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단일제. 조선: 삼층제(향시, 대과, 전시)
참고문헌
- 권두승, 한국 사회교육의 변천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도현철, 고려시대 유교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 6, 서울 : 한길사, 1994
- 송준식·사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업교육으로 총 10학이 있었다. 양반들의 천시로 중인들만 배웠다.
2) 사학
(1) 서원
지방의 향교수준의 중등교육기관으로 백운동 서원이 효시이다. 서원이 다른 교육기관과 다른 점은 세속을 떠났기에 수양과 사색에 적당했고, 까다로운 학령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을 천시한 데 제도상의 모순
⑦조선시대 과학기술의 발전이 더딘 이유는 잡과교육은 중인들에 한정되었고, 중인들이 독점전승하였기 때문
2)잡과교육의 변천과정
①기초,토대: 고려 국자감에 두었던 율서산의 삼학
②조선시대 잡학 중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2006.
▷ 박용운 외.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2001.
▷ 최광만. 「고려시대 국자감 중심 교육체제의 형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려 함
④ 평등한 인간관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
⑤ 교육활동을 상하 쌍방의 수평적 관계로 보았음 제 1장. 고려시대의 교육
<제 1절. 관학>
1. 국자감
2. 향교
3. 학당
<제 2절 사학>
1. 12도
2. 서당
<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