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 ‘일본의 역사적 인물’을 선택한 이유
2. 본론 - ⓵ ‘오다 노부나가’
⓶ ‘도쿠가와 이에야스’
⓷ ‘후쿠자와 유키치’
⓸ ‘이토’
3. 결론 - 끝을 맺으면서
- 발표를 통해 느낀 점
1. 서론 - ‘일본의 역사적 인물’을 선택한 이유
2. 본론 - ⓵ ‘오다 노부나가’
⓶ ‘도쿠가와 이에야스’
⓷ ‘후쿠자와 유키치’
⓸ ‘이토’
3. 결론 - 끝을 맺으면서
- 발표를 통해 느낀 점
본문내용
오다 노부나가와 손을 잡은 대가는 혹독했다. 이후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와의 동맹 관계를 공고히 하였다.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나가의 통일 전쟁에 함께 참여하여 그를 측면에서 지원하였다. 그러면서 자신도 점차 그 세력을 확장하여 갔다. 그는 아네카와 전투에서 오다 노부나가를 돕고 나가시노 전투에서는 다케다 신겐의 아들 다케다 가쓰요를 격파하고 5개의 나라(스루가, 도오토미, 가이, 시나노, 미카와)를 경영하게 되었다.
이에야스의 비약적 발전은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 확장에 힘입은 것이 컸다. 명목상으로는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관계였지만 사실, 이에야스에게 오다 노부나가는 주군과 다름없었다. 오다 노부나가의 뜻을 거스른다면 이에야스는 존재하는 것도 어려울 형편이었다.
운명의 세키가하라 전투
동쪽에 자리 잡은 이에야스는 제어력을 상실한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켜 각 지역 다이묘들을 국제 전쟁터로 내몰 때 아직 영지의 혼란이 수습되지 않았다는 핑곗거리를 대며 유일하게 전쟁에 참가하지 않고 일본에 남아 군사력을 비축했다.
히데요시가 임진왜란 중에 사망하고 전쟁이 끝이 나자 일본 국내는 다시금 중앙의 정권을 탈취하기 위한 다이묘들의 각축장이 되었다. 이때 실질적으로 가장 큰 힘을 가졌던 이에야스는 임진왜란에 나갔던 무공파 다이묘들을 회유하여 자신의 아래에 두고 각지의 다이묘들과 혼인 동맹을 맺으면서 그 힘을 더욱 키워나갔다.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정에서 대치하였다. 이 전투가 바로 세키가하라 전투이다. 사실 이 전투는 단 하루 만에 끝난 싱거운 싸움이었지만, 일본 전역의 다이묘들이 동군과 서군으로 양분되어 맞선 상징적 전투로서 의미가 있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이 승리하면서 이에야스는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일본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고 이 승전으로 에도 막부가 열리는 기초가 다져졌다.
에도 막부를 열다.
1603년 2월 천황으로부터 막부 설립을 허가받은 이에야스는 마침내 에도 막부를 열었다. 이에야스는 쇼군이 된 뒤 2년 만에 자리를 물려주고 마지막으로 토요토미 히데요리를 비롯하여 얼마 남지 않은 토요토미 가문을 트집을 잡아 1615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도쿠가와의 평화’를 이루어냈다. 그리고 그 평화는 그의 자손들이 250년간 막부의 쇼군 자리에 오르면서 유지되었다.
동양 혁명가들에게 절대적인 존재 ‘후쿠자와 유키치’
현재 일본에서 통용되고 있는 만 엔 짜리 지폐에는 학자풍의 인물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가 바로 후쿠자와 유키치로 일본의 명문사학 게이오 대학의 전신인 게이오 의숙을 창시한 일본의 대표적인 근대 계몽 사상가입니다
김옥균, 박영호 등 한국의 개혁파들이 그를 스승으로 모실 정도로 당시 입헌 정부를 수립하고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려는 동양의 혁명가들에게 그는 절대적인 존재였습니다.
도쿠가와 막부의 관리로 일찍이 미국, 영국 등을 견학한 바가 있는 그는 서양의 의회 제도, 교육, 인권 사상 등을 소개하는데 열심이었습니다.
1870년대에 쓴<학문을 권함>은 1872년부터 76년까지 낸 17편의 소책자를 묶은 것으로 진보적인 계몽사상가로서의 후쿠자와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학문을 권함>은 현대의 우리에게는 당연함 관념이 되어 버린 인권 평등, 실학의 중요성, 국가 독립, 국법의 준수 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계몽사상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세련된 논리와 충만한 기백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자들이 보편적은 도덕적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투쟁했던데 비해 후쿠자와의 유일한 목표는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일본의 독립을 보전하는 것과 나아가 일본도 열강의 대열에 끼는데 있었습니다.
