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기 언어발달
I. 영아기 언어교육의 중요성과 목표
II. 언어발달이론
1. 학습이론
2. 생득이론
3. 인지이론
- 피아제의 이론
- 비고츠키 이론
III. 영아의 언어발달과정
1. 전 언어 단계
2. 언어단계
3. 문장의 발달
I. 영아기 언어교육의 중요성과 목표
II. 언어발달이론
1. 학습이론
2. 생득이론
3. 인지이론
- 피아제의 이론
- 비고츠키 이론
III. 영아의 언어발달과정
1. 전 언어 단계
2. 언어단계
3. 문장의 발달
본문내용
되어 언어발
달의 기반을 형성한다. 성인과의 접촉을 통하여 영아의 옹알이는 자신이 소속된 집단에
서 자주 쓰이는 소리로 점차 바뀌어가게 된다. 어머니나 영아를 돌보는 가족들이 영아에
게 소리내어 말을 함으로써 계속 자극을 주고, 영아의 표현에 대하여 성의 있는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영아의 발성을 자극한다. 이처럼 옹알이는 발성 연습이 되기 때문에 언어
발달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소통이 매개체 역할을 하는 사회적인 가치를
지닌다.
옹알이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영아는 혼자 누워 있을 때 옹알이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이때 옹
알이는 하나의 놀이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둘째, 옹알이는 같은 음절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반복놀이를
통하여 영아는 무의도적으로 일종의 발성 연습을 하게 된다.
셋째, 옹알이는 개인적인 활동이다. 모음, 자음 및 음절 비슷한 음들이 발성되는 경우
가 차츰 증가하게 되지만, 영아가 성장하면서 대체로 주변환경 특히 가정에서 많이 듣던
익숙한 음들을 더욱 많이 발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넷째, 영아의 옹알이는 차츰 일상 언어 같은 억양이 곁들여진다. 여전히 옹알이는 무
의미한음의 반복에 지나지 않으나 영아가 여기에 음률적인 억양을 붙여 어조의 높고,
낮음이 있게 된다.
- 몸짓
몸짓이란 언어 대신 사지나 몸체를 움직여서 자신의 의도와 요구를 표현하는 것으로
영아에게 있어서 중요한 언어의 역할을 한다. 몸짓은 음성 언어를 대신하거나 보충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단어를 사용하여 말을 하기 시작한 후에도 유아는 불완전한 어휘력
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언어로써 몸짓을 사용한다. 따라서 영아들의 언어에서는 만어와
몸짓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말하기를 배운 후에도 유아들은 몸짓을 사용하
여 의사소통하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몸짓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의사
소통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이것이 습관으로 굳어져 언어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만큼 언어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보충하는 경우 이외에는 몸짓을
자주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기 소리 모방
6개월경에 이르면 영아는 자기 스스로 소리를 만들어 반복해 내는 자기 소리 모방을
시작한다. 즉, 옹알이를 하다가 우연히 자신이 발성한 소리에 자극이 되어 계속 같은 말
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소리 모방은 마마, 아바'와같이 단순한자음과모
음이 결합된 소리로 의미 있는 단어로 보기는 어렵다.
- 타인 소리 모방
생후 9개월경부터 영아는 주변 사람들의 말소리를 의식적으로 모방하기 시작한다. 그
러나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의 의미를 알고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메아리처럼 그대로
따라한다고 하여 반향어(echolalia)라고 한다. 언어발달 단계에서 유아는 모방을 통하여
많은 부분의 연어를 발달시켜 나가게 된다고 볼 때, 이렇게 단순한 타인의 말이나 소리
를 모방하는 것은 어휘 발달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2) 언어 단계
생후 1년을 전후하여 영아가 특정 사물이나 사람 또는 사건을 지칭하기 위하여 낱말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유아기를 거치면서 본격적인 언어발달이 시작된다. 언어단계는 크게
한 단어 단계, 두 단어 단계 및 문법의 발달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한 단어 단계(one word stage)
한 단어 단계란 첫돌을 전후하여 영아가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는 때부터 18개월을
전후하여 두 단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시기를 뜻한다. 이 시기에 영아는 하
나의 단어나 어휘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즉, 한 단어 시기의 영아는 하나의 단어나
어휘를 가지고 단순히 하나의 대상을 지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낱말로 문장의
의미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영아가 '맘마'라고 말하는 것은 '배 고파요', '우유주세요'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대다수의 부모들이 이러한 영아의 한 단어의 의
미를 잘 이해하는 것 같으나 영아가 전달하려는 구체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영아가 처음에 주로 사용하는 단어들은 친숙한 사물이나 대상의 이름
이 대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음식, 신체 부분, 옷, 동물, 자동차 및 사람에 관한 것이다.
