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건언 1994, 〈일본인의 한국사 인식〉 삼민사 Ⅰ.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사건과 식민사관
1.식민사관
2.일본역사교과서 왜곡사건
Ⅱ.임나일본부설 및 광개토대왕비
1.임나와 임나일본부설
2.관련 근거 및 비판
①일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 사학계의 "고대 남조선경영론(임나 일본부설)"이 근거를 잃게 됨
(2) 중국의 동북공정을 학술적으로 제지
2.서예사적 의의
3. 고구려의 지리적 위치의 증거
4. 당시 사회상에 대한 역사적 사료로서 중요성
4. 기타 국내 역사적 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광개토대왕비는 당시 고구려의 王都(왕도)였던 鴨綠江(압록강) 北岸(북안) 國內城(국내성) 근교에 세워진 것이지만 현재의 행정구획으로는 中共(중공) 吉林省(길림성) 集安縣(집안현) 太王鄕(태왕향)에 속해 있다.
광개토대왕릉비가 건립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나일본부를 임나에 파견되어진 왜의 사신들로 이해한 것이다.
Ⅷ. 결론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는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문, 칠지도, 송서, 가야지역에서 확인한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들 어디에서도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나일본부를 임나에 파견되어진 왜의 사신들로 이해한 것이다.
Ⅷ. 결론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는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문, 칠지도, 송서, 가야지역에서 확인한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들 어디에서도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는 없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