이
이에야스의 비약적 발전은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 확장에 힘입은 것이 컸다. 명목상으로는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관계였지만 사실, 이에야스에게 오다 노부나가는 주군과 다름없었다. 오다 노부나가의 뜻을 거스른다면 이에야스는 존재하는 것도 어려울 형편이었다.
운명의 세키가하라 전투
동쪽에 자리 잡은 이에야스는 제어력을 상실한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켜 각 지역 다이묘들을 국제 전쟁터로 내몰 때 아직 영지의 혼란이 수습되지 않았다는 핑곗거리를 대며 유일하게 전쟁에 참가하지 않고 일본에 남아 군사력을 비축했다.
히데요시가 임진왜란 중에 사망하고 전쟁이 끝이 나자 일본 국내는 다시금 중앙의 정권을 탈취하기 위한 다이묘들의 각축장이 되었다. 이때 실질적으로 가장 큰 힘을 가졌던 이에야스는 임진왜란에 나갔던 무공파 다이묘들을 회유하여 자신의 아래에 두고 각지의 다이묘들과 혼인 동맹을 맺으면서 그 힘을 더욱 키워나갔다.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정에서 대치하였다. 이 전투가 바로 세키가하라 전투이다. 사실 이 전투는 단 하루 만에 끝난 싱거운 싸움이었지만, 일본 전역의 다이묘들이 동군과 서군으로 양분되어 맞선 상징적 전투로서 의미가 있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이 승리하면서 이에야스는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일본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고 이 승전으로 에도 막부가 열리는 기초가 다져졌다.
에도 막부를 열다.
1603년 2월 천황으로부터 막부 설립을 허가받은 이에야스는 마침내 에도 막부를 열었다. 이에야스는 쇼군이 된 뒤 2년 만에 자리를 물려주고 마지막으로 토요토미 히데요리를 비롯하여 얼마 남지 않은 토요토미 가문을 트집을 잡아 1615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도쿠가와의 평화’를 이루어냈다. 그리고 그 평화는 그의 자손들이 250년간 막부의 쇼군 자리에 오르면서 유지되었다.
동양 혁명가들에게 절대적인 존재 ‘후쿠자와 유키치’
현재 일본에서 통용되고 있는 만 엔 짜리 지폐에는 학자풍의 인물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가 바로 후쿠자와 유키치로 일본의 명문사학 게이오 대학의 전신인 게이오 의숙을 창시한 일본의 대표적인 근대 계몽 사상가입니다
김옥균, 박영호 등 한국의 개혁파들이 그를 스승으로 모실 정도로 당시 입헌 정부를 수립하고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려는 동양의 혁명가들에게 그는 절대적인 존재였습니다.
도쿠가와 막부의 관리로 일찍이 미국, 영국 등을 견학한 바가 있는 그는 서양의 의회 제도, 교육, 인권 사상 등을 소개하는데 열심이었습니다.
1870년대에 쓴<학문을 권함>은 1872년부터 76년까지 낸 17편의 소책자를 묶은 것으로 진보적인 계몽사상가로서의 후쿠자와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학문을 권함>은 현대의 우리에게는 당연함 관념이 되어 버린 인권 평등, 실학의 중요성, 국가 독립, 국법의 준수 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계몽사상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세련된 논리와 충만한 기백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자들이 보편적은 도덕적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투쟁했던데 비해 후쿠자와의 유일한 목표는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일본의 독립을 보전하는 것과 나아가 일본도 열강의 대열에 끼는데 있었습니다.
이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의 기독교문학에 보는 일본사회와 일본사람 - 엔도오 슈사꾸의 소설을 중심으로
일본과 한국의 결혼문화를 통해 본 양국의 문화 비교 - 혼인과 혼례의 의의, 한국 일본의 결...
윤치호에 대한 인물조사
[일본문화] 드라마로본 일본문화
[일본문화]일본의 영화와 드라마
2011년 1학기 일본명작기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일본영화 박치기에 나타난 재일정체성)
광해영화감상문[역사적측면에서본광해영화감상문][광해의역사적의미][광해왕이된남자 감상문]...
박영효,박영효인물분석,인물분석,과부재가론,축첩폐지론,조혼폐지론,여성교육론
결혼문화를 통한 한일비교 (한국 결혼문화, 일본 결혼문화, 혼인 의의, 혼례 의의, 혼인 혼례...
일본의 경영학 (일본 경영학의 발전, 일본식 경영의 특질과 변화, 일본적 경영과 토요타시스...
일본 애니일본 애니메이션메이션
[일본학연구] 일본의 결혼관
(한국사 A+ report) [인물평전] 역사에서 자세히 다뤄지지 않은 인물_ 고하 송진우(古下 宋鎭...
[을미사변과 명성황후] 을미사변의 원인, 과정, 결과, 의의, 명성황후 인물분석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