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집단상담
I. 집단상담의의미
1. 집단상담의 의미
2. 집단상담 형태와 관련 용어
1) 집단의 형태
2) 집단 용어
II. 집단상담의 목표
1. 집단상담을 추천하는 경우
2. 집단상담이 부적합한 경우
II. 집단상담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IV.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소
V. 집단형성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1. 설명
2. 접수면접
3. 집단원 선택
1) 연령
2) 성
3) 성격구조
4. 집단 크기
5. 모임의 기간과 횟수
6. 집단 지속기간
7.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집단상담
I. 집단상담의의미
1. 집단상담의 의미
2. 집단상담 형태와 관련 용어
1) 집단의 형태
2) 집단 용어
II. 집단상담의 목표
1. 집단상담을 추천하는 경우
2. 집단상담이 부적합한 경우
II. 집단상담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IV.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소
V. 집단형성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1. 설명
2. 접수면접
3. 집단원 선택
1) 연령
2) 성
3) 성격구조
4. 집단 크기
5. 모임의 기간과 횟수
6. 집단 지속기간
7.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본문내용
을 강조한다. 둘째, 집단상담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높여 준다.
설명과정을 통해 집단상담 장면에서 무엇이 일어날 것인가를 명시하고 집단 참여의 이점을 이야기한다. 상담자는 상담장면이 학급회의나 동료와의 사적인 대화와 다른 점을 파악하게 한다. 상담자는 이전 집단 내담자의 문제를 구체적인 예로 들 수도 있고, 이전의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을 기술하게 할 수도 있다. 내담자에게 비밀보장, 모임의 빈도와 길이, 출석 요구사항 등과 같은 과정에 관해서 질문할 기회를 준다. 설명 후 상담자는 지원할 사람에게 선발 면접계획을 공고한다.
2) 접수면접
집단형성에서 중요한 절차인 접수면접은 내담자를 선발하는 과정이다. 집단역동성이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내담자의 선발은 집단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접수면접 동안에 상담자는 접수내담자가 상담집단에서 논의해야 할 구체적인 문제나 관심사를 내어놓도록 경청해야 한다. 접수면접의 주요 기능은 예비 내담자로 하여금 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접수면접 후, 상담자는 집단을 구성하고 구조화하게 된다. 상담자는 연령 성 성격의 분포, 집단의 크기, 모임의 길이 빈도 횟수, 개방적인 집단으로 할 것인가, 폐쇄적인 집단으로 할 것인가, 자발적인 참여로 할 것인가, 비자발적인 참여의 형태를 취할 것인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Mahler, 1969).
3) 집단원 선택
Lowrey와 Slavson(1943), 그리고 Gazda(1978)는 집단형성에 있어서 기술과 통찰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상담자의 성격이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았다.
(1) 연령
성인집단보다는 아동과 청소년 집단의 형성에 있어 더 중요하다. 상담자는 비교적 비슷한 연령의 내담자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내담자의 사회적 성숙도를 더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성에 관련된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덜 성숙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은 다른 동년배의 아동과 함께 성에 관련된 문제를 이야기하기에 부족한 상태이다.
(2) 성
성 또한 중요한 요인이지만, 잠재기의 소년 소녀를 한 집단에서 다루는 데 있어서는 이견이 있다. 5학년 소년 소녀가 집단에 참여하는 것과 이성에 대한 흥미에 관한 연구에서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 Ohlsen(1977)은 이 시기의 소년 소녀를 함께 다룸으로써 서로 다른 심리적 발달을 이를 수 있다고 보았고, Gazda(1978)는 분리해서 다루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였다.
(3) 성격 구조
내담자 선발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내담자를 성격 유형에 따라서 구분하는 것이다. 성격 유형에 따른 집단형성에 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격유형을 문제와 연관시켜 편성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Peck & Stewart, 1964). 약물중독자, 알코올중독자, 이혼가정의 아이들, 혹은 머리는 좋은데 성적이 불량한 아동과 같이 서로 비슷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역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역할모델과 함께 집단에 편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Gadza, 1978). 집단에 모델이 없이 동질적인 내담자로만 구성된 집단은 문제해결을 위해서 서로 조력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흔히 유사한 개인적 사회적 특성을 가진 내담자들은 비효과적인 행동을 서로 강화하게 된다.
