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사원형 (과거의 규칙적인 습관, 계속적 상태)
get used to + (동)명사 : ~에 익숙해지다.
be used to + (동)명사 : ~에 익숙해지다.
참고문헌
◇ 고재설(1988), 국어의 합성동사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기혁(1981), 국어 합성동사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들과 IMPROD 부류의 대부분의 동사들에서 보인다.
Ffond.°Snon.
-se [z]의 탈락PLAIREplaise-pl(ai>ai)(se)-t
-sse [s]의 탈락NAITREnaisse-n(ai>ai)(sse)-t
PLAIRE와 NAITRE도 어말 자음문자 탈락의 경우를 보이나, -ai-/-ai-에서 볼 수 있듯이 accent circonflexe가 나타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명사의 내부구조, 한국음운론학회, 2006 Ⅰ. 개요
Ⅱ. 내부구조와 합성명사
Ⅲ.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1. 설정마디(Coronal Node)
2. 주변마디(Peripheral Node)
3. 혓몸마디(Tongue Height Node)
Ⅳ.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1. ‘통사적 구성의 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ㄱ. 잘도 놀아만 나는 구나!
ㄴ.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ㄷ. 그가 올 듯도 하다.
ㄹ. 책을 읽어도 보고…
ㅁ.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
ㅂ. 잘난 체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동사인 (8㉠,㉡,㉢)의 예에서는 구성 성분의 의미로부터 합성어의 의미를 예측하기가 더 어렵다. 즉 합성동사 ‘덮어놓다, 들고일어나다, 돌아가다’는 일반적으로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않다, 집단적으로 항의하다, 죽다’등의 뜻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동사의 생성
◎ 김진수(1987), 국어 접속 조사와 어미 연구, 탑출판사
◎ 박영순(1994), 접속문의 성립 조건과 접속성의 정도에 대하여
◎ 지경래(1995), 일본어 문법 개설, 태학사
◎ 최희(2002), 아주 쉽게 배우는 영문법, 반석출판사
◎ 최현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이 두루 확인된다.
논밭, 똥오줌, 마소
길바닥, 돌다리, 눈물, 샘물
새해, 새마을, 이것, 그것
어린이, 작은집, 작은형, 큰아버지, 날짐승, 열쇠
갈림길, 지름길, 비빔밥, 디딤돌
늦더위, 감발, 늦잠, 부슬비
동사합성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됨. ‘집다’ 자체에 ‘들다’라는 의미 내포. 일단 분석을 해보자면, 동사의 어간 ‘집-’ + 보조적 연결어미 ‘-어’ + 동사어간 ‘들-’ + 종속적 연결어미 ‘-고’), ‘돌아선다’(합성동사, 합성동사 ‘돌아서다’동사어간 ‘돌-’ + 보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어간이 서로 합성하여 합성동사가 된 것이다.
(8)가. 바링, 하, 까
나.마초, 모도, 까초
(8)은 용언의 어간 또는 어근 그대로 부사가 된 예이다. 가는 형용사가, 나는 동사가 각각 부사가 된 것이다.
3. 중세 국어의 통사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되어 동사나 형용사가 되는 접미사이기도 하다. 동사를 만들 경우는 동사 파생 접미사라 하고, 형용사를 만들 경우는 형용사 파생 접미사라 한다.
ㆍ\'-되다\' 동사 파생 접미사 : 동사적 명사에 붙여, 그 움직임이나 상태가 스스 로 이루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4.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