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작업 동기
I. 형평이론
II. 기대-유인가 이론
III. 목표설정이론
IV. 직무재설계이론
V. 조직행동수정이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직무수행상의 자율성, 직무의 중요성 등 내적 보상과 외재적인 보상에 더하여 추가되어야 한다
(2)직무재설계: 조직 구성원들의 작업의 질과 그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직무를 수정하는 것
(3)직무재설계 방법: 직무확장이론, 직무특성이론,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은 기대이론과 공정성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이 있는데 기대이론은 1960년대 중반이래 동기의 이론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Vroom에 의해서 대중화된 기대이론은 유인가 - 수단성 - 기대(valence-instrumentality-expectancy)이론 즉 VIE이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의 복잡성: 상호 관련되는 여러 요인들로 복잡하게 구성되어서 동 기화된다.
②인간은 직무에 능동적으로 공헌하기를 원한다: 미리 동기화되어 있는 존재
③작업이란 필연적으로 불유쾌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직무확충, 직무재설계
④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 수정의 방법에는 긍정적 강화와 회피, 처벌과 소멸이 있다. 조직원의 동기 부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임금, 승진, 신분 보장과 같은 적절한 보상시스템이 있다. 이외에는 목표관리, 행동수정, 작업시간 변경, 직무 재설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 수정의 방법에는 긍정적 강화와 회피, 처벌과 소멸이 있다. 조직원의 동기 부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임금, 승진, 신분 보장과 같은 적절한 보상시스템이 있다. 이외에는 목표관리, 행동수정, 작업시간 변경, 직무 재설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
1. 불공정성 인식요인
1/ 투입
2/ 산출
3/ 투입과 산출의 비율
4/ 준거의 인물
2. 공정성의 회복 방안
1/ 투입 변경
2/ 산출 변경
3/ 준거의 대상 변경
4/ 조직 이탈
3. 이론의 적용
IV. 목표설정이론
1.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직무와 관련된 작업가치관과 셀프에피커시와 같은 직무관련 개인특성 요인들과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직무와 관련된 개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Locke)
1) 개념
이 이론은 동기부여 실제기법, 목표설정과 과업 성과간 관계를 연구하여 목표달성의도가 직무에 대한 동기부여의 주요 원천으로 작용한다는 이론이다.이 이론은 기대이론 기본 전제인 인지적 쾌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0.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직이 장래의 어떤 시점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목표가 인간의 활동을 직접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이 목표설정이론의 특징이다. 즉, 목표에 대해 성취하고자 하는 의도가 지각될 때 동기유발의 힘이 가장 크게 작용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