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17장. 경계선 성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enry E. Adams, Jeffery A. Bernat, and Kristen A. Luscher]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서번역] 17장. 경계선 성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enry E. Adams, Jeffery A. Bernat, and Kristen A. Lusch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관

1. DSM-Ⅳ 진단기준

2. 평가

3. 유병률

4.공병

5. BPD의 경과와 결과

6. 역학

7. 치료

요약

본문내용

, 1990; Paris, 1999).
비록 특별히 BPD와 관련되어 생물학적 지표들이 나타나는지 분명하지는 않지만,
affective instability 와 cholinergic두드러기 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증가된 민감성간에
생물학적 관련성을 지지하는 연구들이 있다 (Figueroa & Silk, 1997; Steinberg, Trestman, & Siever, 1994).
.Andrulonis, Blueck, Stroebel, & Vogel(1982), Gardner, Lucas, & Cowdry(1987),
van Reekum, Links, & Boiago(1993)는
BPD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soft neurological signs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 하지만 이런 지표들은 BPD에게만 특정하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즉 다른 환자 집단에서도 나타남 ( Zanarini et al., 1994).
요약해보면
현존하는 여러 연구들은
생물학적 지표들이 BPD에게만 한정된 것은 아닐지라도,
BPD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들이 있다고 보고 있다.
.우울증이 공병하는 어떤 BPD 환자들은 우울 환자들의 hypothylamic-pituitary-adrenal(HPA)를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충동 특성이 있는 BPD 는 세로토닌계통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cholinergic 과 아드레날린 계통의 nonspecific abnormalities 은
불쾌감, 정서적 불안정성, 환경자극에의 과민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2. 심리적인 요인들
6.2.1. 아동기 외상
많은 연구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BPD 환자들이, 아동기 신체적 학대가 더 자주 보고 된다고 밝혔지만(Herman et al., 1989), 어떤 연구들은 그런 연관이 없다고 밝혔다(Ogata, Silk, Goodrich, et al., 1990)
가장 일관된 결과는 아동기 성학대 경험(CSA)과 BPD와 관련성이다.
BPD 환자의 50 ~ 70% 가 아동기 성학대 경험을 보고( Paris, 1994; Zanarini et al., 1993; Zittel & Westen, 1998)
게다가 CSA는 neglect 나 loss와 같은 다른 요인과 독립적으로 BPD와 강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Ogata et al., 1990; Paris et al., 1994a)
이런 관점에서 몇몇 연구자들(Herman & van der Kolk, 1987)은 아동기 외상을 BPD 병인을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제안해왔다.
그러나
Paris(1999)는 CSA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①CSA가 BPD의 병인 위험 요인으로의 specificity 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아동기 외상은 BPD 뿐 아니라 다른 성격장애에서도 보고된다(Paris et al)
성학대를 포함하여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모든 사람이 BPD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고,
사실, CSA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여러 임상적인 범위(우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물질남용, 정상적인 표현)에 걸쳐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동기 외상은 어느 한 가지 장애에 한정된 병인이라기보다 정신병리의 일반적인 위험요인이라 생각된다는 것이다(Browne & Finkelhor, 1986; Paris, 1999)
②대부분의 연구들이 성 학대 의 변수나 특징( 가해자의 정체나, 학대의 심각성 정도나 빈도, 지속기간)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Paris et al(1994a,b)는 BPD 환자 표본에서 CSA의 심각성 정도에 대한 변수를 알아보았는데, 성학대 정도가 심각할수록 훨씬 더 BPD 발병과 관련이 있었다.
③대부분의 연구들이 CSA 와 수반되는 위험요인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CSA는 무질서하고 병리적인 가족환경에서 자주 일어난다(Finkelhor, Hotaling, Lewis, & Smith, 1990).
.지역사회연구들에서, CSA의 long-term effects를 보면 가족 기능의 이상 abnormalities과 상관이 있다고 함(Nash et al, 1993)
.유년시절의 기질이나 성격특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과 CSA가 얼마나 상호작용 하는지를 연구들이 고려해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Paris, 1999)
④CSA와 BPD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effect size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Fossati et al(1999)는 21편의 출간된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CSA와 BPD 사이에 중간정도의 상관(.279)을 보였다고 함
요약하자면
아동기 외상, 특히 성학대는 BPD 발달의 심리적 위험요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효과크기가 구체적이지 않고, 학대의 변수나 특징, 지지적인 가족환경인지 아닌지, 아동의 기질, 생물학적위험요인, 심리적인 위험요인이 부가적으로 존재하는지 등 다양한 상호작용 요인들에 따라 다르다. 앞으로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6.2.2. 부모와의 분리나 상실경험
몇몇 연구들은 BPD 환자의 초기 아동기 분리나 상실경험정도를 알아보았다(Akiskal et al., 1985; Links, Steiner, Offord, & Eppel, 1988; Soloff & Millward, 1983; Zanarini, Gunderson, Marino, Schwartz & Frankenburg, 1988).
.Zanarini & Frankenburg ( 1997)가 이들 연구들의 결과들을 요약해봤더니,
①BPD 환자 가운데 초기 아동기의 분리나 상실경험이 흔히 있더라는 것( 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BPD의 37~64%정도가 생애초기에 부모와의 분리나 상실을 보고함)
②오래 지속된 분리나 초기 상실경험유무가 psychotic, affective, 또는 다른 성격장애 등을 포함한 다른 정신장애환자와 BPD를 구별하게 함
그러나
위의 연구결과와 다른 연구들이 있다
Paris et al(1994a,b)는 BPD 와 다른 성격장애들을 비교해
  • 가격1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03.2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