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
bit SW_ON;
void main(void)
RB0를 입력포트로 사용하겠다.
{
OSCCON = 0b0110000;
ANSEL = 0b00000000;
TRISB = 0b00000001;
while문 아래의 값을 반복한다.
TRISD = 0b00000000;
PORTD = 0b00000000;
while(1)
SW_ON = SW_ON ^ 1;
{
if(!RB0)
SW_ON ^=1;
\"^\"은 XOR 게이트를 표현한 것이다.
if(S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le(PORTD); {
Delay_routine(Value);
PORTD가 왼쪽 방향으로 1개식 이동된다.
PORTD <<=1;
}
if(PORTD==0b00000000)
만약 PORTD가 0b00000000이 된다면, PORTD를 초기 값 0b00000001로 선언한다.
PORTD==0b00000001;
}
}
-RD0의 LED가 왼쪽 방향으로 1개식 shift 되고, 왼쪽 방향의 shif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_sec == 500){
RD0 = 0;
RD1 = 0;
}
if(m_sec == 1000){
RD0 = 1;
sec를 10으로 하여, 10초에 1번 불이 켜지도록 하였다.
m_sec = 0;
sec++;
if(sec == 10){
RD1 = 1;
초기 값을 주어 2회 이상 반복 할 수 있게 한다.
sec = 0;
}
}
}
}
void main(void)
{
OSCCON = 0b01100000;
ANSEL = 0b00000000;
TRI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보계열
이름 백 * *
교수명 강 * *
작성일 04.14.화
목 차
1. CPU의 외부 구조 설명
●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microcomputer 내부에는 Arithmetic Logic Unit과 Control Unit, MEMORY 시스템(RAM과 ROM), I/O PORT가 BUS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져 있으며, CPU(Centerl Processing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001110
STORE 14
100
불러온 데이터 \"A\"를 13번지에 기억
001
0
001101
LOAD 13
101
\"A\"를 14번지의 수와 덧셈
011
0
001110
ADD 14
110
15번지에 결과 값 \"A\"를 기억
010
0
001111
STORE 15
111
계산 종료
111
0
000000
HALT
-Machine code : 명령어를 2진수로 바꿔 표현 한다.
-Assembl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ode
소비전력이 중간쯤 되는 일반적인 타입
INTOSC mode
내부에서 “IRCF”를 조정하여 8MHz~125KHz를 이용하는 것이다.
LFINTOSC
내부에서 “IRCF”를 조정하여 이용하지만 31KHz의
주파수만을 이용하는 것이다.(주로 watchdog 사용 시에 이용.)
1. Explain th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라 어떻게 출력되는지 확인 하는 시뮬레이션이다. 클럭이 진행됨에 따라 0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입력해준 1011의 값의 반대방향인 1101이 출력된다.
DATA
CLK
A
B
C
D
1
↑
1
1
1
1
0
↑
0
1
1
1
1
↑
1
0
1
1
1
↑
1
1
0
1
이번 시뮬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ND 자석의 자기장 값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ND 자석에 대한 거리당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이론 값이 없어서 실험에서 측정한 값이 오차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결과를 분석해보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AND(곱형태)의 OR(합) 꼴이다.
- e에 관한 최소식 및 게이트 형태. ba
dc
00
01
11
10
00
1
0
0
1
01
0
0
0
1
11
X
X
X
X
10
1
0
X
X
최소식 : e = A`B + A`C\'
AND(곱형태)의 OR(합) 꼴이다.
- f에 관한 최소식 및 게이트 형태. ba
dc
00
01
11
10
00
1
0
0
0
01
1
1
0
1
11
X
X
X
X
10
1
1
X
X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른 자기장의 세기 변화를 나타내고 두 번째 실험은 거리와 감긴 횟수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 변화,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실험은 솔레노이드 외부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각각의 투과상수는 어느 정도의 오차는 발생하였지만 값이 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