요약해 보면, 상담집단을 조직하는 데 있어서 연령 사회적 성숙도, 성에 따라 아동이나 초기 청소년들은 동질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성격 유형에 따라서는 이질적인 집단 편성이 바람직하다. 성인 내담자로 구성되는 상담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이질적으로 편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흥미나 문제가 비슷한 사람들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하나, 때로는 문제의 다양성이 집단의 경험을 더 풍부하게 할 수도 있다. 연령 학 사회적 성숙도에 있어서는 동질적인 편이 좋으나, 성(性)의 발달수준에 따라 고려하는 것이 좋다.
4) 집단 크기
집단의 크기는 내담자의 연령, 기대되는 개입의 정도, 집단원의 성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상담집단은 6-8명이 이상적이며, 성격 유형에 따른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으며, 모든 구성원에게 적당한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더 적은 수이어야 한다. 그러나 집단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내담자들의 상호관계 및 행동의 범위가 좁아지고, 각자가 받는 압력이 너무 커져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성인의 경우 집단원들이 8명 이상이면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첫째, 각 내담자가 개인 문제를 제대로 탐색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거나, 둘째, 지도자가 많은 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에 벅찰 것이다. 집단 참여자가 10명을 넘으면, 공동지도자가 한 명 더 필요하다.
5) 모임의 기간과 횟수
집단상담 모임의 길이는 내담자의 연령과 성격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다. 초등학생이 한 번에 20-30분간 계속해서 주의집중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모임은 한 시간 정도 계속될 수 있다. 성인 집단은 2-3시간 정도가 가장 알맞다. 이 정도의 시간이면 집단원들로 하여금 집단에 몰입해서 중요한 문제를 표면으로 끌어내 다루게 할 수 있다.
집단에서 형성된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임이 1주일 이상 쉬어서는 안 된다.
아동들의 집단은 시간도 더 짧아야 하고 더 자주, 즉 1주일에 두 번 정도 만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집단 지속기간
어떤 집단은 몇 해를 계속하기도 하지만 1년 이상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년이 지난 후에는 대부분의 개인적인 문제는 이미 다 다루어지기 때문에, 집단의 목적이 다 수행됐다고 할 수 있다. 학교 장면에서는 한 학기를 단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7)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집단의 목표에 따라 집단의 운영을 개방적으로 할 것인가, 폐쇄형으로 할 것인가를 미리 정해야 한다. 폐쇄집단은 집단이 시작된 후에는 새로운 구성원들을 받아들이지 않고, 시작될 때 참여했던 사람들로만 끝까지 진행되는 것이다. 개방집단은 집단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상담 진행 중에 새로운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 때 집단 내에서 형성된 신뢰, 수용, 지지 등에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다.
설명과정을 통해 집단상담 장면에서 무엇이 일어날 것인가를 명시하고 집단 참여의 이점을 이야기한다. 상담자는 상담장면이 학급회의나 동료와의 사적인 대화와 다른 점을 파악하게 한다. 상담자는 이전 집단 내담자의 문제를 구체적인 예로 들 수도 있고, 이전의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을 기술하게 할 수도 있다. 내담자에게 비밀보장, 모임의 빈도와 길이, 출석 요구사항 등과 같은 과정에 관해서 질문할 기회를 준다. 설명 후 상담자는 지원할 사람에게 선발 면접계획을 공고한다.
2) 접수면접
집단형성에서 중요한 절차인 접수면접은 내담자를 선발하는 과정이다. 집단역동성이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내담자의 선발은 집단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접수면접 동안에 상담자는 접수내담자가 상담집단에서 논의해야 할 구체적인 문제나 관심사를 내어놓도록 경청해야 한다. 접수면접의 주요 기능은 예비 내담자로 하여금 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접수면접 후, 상담자는 집단을 구성하고 구조화하게 된다. 상담자는 연령 성 성격의 분포, 집단의 크기, 모임의 길이 빈도 횟수, 개방적인 집단으로 할 것인가, 폐쇄적인 집단으로 할 것인가, 자발적인 참여로 할 것인가, 비자발적인 참여의 형태를 취할 것인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Mahler, 1969).
3) 집단원 선택
Lowrey와 Slavson(1943), 그리고 Gazda(1978)는 집단형성에 있어서 기술과 통찰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상담자의 성격이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았다.
