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설-문제의 제기-
II. 민법총칙의 체계상의 지위
1. 민법의 편별
2. 민법총칙의 체계상의 지위
3. 한국민법총칙의 체계상의 지위
III. 재산법과 가족법과의 관계
1. 서 언
2. 학설사적 동향
3. 사 견
IV. 민법총칙의 통칙성
V. 결 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르는 바 아니나 恒常 問題解釋의 大半은 問題 提起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 많은 有志者의 硏究가 있기를 付託하는 바이다. 일. 제안경위
이. 비 판
삼. 그러면 이에 관하여 내려진 위의 두가지 판예를 보기로 한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여도 規定한다. 記載事項은 특히 當事者의 申請에 의하여 ① 當事者 또는 登記官吏에 의한 瑕疵가 있거나 또는 脫落된 것의 訂正 ② 住所 또는 居所의 變更 ③ 抵當債權額의 減少 또는 抵當不動産의 一部의 免除 ④ 抵當債權의 條件의 變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_ 제778조(호주의 정의)
_ 일가의 계통을 계승하자, 분가한 자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하여 일가를 창립하거나 부흥한 자는 호주가 된다.
_ 제781조(자의 입적, 성과본)
_ ① 자는 부의 성과 본을 따르고 부가에 입적한다.
_ 제784조(부의 혈족아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의 규정이 보충적으로 적용된다(제155조).
제 8 장 소멸시효
(1) 시효의 의의 : 일정한 사실상태·외관형식·권리의 부재가 장기간 계속된 경우 이 상태가 진실한 권리관계와 합치되지 않더라도 권리관계로 인정하려는 제도이다. 전자는 취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여 보았다. 불법행위법에 관한 독일민법전의 규정에 있어서 그 특징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個別的 構成要件主義를 채용한 점이다. 독일민법 제823조 1항에 의하여 불법행위가 성립하는 것은 생명·신체·건강·자유라는 4가지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하여 틀린 것은?
① 법률불소급원칙은 법학에 있어서 일반적인 원칙이기는 하지만 민법은 遡及效를 인정하
고 있다.
② 민법은 모든 한국인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이라도 외국에 거주하면 그 효력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여 민법 제34조가 유추적용되어 「정관으로 정한 범위 내」에서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대판 96.9.6. 94다18522 비법인사단에 대하여는 사단법인에 관한 민법 규정 가운데서 법인격을 전제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유추적용하여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동법 제9조 ②의 경우 '임차인이 사망한 경우에 사망당시 상속권자가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고 있지 아니한 때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여 민법 제818조는, 당사자 및 그 배우자직계존속8촌 이내의 혈족 또는 검사가 이를 취소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위 판례는, 죽은 重婚男의 이복동생이 重婚妻를 상대로 제기한 혼인취소청구에 대하여, 亡 본처와 그 소생의 딸 및 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