이 시기 영아의 언어발달상의 특징 중 하나는 과잉확대(over extension)현상이다. 과
잉확대란 하나의 단어를 적합하지 않은 다른 대상에게까지 일반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아는 개를 멍멍이라고 부르게 된 후에도 고양이, 송아지 등 네발
달린 짐승 모두를 지칭하는데 멍멍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확대 현상은 모양
이 지각적으로 유사하거나 기능면에서 공통성이 있거나 같은 범주에 속하는 대상에 대
해서 나타나게 된다(Clank, 1983).반면, 자기 그림책 속의 개는 멍멍이라고 하지만 이웃
집 개나 다른 아이의 그림책 속에 있는 개는 멍멍이라고 하지 않는 경우도 때로 있는데
이를 과잉축소(under extension)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잉확대와 축소 현상은 영아
기 지나면서 어휘력이 증가하고 문법을 획득하면서 사라진다.
- 두 단어 단계 (two word stage)
일반적으로 18-20개월에 두 개의 단어를 연결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게 되면 두 단어
시기가 시작된다. 이 단계의 유아는 명사와 주 동사나 형용사를 연결시킨다. 이 단계의
언어를 전보식 연어(telegraphic speech)라고도 하는데, 이는 이 시기의 유아가 사용하는
언어가 마치 전보문처럼 조사나 접속사가 생략된 채 '엄마', 자, '우유 더' 등과같이 가
장 핵심적인 단어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유아기 초기에 두 단어만을 사용
하여 문장을 만드는 것은 유아의 기억과 정보 처리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으로 짐작
된다.
(3) 문장의 발달
두 단어 시기가 끝나는 2세경부터 두 단어 문장과 세 단어 문장이 동시에 나타나고, 세
단어 이상을 쓰는 다어문 시기(2-4세)로 들어가게 되며, 6세경부터는 문법 규칙을 익히
는 동사 숙달기에 들어가면서 아동의 언어 발달은 10세경까지 계속 이루어진다.
달의 기반을 형성한다. 성인과의 접촉을 통하여 영아의 옹알이는 자신이 소속된 집단에
서 자주 쓰이는 소리로 점차 바뀌어가게 된다. 어머니나 영아를 돌보는 가족들이 영아에
게 소리내어 말을 함으로써 계속 자극을 주고, 영아의 표현에 대하여 성의 있는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영아의 발성을 자극한다. 이처럼 옹알이는 발성 연습이 되기 때문에 언어
발달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소통이 매개체 역할을 하는 사회적인 가치를
지닌다.
옹알이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영아는 혼자 누워 있을 때 옹알이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이때 옹
알이는 하나의 놀이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둘째, 옹알이는 같은 음절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반복놀이를
통하여 영아는 무의도적으로 일종의 발성 연습을 하게 된다.
셋째, 옹알이는 개인적인 활동이다. 모음, 자음 및 음절 비슷한 음들이 발성되는 경우
가 차츰 증가하게 되지만, 영아가 성장하면서 대체로 주변환경 특히 가정에서 많이 듣던
익숙한 음들을 더욱 많이 발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넷째, 영아의 옹알이는 차츰 일상 언어 같은 억양이 곁들여진다. 여전히 옹알이는 무
의미한음의 반복에 지나지 않으나 영아가 여기에 음률적인 억양을 붙여 어조의 높고,
낮음이 있게 된다.