(1) 연령
성인집단보다는 아동과 청소년 집단의 형성에 있어 더 중요하다. 상담자는 비교적 비슷한 연령의 내담자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내담자의 사회적 성숙도를 더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성에 관련된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덜 성숙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은 다른 동년배의 아동과 함께 성에 관련된 문제를 이야기하기에 부족한 상태이다.
(2) 성
성 또한 중요한 요인이지만, 잠재기의 소년 소녀를 한 집단에서 다루는 데 있어서는 이견이 있다. 5학년 소년 소녀가 집단에 참여하는 것과 이성에 대한 흥미에 관한 연구에서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 Ohlsen(1977)은 이 시기의 소년 소녀를 함께 다룸으로써 서로 다른 심리적 발달을 이를 수 있다고 보았고, Gazda(1978)는 분리해서 다루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였다.
(3) 성격 구조
내담자 선발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내담자를 성격 유형에 따라서 구분하는 것이다. 성격 유형에 따른 집단형성에 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격유형을 문제와 연관시켜 편성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Peck & Stewart, 1964). 약물중독자, 알코올중독자, 이혼가정의 아이들, 혹은 머리는 좋은데 성적이 불량한 아동과 같이 서로 비슷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역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역할모델과 함께 집단에 편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Gadza, 1978). 집단에 모델이 없이 동질적인 내담자로만 구성된 집단은 문제해결을 위해서 서로 조력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흔히 유사한 개인적 사회적 특성을 가진 내담자들은 비효과적인 행동을 서로 강화하게 된다.
요약해 보면, 상담집단을 조직하는 데 있어서 연령 사회적 성숙도, 성에 따라 아동이나 초기 청소년들은 동질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성격 유형에 따라서는 이질적인 집단 편성이 바람직하다. 성인 내담자로 구성되는 상담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이질적으로 편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흥미나 문제가 비슷한 사람들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하나, 때로는 문제의 다양성이 집단의 경험을 더 풍부하게 할 수도 있다. 연령 학 사회적 성숙도에 있어서는 동질적인 편이 좋으나, 성(性)의 발달수준에 따라 고려하는 것이 좋다.
4) 집단 크기
집단의 크기는 내담자의 연령, 기대되는 개입의 정도, 집단원의 성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상담집단은 6-8명이 이상적이며, 성격 유형에 따른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으며, 모든 구성원에게 적당한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더 적은 수이어야 한다. 그러나 집단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내담자들의 상호관계 및 행동의 범위가 좁아지고, 각자가 받는 압력이 너무 커져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성인의 경우 집단원들이 8명 이상이면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첫째, 각 내담자가 개인 문제를 제대로 탐색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거나, 둘째, 지도자가 많은 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에 벅찰 것이다. 집단 참여자가 10명을 넘으면, 공동지도자가 한 명 더 필요하다.
5) 모임의 기간과 횟수
집단상담 모임의 길이는 내담자의 연령과 성격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다. 초등학생이 한 번에 20-30분간 계속해서 주의집중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모임은 한 시간 정도 계속될 수 있다. 성인 집단은 2-3시간 정도가 가장 알맞다. 이 정도의 시간이면 집단원들로 하여금 집단에 몰입해서 중요한 문제를 표면으로 끌어내 다루게 할 수 있다.
집단에서 형성된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임이 1주일 이상 쉬어서는 안 된다.
아동들의 집단은 시간도 더 짧아야 하고 더 자주, 즉 1주일에 두 번 정도 만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집단 지속기간
어떤 집단은 몇 해를 계속하기도 하지만 1년 이상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년이 지난 후에는 대부분의 개인적인 문제는 이미 다 다루어지기 때문에, 집단의 목적이 다 수행됐다고 할 수 있다. 학교 장면에서는 한 학기를 단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7)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집단의 목표에 따라 집단의 운영을 개방적으로 할 것인가, 폐쇄형으로 할 것인가를 미리 정해야 한다. 폐쇄집단은 집단이 시작된 후에는 새로운 구성원들을 받아들이지 않고, 시작될 때 참여했던 사람들로만 끝까지 진행되는 것이다. 개방집단은 집단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상담 진행 중에 새로운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 때 집단 내에서 형성된 신뢰, 수용, 지지 등에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다.
추천자료
-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