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뇌] 분리뇌, 실어증(표현실어증, 수용성 실어증), 기타 실어증(전환실어증, 시각적 실어증, 명칭실어증, 전반적 실어증, 난독증, 실서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뇌] 분리뇌, 실어증(표현실어증, 수용성 실어증), 기타 실어증(전환실어증, 시각적 실어증, 명칭실어증, 전반적 실어증, 난독증, 실서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ONTENTS

언어와 뇌

I. 분리뇌

II. 실어증
1. Broca 실어증 - 표현실어증
2. Wernicke 실어증 - 수용성 실어증

III. 기타
1. 전환실어증
2. 시각적 실어증
3. 명칭 실어증
4. 전반적 실어증
5. 난독증
6. 실서증

본문내용

등의 대용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앞에 있는 의자를 의자라고 알고는 있지만, 이것을 \'의자\' 라고 말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서, 번번히 \'그것 즘 치워주세요\' 라고 한다거나 \'그것에 앉으세요\'
라고 하는 경우가 바로 이러한 명칭 실어증에 해당되어진다.
4) 전반적 실어증
다음의 실어증으로는 \'전반적 실어증(global aphasia)\'이 있다. 이는 뇌의 언어 담당 영역의
앞 뒤 부분이 모두 손상되어 모든 언어처리 구성요소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라고 할 수 있겠
다. 따라서 \'안녕하세요? 와 \"안녕? \"과 같은 상투적인 어구라든지 무의미한 단어들을 말할
수 있을 뿐, 그 이외에는 대부분의 언어기능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5) 난독증
언어 장애의 또 다른 유형으로는 난독증과 실서증이 있다. 우선 \'난독증(acquired dyslexia)\'은 실독증이라고도 불리며, 시각기관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두뇌 이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독서장애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시각은 정상이지만 특정한 교육을 받은 이후에도 책을 읽을 수 없다거나 책에서 읽은 내용들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두뇌 이상으로 인해 일어나는 난독증으로 분류하고 있다.
6) 실서증
\'실서증(agraphia)\'은 시각과 손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글을 쓰지 못하느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우리 뇌의 시각자극 정보와 언어 상징 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에 손상이 생겨서 뇌의 시각중추와 언어중추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생겨나는 증상이라고 보면 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