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근 경색증, 류마티스심염, 염증성 심질환, 약물중독
-증상 : 현기증, 빈맥, 흉부압박감
-치료 : 원인제거,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2.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정의 : 심방벽의 이소성 초점에서 pace maker 역할을 하는 경우로 SAnode에서 자극주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동기내 밧데리의 수명이 5년내지 10년이므로 이 기간이 가까워지면 더욱 자주 정기점 검을 위하여 병원방문을 하며, 밧데리 교환시에는 다시 입원해야 함을 강조한다. Pacemaker
1. 인공심박동기의 구조
2. 사용기간과 목적에 따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장약물과 진정제 투여 등이 있다. 시술 후 간호는 출혈, 감염증상을 관찰하고 12시간 동안 침상안정과 전원을 삽입한 쪽의 팔은 하루 동안 움직임을 제한하는 등의 간호가 있으며, 인공심박동기의 합병증에는 부정맥, 심전도 파형의 변화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전도에 의해 내린다.
* 부정맥 예방을 위해 심장리듬을 모니터하고 항부정맥제 투여
* 심실세동이 발생해 제세동기를 사용해야할 경우 : 200Joule 이하의 낮은 전력 사용
→ 심실세동 후 인공심박동기가 기능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부위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공심박동기(Temporary pacemaker)
일시적 인공심박동기는 응급상황 하에서 흔히 사용된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게서 전도장애가 나타날 때, 또는 심정지 후 서맥이나 심실수축부전이 나타날 때, 개심술시 부정맥으로 인한 응급상황 등에 대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