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류전원을 연결하고, 전압을 0.01, 0.1, 1, 10V로 변화시키면서, CRO로부터 전압을 측정하여 표3에 기록한다. 이 때 0.01, 0.1, 1V 의 전압은 그림 9 회로로부터 V0를 이용한다.
1.52. (6) CRO 수평축에 1200Hz의 가청주파수 신호발생기를 연결하고, 수직축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직류회로”에서와는 달리 이번에는 회로에 교류전압을 가했는데, 이전 실험에서는 인덕터와 축전기의 기본적인 내용을 다뤘다면 이번 실험에서는 이 부품들에 대해서 심화된 이론을 다뤘다고 할 수 있다.
공명주파수를 구할 시 생겼던 오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vc는 이므로
출력전압은 로 주어지며 입력의 적분에 비레한다.
▷저항은 적분 커패시터의 전압을 방전시키므로 실효누설저항이다. 적분오차는 연산증폭기의 개방직류 이득에 반비례한다.
▷입력오프셋전압만 보상하면 충분한 정확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증폭도는 매우 큰데 보통 104105 이다. 아주 미소한 전압(예를 들어 0.001[V]의 전압이 10[V]까지 증폭된다.)도 크게 증폭되지만 그 출력 전압은 Op amp에 공급되는 전원의 직류전압(보통 ±15[V])을 초과할 수는 없다. 즉, 차동 입력 전압을 증폭 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1.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V를 가하면,
Q=cV
의 전하가 축적된다. 또한 이것에 교류전압 V를 가하면 전하는 충방전되어, 직류의 경우 전하는 축적되지만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에대해 교류의 경우는 그 크기가 1/w C의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와 같고, 위상이 전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0.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기동시1/3로 할 수 있고, 기동장치는 비교적 간단하나, 별도의 기동장치가 필요하다.
-적용:10HP이상20HP이하의 중규모 유도전동기에 적합하다.
(2) 3상 Y-결선 농형 유도전동기의 무부하 시험과 회전자 구속 시험 및 직류 시험 결과가 다음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을 걸어 주기 위한 직류 전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음악용의 주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정도였으나 고체회로가 발달됨에 따라 이것을 마이크 내에 내장시켜 소형전지로 장시간 작동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방송용 마이크로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직류 및 교류의 전압·전류 등 측정
4. 실험 방법
- RC 회로
(1) 책의 그림 2와 같이 회로를 완성하라. 이 때 사각파형 발진기의 진동수는 50㎐에,
그리고 출력 전압을 최대에 두고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입력은 DC가 되도록 하라.
(2) 수직 입력 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직류 및 교류의 전압을 측정하는 사용법을 이해하고, 화면상의 파형에서 AC/DC/GND 스위치의 영향에 대해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인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처음 다루는 기기여서 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이 최대치의 70.7%가 되는 주파수이며, 출력전압은 차단주파수에서 3dB감소한다. 입력이 직류(0㎐)일 때, XL이 단락되므로 출력전압 Vo은 입력전압과 같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XL는 증가되므로 결과적으로 Vo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XL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