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신들이다.
가옥의 가장 중요한 대들보에는 이 큰방에는 , 부엌에는 이 있으며, 뒷마당에는 , 마당에는 터주신이 우물에는 , 광에는 업신, 뒷간에는 칙신, 그리고 문간에는 문간대신이 있다. 이들은 각각의 자리에 자리 잡고 집안의 모든 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당. 마당. 1995년 7월호
강현두 논문, 언론학보 4호. 한양대 출판부. 1983.
김재수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자유출판사. 1987.
시관모 현대 한국사화의 계급구성과 계급문화. 한울. 1984. I. 들어가며
II. 신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1. 신세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당을 터주고 생각을 키워주며 내 주변의 여러 가지를 다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자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한 교육입니다.
생태 유아교육의 구체적 목적, 즉 키우고자 하는 아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입니다.
신명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당에서 나물, 떡, 밥, 술 등의 음식으로 간소하게 상을 차려 놓고 행해진다.
- 생전에 한을 품고 죽은 영산, 상문, 수비 등 인간의 삶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를 대상으로 간단히 굿을 함
- 장님타령, 해산타령
: 무당은 음탕한 장님 또는 해산모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4.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터주, 성주, 제석, 오방신장, 수문장, 조왕, 조상단지, 측신, 칠성 등
집의 밖 : 서낭(부근), 망령(망자), 잡귀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서낭은 마을의 수호신으로서의 집의 밖에 있는 신이며 잡귀는 불행하게 죽은 사람이거나 무주고혼인 것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이 아니라 사회적 배경과 자연적 환경에 의해 발생된 특성이라고 생각한다. 주거와 문화(서론)
◇ 주거문화와 민간신앙
1) 성주신과 마루
2) 조왕신과 부엌
3) 삼신과 안방
4) 측신과 화장실
5) 지신과 마당
6) 그 외 가택신
맺음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터주에 올렸다가 먹는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 달라 는 기원의 뜻이다.
18.밭고랑 기기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8월 14일 저녁에 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벗고 자기 연령 수대로 밭고랑을 긴다. 이 때에 음식을 마련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터주에 올렸다가 먹는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달라는 기원의 뜻이다.
⑦ 밭고랑 기기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8월 14일 저녁에 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벗고 자기 연령 수대로 밭고랑을 긴다. 이 때에 음식을 마련해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당중의 하나디다. 신재효가 적벽가를 고쳐 ‘화용도’라고도 한다. 중국의 ‘삼국지연의’ 가운데 관우가 화용도에서 포위된 조조를 죽이지 않고 너그러이 길을 터주어 달아나게 한 적벽대전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관산융마는 조선 정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터주가, 문에는 문신이, 부엌에는 조왕이, 우물에는 龍神이 있었다. 이밖에 財運을 맡은 업, 어린 목숨을 돌보는 삼신, 자손의 복을 빌어주는 조상신, 뒷간신 따위도 받들었다. 가신신앙은 여성들에 의해 지켜져 왔다. 가정의 무사태평과 가장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