍색 액체로 오염된 것을 보았다. 해당 물질이 오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관찰이므로 총 데이터를 도출해보았다.
발아율: 14개/65개 * 100 = 21.5%
오염종자: 26개/ 65개 *100 = 40%
평균 생장길이 {5+6+(5+2)+12+2+(3+5+2)+6+3+2+6+6}/14= 4.6 cm
비슷한 배지 조건에서 줄기를 유도한 다른 조의 경우 유도율이 91%에 달했던 것에 비해 매우 낮은 발아율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타민나무로 종자발아를 연구한 타 실험에서 50~95%로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평균 이하의 발아율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낮은 발아율의 이유로는 실험 초기부터 종자가 피톤치드를 형성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종자가 손상되거나 좋지 않은 배지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3개의 배지가 각각 박테리아, 세균, 곰팡이로 보이는 외부요인에 의해 심하게 오염된 영향도 있었다.
각 조들과 비교해볼 때 초기 배지를 만들 당시 우리 조의 배지에만 아무런 생장촉진제를 넣어주지 않았던 것도 고려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발아율이 낮게 나온 것으로 추론된다.
  • 가격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2.26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