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2. 사회학습이론의 구성요소
1) 상호결정 주의(reciprocal determinism)
2) 환경과 상황
3) 타인 관찰에 의한 학습
4) 행동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Behavioral Capability)
5) 강화(Reinforcement)
6) 결과 예측(Outcome expectations)
7) 결과에 대한 기대
8) 자기 효능감
9) 성과의 자기 조정
10) 감정의 조절(Management of Emotional Arousal)
3. 사회학습이론의 평가
<참고문헌>
2. 사회학습이론의 구성요소
1) 상호결정 주의(reciprocal determinism)
2) 환경과 상황
3) 타인 관찰에 의한 학습
4) 행동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Behavioral Capability)
5) 강화(Reinforcement)
6) 결과 예측(Outcome expectations)
7) 결과에 대한 기대
8) 자기 효능감
9) 성과의 자기 조정
10) 감정의 조절(Management of Emotional Arousal)
3. 사회학습이론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 왓슨은 부모에게 어렸을 적부터 자녀를 훈련시켜야하고 아이의 응석을 받아주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였다.
손다이크는 학습의 과학적 연구에 초점을 맞춘 대표적 심리학자이다. 그는 ‘결과의 법칙’, ‘연습의 법칙’, ‘준비도의 법칙’ 등 학습과 관련된 여러 법칙을 발견하였다. 손다이크는 유아의 바람직한 습관형성을 위해 기본생활습관 및 행동변화를 각각 항목화하고 수치화하여 측정하였으며 오늘날 측정도구를 통해 교육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손다이크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스키너 역시 손다이크와 마찬가지로 심리학은 동물과 사람의 외형적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행동과학으로 생각하였다. 스키너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원인이 있고, 그 원인은 외부에 있다. 따라서 스키너는 왓슨과 손다이크와 같은 초기의 다른 행동주의자와 마찬가지로 자아개념, 욕구, 흥미와 같은 개인의 내적인 요인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다. 이들의 이론은 모두 환경결정론으로 초기 행동주의 이론의 주요 내용이기도 하다.
이들과 달리 반두라는 인간은 동물과 달리 자신의 행동과 행동결과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인지적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인지적 강조로 인해, 반두라의 이론을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이라 칭한다. 또한 ‘보보인형’ 관찰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듯이, 반두라는 관찰학습을 중요한 발달과정으로 인식하였다. 최근 반두라는 자신이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개인적 신념인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발달의 주요 매개로 강조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상황이 요구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확신으로, 개인의 행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의 개념은 최근에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이론은 조건과 모델링을 통해서 아동의 바람직한 행동은 격려하는 반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조작적 조건 형성 원리를 이용한 행동수정 개념은 아동의 문제를 바람직한 행동으로 대체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러나 행동주의 학습이론들의 관점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학습 이론가들을 제외한 행동주의 학습이론가들은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며, 환경의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생물학적 영향력을 간과하였다는 점에 있다. 또한 눈에 보이는 행동에만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인간행동과 발달을 충분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은 초기학습이론에 비한다면 인간의 인지체계를 통해 연결된 환경과 행동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완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체계가 발달하고, 이러한 발달이 관찰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은 규명도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권재선(2007). 자기 조절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 교육 방안: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송석재(2003). 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상미(2009). 폭력 영상매체 노출에 따른 청소년 비행연구: 사회학습 이론과 둔감화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영옥(2005). 미술치료가 청년기 뇌성마비인의 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반두라(Bandura)의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이영조(1997).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도덕 습관 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채수창(1997). 도덕적 습관 형성과 행동수정을 위한 초등도덕교육 방법 연구: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손다이크는 학습의 과학적 연구에 초점을 맞춘 대표적 심리학자이다. 그는 ‘결과의 법칙’, ‘연습의 법칙’, ‘준비도의 법칙’ 등 학습과 관련된 여러 법칙을 발견하였다. 손다이크는 유아의 바람직한 습관형성을 위해 기본생활습관 및 행동변화를 각각 항목화하고 수치화하여 측정하였으며 오늘날 측정도구를 통해 교육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손다이크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스키너 역시 손다이크와 마찬가지로 심리학은 동물과 사람의 외형적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행동과학으로 생각하였다. 스키너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원인이 있고, 그 원인은 외부에 있다. 따라서 스키너는 왓슨과 손다이크와 같은 초기의 다른 행동주의자와 마찬가지로 자아개념, 욕구, 흥미와 같은 개인의 내적인 요인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다. 이들의 이론은 모두 환경결정론으로 초기 행동주의 이론의 주요 내용이기도 하다.
이들과 달리 반두라는 인간은 동물과 달리 자신의 행동과 행동결과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인지적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인지적 강조로 인해, 반두라의 이론을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이라 칭한다. 또한 ‘보보인형’ 관찰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듯이, 반두라는 관찰학습을 중요한 발달과정으로 인식하였다. 최근 반두라는 자신이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개인적 신념인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발달의 주요 매개로 강조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상황이 요구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확신으로, 개인의 행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의 개념은 최근에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이론은 조건과 모델링을 통해서 아동의 바람직한 행동은 격려하는 반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조작적 조건 형성 원리를 이용한 행동수정 개념은 아동의 문제를 바람직한 행동으로 대체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러나 행동주의 학습이론들의 관점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학습 이론가들을 제외한 행동주의 학습이론가들은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며, 환경의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생물학적 영향력을 간과하였다는 점에 있다. 또한 눈에 보이는 행동에만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인간행동과 발달을 충분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은 초기학습이론에 비한다면 인간의 인지체계를 통해 연결된 환경과 행동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완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체계가 발달하고, 이러한 발달이 관찰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은 규명도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권재선(2007). 자기 조절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 교육 방안: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송석재(2003). 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상미(2009). 폭력 영상매체 노출에 따른 청소년 비행연구: 사회학습 이론과 둔감화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영옥(2005). 미술치료가 청년기 뇌성마비인의 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반두라(Bandura)의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이영조(1997).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도덕 습관 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채수창(1997). 도덕적 습관 형성과 행동수정을 위한 초등도덕교육 방법 연구: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키워드
추천자료
Albert Bandura(1925~ )의 사회학습이론 분석
Albert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에 대한 비교분석(모든것)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인간발달변화에 대한 행동주의적 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비교.hwp
사회학습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학습이론
[교육학]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학습, 사회학습이론 정리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학습이론 - Bandura의 생애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Bandura의 생애,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과정, ...
사회학습이론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을 활용한 미술 교육
사회학습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