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의 문학과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도의 문학과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가사의 개념

Ⅱ. 한국가사문학관
1. 한국가사문학관
1) 한국가사문학관 소개
2) 소쇄원과 식영정

2. 송강정철 작품분석
1) 사미인곡
2) 속미인곡
3) 관동별곡


Ⅲ. 가사문학관을 다녀와서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된 근대적 양식이다. 다만,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그 선구성 때문에 과도기적인 단면도 강하게 지닌다. 개화가사의 어투는 대게 직설적이다. 이것은 근대시가 정서적인 언어를 써야 한다는 공리에 어긋난다. 개화가사의 또 다른 과도기성은 작자의 비전문성으로도 나타난다.
Ⅱ. 한국가사문학관
1. 한국가사문학관
1) 한국가사문학관 소개
대쪽같이 올곧은 선비 정신을 이어 받은 조선 시대 사림들은 불합리하고 모순된 정치 현실을 비판하고, 자신들의 큰 뜻을 이룰 수 없음을 한탄하며 낙남하여, 무등산 정기 어린 이곳 담양 일원에 누(樓)와 정자(亭子)를 짓고 빼어난 자연 경관을 벗삼아 시문을 지어 노래하였다. 이들은 수신과 후진 양성에 힘쓰다가 나라의 부름을 받아서는 충성하고, 국난이 있을 때에는 분연히 일어나 구국에도 앞장섰다.
조선 시대 한문이 주류를 이루던 때에 국문으로 시를 제작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이서의 낙지가,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정식의 축산별곡, 남극엽의 향음주례가, 충효가, 유도관의 경술가 · 사미인곡, 남석하의 백발가 · 초당춘수곡 · 사친곡 · 원유가, 정해정의 석촌별곡 · 민농가 및 작자 미상의 효자가 등 18편의 가사가 전승되고 있어 담양을 가사문학의 산실이라고 부른다.
담양군에서는 이같은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보전과 현대적 계승·발전을 위해 1995년부터 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 200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본관과 부속 건물인 자미정 · 세심정 · 산방 · 토산품점 · 전통찻집 등이 있다. 전시품으로는 가사문학 자료를 비롯하여 송순의 면앙집과 정철의 송강집 및 친필 유묵 등 귀중한 유물이 있다. 문학관 가까이에 있는 식영정 · 환벽당 · 소쇄원 · 송강정 · 면앙정 등은 호남 시단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이는 한국 가사문학 창작의 밑바탕이 되어 면면히 그 전통을 오늘에 잇게 하고 있다.
2) 소쇄원과 식영정
소쇄원은 1983년 7월 20일 사적 제30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5월 2일 명승 제40호로 변경되었다. 이곳은 물이 흘러내리는 계곡을 사이에 두고 각 건물을 지어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루는 대표적 정원이다.
제월당과 광풍각, 오곡문, 애양단, 고암정사 등 10여 동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홍문관 대사헌으로 있던 소쇄 양산보는 기묘사화가 일어나 스승인 조광조가 사사되자 모든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인 이곳으로 내려와 소쇄원을 지었다.
식영정은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환벽당, 송강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 식영정은 원래 16세기 중반 서하당 김성원이 스승이자 장인인 석천 임억령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 한다. 식영정이라는 이름은 임억령이 지었는데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이다.
식영정 바로 옆에는 김성원이 자신의 호를 따서 서하당이라고 이름 붙인 또 다른 정자를 지었는데, 없어졌다가 최근 복원되었다. 《서하당유고》 행장에 따르면, 김성원이 36세 되던 해인 1560년(명종 15)에 식영정과 서하당을 지었음을 알 수 있다.
김성원은 정철의 처외재당숙으로, 정철이 이곳 성산에 와 있을 때 환벽당에서 같이 공부하던 동문이다. 식영정 건너편에 있는 환벽당은 어린 시절 정철의 운명을 바꾸어놓게 한 사촌 김윤제가 기거했던 곳이다.
당시 사람들은 임억령, 김성원, 고경명, 정철 네 사람을 ‘식영정 사선’이라 불렀는데, 이들이 성산의 경치 좋은 20곳을 택하여 20수씩 모두 80수의 식영정이십영을 지은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이 식영정이십영은 후에 정철의 《성산별곡》의 밑바탕이 되었다.
식영정 옆에는 1973년에 《송강집)》의 목판을 보존하기 위한 장서각을 건립하였으며, 1972년에는 부속건물로 부용당을 건립하고, 입구에 《성산별곡》 시비를 세웠다. 주변에는 정철이 김성원과 함께 노닐던 자미탄, 노자암, 견로암, 방초주, 조대, 서석대 등 경치가 뛰어난 곳이 여러 곳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광주호의 준공으로 거의 물속에 잠겨버렸다.
2. 송강정철 작품분석
1) 사미인곡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한생 緣연分분이며 하날 모랄 일이런가
나 하나 졈어 잇고 님 하나 날 괴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졸 데 노여 업다
平평生생애 願원하요데 한데 녜자 하얏더니
늙거야 므삼 일로 외오 두고 글이난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의 올낫더니
그 더대 엇디하야 下하界계예 나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
  • 가격6,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3.13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