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다.
<참고 문헌>
정여천,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
홍성원, "러시아 극동의 발전 가능성과 동북아지역국가와의 경제협력" 「한국슬라브학회」(2000)
서대숙, "한국과 러시아관계"(2000)
www.kinds.or.k
www.buyrussia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중국의 태도」,『통일전략 제5권 제1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5.8, pp115
유세희·김광용, 「중국과 러시아의 대(對)북핵정책 : 인식과 평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6
호사카 유지,「일본, 열린 지역주의 역내 경제협력 강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 대통령도 1997년 러·일 정상회담에서 TSR 활성화를 위한 협력에 합의해 극동지역에 대한 중요성을 천명한 바 있다.
한반도가 동북아 물류중심지로 부상
중국의 노력은 보다 구체적이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한국과 ‘한·중 철도협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협력은 관련국의 상호이득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장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협력의 현황’에서는 부문별 경제협력을 간략히 정리한다. 제3장 ‘러시아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잠재력’에서는 이 지역의 지경학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4,900원
- 등록일 2006.03.2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극동지역 영토는 중국 전체 영토에 비해 3분의 1이 넓지만 중국의 인구는 이 지역 인구의 30배가 넘어서며, 만일 전쟁이 발생할 경우 통상 모든 국가들이 전 국민의 약 10%를 모병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은 러시아 전체 인구와 맞먹는 1억3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