- 몸짓
몸짓이란 언어 대신 사지나 몸체를 움직여서 자신의 의도와 요구를 표현하는 것으로
영아에게 있어서 중요한 언어의 역할을 한다. 몸짓은 음성 언어를 대신하거나 보충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단어를 사용하여 말을 하기 시작한 후에도 유아는 불완전한 어휘력
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언어로써 몸짓을 사용한다. 따라서 영아들의 언어에서는 만어와
몸짓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말하기를 배운 후에도 유아들은 몸짓을 사용하
여 의사소통하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몸짓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의사
소통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이것이 습관으로 굳어져 언어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만큼 언어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보충하는 경우 이외에는 몸짓을
자주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기 소리 모방
6개월경에 이르면 영아는 자기 스스로 소리를 만들어 반복해 내는 자기 소리 모방을
시작한다. 즉, 옹알이를 하다가 우연히 자신이 발성한 소리에 자극이 되어 계속 같은 말
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소리 모방은 마마, 아바'와같이 단순한자음과모
음이 결합된 소리로 의미 있는 단어로 보기는 어렵다.
- 타인 소리 모방
생후 9개월경부터 영아는 주변 사람들의 말소리를 의식적으로 모방하기 시작한다. 그
러나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의 의미를 알고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메아리처럼 그대로
따라한다고 하여 반향어(echolalia)라고 한다. 언어발달 단계에서 유아는 모방을 통하여
많은 부분의 연어를 발달시켜 나가게 된다고 볼 때, 이렇게 단순한 타인의 말이나 소리
를 모방하는 것은 어휘 발달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2) 언어 단계
생후 1년을 전후하여 영아가 특정 사물이나 사람 또는 사건을 지칭하기 위하여 낱말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유아기를 거치면서 본격적인 언어발달이 시작된다. 언어단계는 크게
한 단어 단계, 두 단어 단계 및 문법의 발달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한 단어 단계(one word stage)
한 단어 단계란 첫돌을 전후하여 영아가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는 때부터 18개월을
전후하여 두 단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시기를 뜻한다. 이 시기에 영아는 하
나의 단어나 어휘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즉, 한 단어 시기의 영아는 하나의 단어나
어휘를 가지고 단순히 하나의 대상을 지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낱말로 문장의
의미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영아가 '맘마'라고 말하는 것은 '배 고파요', '우유주세요'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대다수의 부모들이 이러한 영아의 한 단어의 의
미를 잘 이해하는 것 같으나 영아가 전달하려는 구체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영아가 처음에 주로 사용하는 단어들은 친숙한 사물이나 대상의 이름
이 대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음식, 신체 부분, 옷, 동물, 자동차 및 사람에 관한 것이다.
이 시기 영아의 언어발달상의 특징 중 하나는 과잉확대(over extension)현상이다. 과
잉확대란 하나의 단어를 적합하지 않은 다른 대상에게까지 일반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아는 개를 멍멍이라고 부르게 된 후에도 고양이, 송아지 등 네발
달린 짐승 모두를 지칭하는데 멍멍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확대 현상은 모양
이 지각적으로 유사하거나 기능면에서 공통성이 있거나 같은 범주에 속하는 대상에 대
해서 나타나게 된다(Clank, 1983).반면, 자기 그림책 속의 개는 멍멍이라고 하지만 이웃
집 개나 다른 아이의 그림책 속에 있는 개는 멍멍이라고 하지 않는 경우도 때로 있는데
이를 과잉축소(under extension)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잉확대와 축소 현상은 영아
기 지나면서 어휘력이 증가하고 문법을 획득하면서 사라진다.
- 두 단어 단계 (two word stage)
일반적으로 18-20개월에 두 개의 단어를 연결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게 되면 두 단어
시기가 시작된다. 이 단계의 유아는 명사와 주 동사나 형용사를 연결시킨다. 이 단계의
언어를 전보식 연어(telegraphic speech)라고도 하는데, 이는 이 시기의 유아가 사용하는
언어가 마치 전보문처럼 조사나 접속사가 생략된 채 '엄마', 자, '우유 더' 등과같이 가
장 핵심적인 단어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유아기 초기에 두 단어만을 사용
하여 문장을 만드는 것은 유아의 기억과 정보 처리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으로 짐작
된다.
(3) 문장의 발달
두 단어 시기가 끝나는 2세경부터 두 단어 문장과 세 단어 문장이 동시에 나타나고, 세
단어 이상을 쓰는 다어문 시기(2-4세)로 들어가게 되며, 6세경부터는 문법 규칙을 익히
는 동사 숙달기에 들어가면서 아동의 언어 발달은 10세경까지 계속 이루어진다.
추천자료
-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