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윤동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인 윤동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인 윤동주
윤동주의 생애
작품 세계
윤동주의 삶과 문학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 연에서 생생히 보여진다. 그 고통의 표출이 자기 이름 석 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는 행위로 나타난다. 이것은 자아 성찰 혹은 민족의식의 결과라고 해석될 수 있는데, 이것은 \'부끄러움\'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아 성찰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은 바로 미래를 바라보는 긍정적 시선이다. \'봄\'과 \'풀\'의 결합으로 형상화된 미래는 아름다운 이상이 실현되는 날을 가리키며, 이러한 미래의 아름다운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화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길이 심지어 죽음일지라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결의가 숨어있는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렇게 \'부활\'의 이미지가 나타나는데, 화자 자신의 부끄럽지 않은 아름다운 이름으로 다시 탄생하기 위해 다짐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이 작품 역시 윤동주의 시가 대개 그러하듯이 그리움과 자기 성찰이라는 주제를 근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성격 : 낭만적, 서정적, 의지적
표현 : 부분적인 산문적 리듬 구사로 호흡이 빨라지는 효과를 거둠.(5연)
맑고 앳된 감각과 쉬운 우리말 사용
특징 : 맑고 앳된 감각과 구김살 없는 서정성
구성 : ① 끝없는 상념(제1-3연)
② 과거에 대한 상념과 미련(제4-7연)
③ 현재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제8-9연)
④ 소생과 부활의 희망(제10연)
제재 : 별.(과거의 추억)
주제 : 고향에 대한 동경과 자아 성찰
표현상의 특징 - 과거 회상에서 현실 상황의 인식으로, 다시 미래에의 염원으로 나아가고 있다
마치며
한국의 얼이 일제의 탄압으로 깡그리 말살된 때에, 윤동주는 끝까지 우리 시를 지켰다. 윤동주가 그런 환경 속에서 썼던 시들은 의욕적이다. 현실을 초월해서 인간의 내면의 고요한 세계를 더듬어 갔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동시에서 엿볼 수 있다. 그의 따스한 마음과 인가의 깊은 정신을 추구하는 기독교적인 의식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의 시세계는 깊은 수렁 속에서 민족의 학대와 슬픈 모습도 그렸다. 다시 말하면 윤동주의 절정이라고 볼 수 있는 이 때의 시의 정신은 기독교적 의식과 민족주의 의식이었던 것이다. 그는 참으로 뚜렷한 민족정신으로 일제 암흑기를 살아간 시인이며, 사대적 고뇌를 반항과 연속에서 곱게 여과되어 표출되는 애틋하고 한 맺힌 감정으로 시를 썼다.
시를 씀으로써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란 생각을 지렛대 삼아 불과 물과 바람, 그리고 구름, 별, 달, 해로 비유될 수 있는 넉넉한 화해의 정신을 기반으로 해서 그가 도달하고자 하는 하늘에, 그의 시를 통해서 시대의 고뇌와 부끄러움, 슬픈 자아를 하늘에 일체화시켰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효중, ‘한국 현대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7.
김효중, ‘한국현대시의 향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9.
김병택, ‘한국 현대 시인론’ 국학자료원, 1995.
김수복, ‘윤동주, 별의노래’ 한람원, 1996.
성기조, ‘한국현대시인론’ 한국문화사, 1997.
이건청, ‘윤동주’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이성교, ‘한국 현대시인 연구’ 태학사, 1997.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3.12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