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연선택 가설
2) 반복-상호성 가설
3) 유유상종 가설
4) 값비싼 신호 보내기 가설
5) 의사소통 가설
6) 집단선택 가설
7) 공간구조 효과
2) 반복-상호성 가설
3) 유유상종 가설
4) 값비싼 신호 보내기 가설
5) 의사소통 가설
6) 집단선택 가설
7) 공간구조 효과
본문내용
들지만 우연히 이타적인 전략들이 이웃한 경우 이들은 세를 확장하여 이기적인 전략보다 더 우세해지기도 한다. 사실 공간구조 효과보다는 그냥 \'국소성 효과\'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해 보이는데(책에서도 국소성으로 설명한다), 이것은 끼리끼리 효과이기도 하고 집단선택 효과이기도 하다.
죄수의 딜레마를 다시 간단히 써보면, \"C < D & C+C > D+D\" 이다. 개인에게는 협조(C)보다 배반(D)이 우월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둘 다 협조(C+C)하는 게 둘 다 배반(D+D)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것이다. (사실 \"C+C > C+D\"도 포함되어야 하다.)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는 C > D로 만들거나(혈연이나 반복 게임을 통해서), 또는 C+C인 가능성을 높이거나(국소성으로 인한 집단선택) 하는 것들이 있다.
죄수의 딜레마를 다시 간단히 써보면, \"C < D & C+C > D+D\" 이다. 개인에게는 협조(C)보다 배반(D)이 우월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둘 다 협조(C+C)하는 게 둘 다 배반(D+D)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것이다. (사실 \"C+C > C+D\"도 포함되어야 하다.)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는 C > D로 만들거나(혈연이나 반복 게임을 통해서), 또는 C+C인 가능성을 높이거나(국소성으로 인한 집단선택) 하는 것들이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Mies van der Rohe의 건축
바이마르 시절의 바우하우스
문학의 요소에 대한 소고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예술과웰빙(요약과감상)
문학 비평의 방법론 : 정신사적(해석학) 연구 방법론 -빌헬름 딜타이를 중심으로
예술가 소설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 - 이문열[시인]과 헤세[시인]을 중심으로
(The Sound and the Fury 연구) - Caddy를 중심으로 -
현대건축론 레포트 제출1 - 미스 반 데어 로에
김광균 시읽기.. - 「추일서정(秋日抒情)」을 중심으로
오태석 '환절기'의 기호학적 접근 - 극의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루돌프 아른하임의 예술심리학저서《예술심리학》중 제 2 부 시각 중심
루돌프 아른하임의 예술심리학저서《예술심리학》중 제 2 부 시각 중심
[만점 받은 과제물][상상력과 문학] 기호 이전의 세계 - 예술작품이나 사회현상을 기호로 해...
Jack London 소설 속 자연주의 분석 - Jack London의『To build a fire』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