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결 이외의 재판인 결정 ·명령에 대한 독립의 상소를 뜻한다. 민사소송법상 종국판결 전의 모든 재판을 반드시 종국적 재판과 함께 상소법원의 판단을 받게 하면, 절차가 복잡하게 되거나 상급심에서 종국판결이 취소될 가능성이 많아진다.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문 작성을 위한 시간을 줄이고 구술심리의 시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변론 기일의 형해화를 막고 소송을 행하는 소송당사자의 불신을 축소시킴으로 우리 소송법의 이상인 적정한 분쟁의 해결과 신속한 소송절차를 실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을 재심에 의하여 취소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해배상청구를 인정하여 실체법적으로 기판력을 배제하는 길을 인정하고 있다.
Ⅵ. 結
마지막으로 기판력을 요약하여 말한다면 민사소송법상 재판이 확정된 경우 동일사항이 그 후 소송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이 전에 선고한 확정판결에 어긋나는 때
Ⅳ.참고문헌 및 자료
민사소송법강의 양병회 삼지원 2004
신민사소송법 이시윤 박영사 2005
민사소송법 오시영 학현사 2004
신 민사소송법강의 최평오 문성(황동구) 2004
법에 관한 모든 해답 “로앤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8.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제36조는 모델법 제34조의 규정을 거의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구 중재법에서 볼 수 있듯이 민사소송법 규정을 준용하는 기형적인 모습은 사라졌고, 이에 따라서, 민사판결의 재심사유로서 논의되는 \'판단유탈\'과 중재법에서 규정하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8.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 - 간접관할이 문제된 경우)
참고문헌
김상훈 : 민사소송상 상계의 국제재판관할 및 그 준거법,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석광현 : 국제재판관할의 기초이론, 한양대학교, 2005
이규호 : 인터넷과 국제재판관할, 한국정보법학회, 2007
유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송사건이다. 그밖에 헌법재판사건, 행정소송사건, 선거소송사건에도 직권탐지주의가 적용된다. 회사관계소송은 일부 학설은 이를 긍정하고 있으나, 특별한 경우(상법 제189조의 사정판결) 외에는 부정하는 것이 타당하고, 민사소송에 있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이라고 볼 것이므로 누락된 부분까지 항소에 의하여 항소심에 이심된다고 보고 판단누락(제451조 1항 9호)에 준하여 구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 ≪ 참고문헌 ≫
1. 신민사소송법 - 이시윤 | 박영사 | 2003년
2. 민사소송법(호문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송에서 탈퇴할 수 있는데, 그 뒤 제3자와 상대방 당사자간의 판결의 기판력은 탈퇴자에게 미친다.
참고문헌
-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0. Ⅰ. 기판력의 의의
Ⅱ. 정당성의 근거
1. 법적 안정설
2. 절차보장설
3. 이원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결한 경우에 확정 전에는 상소로서 취소할 수 있으나, 확정 후에는 당연무효의 판결이라 할 수 없다. 판결의 집행 후에는 일정한 경우(판결의 편취 등) 손해배상책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는 민사소송법상의 신의칙 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