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3건

우여량은 감미 평기로 속 답답함과 단단함을 소멸케 하고 5장6부를 진정케 한다. 赤石脂甘溫,固腸虛而收其滑脫,然收滑脫矣. 적석지는 감미 온기로 장의 허함을 견고케 하여 활탈함을 수렴하니 그래서 활탈을 모은다. 而利仍不止者,膀胱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을 사용할 수 없음은 이미 사용을 경과해 지났으므로 금지가 되었다. 蓋傷寒當發汗,不當用桂枝,桂枝固衛,寒不得泄,而氣轉上逆,所以喘益甚也. 상한은 응당 발한해야 하나 계지탕을 사용할 수 없으니, 계지탕은 위를 견고케 하여 한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참으로 변함에 계지후박행자탕을 사용함을 보면 이 발한 사하한 뒤에 다시 계지탕을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通考則義全。 통틀어 고찰하면 뜻이 온전해진다. (二七) 傷寒下後,心煩腹滿,臥起不安者,梔子厚朴湯主之。 상한병에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 虛則汗後之不足. 허맥은 발한 사하한 뒤에 부족함이다. 、濕也. 삽맥은 습증이다. 與上篇小異而大同. 위 편과 조금 다르나 크게 같다. 桂枝附子湯者,上篇之甘草附子湯,以薑棗易朮之變制也. 계지부자탕은 위 편의 감초부자탕에서 생강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을 투여하는 방법이 오히려 있다. 此條之必自愈而觀之,則上篇之期門雖不刺,小柴胡湯雖不行,亦皆得. 이 조문은 반드시 스스로 나으니 그것을 보면 상편의 기문을 비록 자침하지 않고 소시호탕을 비록 시행하지 않아도 또한 모두 얻을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을 따라 치료할 뿐만 아니라 태양병 양명병의 사기도 미약하니 소양이 리증에 가까우니 리증이 나타난다. 故從少陽,一於和而三善則皆得也。 그래서 소양병을 따라서 화해를 한결같이 하면 3가지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五一) 傷寒陽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상한에 만약 토하고 만약 사하한 뒤에 심장 속에 상역해 창만하고, 기가 가슴에 상충하고 일어나면 머리가 아찔하고 침긴맥이고, 발한하면 곧 경락을 동요하고 몸이 떨리면 복령계지백출감초탕으로 주치한다. 茯桂枝白朮甘草湯方 복령계지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혹 안면색이 가장자리가 바로 적색이고 양기의 불울함이 표에 있으니 응당 해표하고 훈증해야 한다. 若發汗不徹,不足言陽氣,鬱不得越,當汗不汗. 만약 발한하여도 끝나지 않음은 양기가 있다고 말하기 부족하니 불울하여 발월치 못하니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을 보면 알 수 있다. 越、踰也 過也. 월이란 넘음이고 지남이다. 婢、女子之卑者也. 비는 여자의 비천함이다. 女子、陰也. 여자는 음이다. 卑、少也. 비는 젊음이다. 言其人本來虛弱,有宿疾在少陰,少陰之脈本微弱而有不可發汗之義. 그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誤汗之變證,發汗遂漏不止者,由反治所以汗反出而勢不容已也. 이는 또한 태양병 상풍에 잘못 발한한 변한 증상이니 발한에 땀이 흘러 그치지 않음은 반대로 치료하여 땀이 반대로 나서 세력이 용납하지 못함에 연유한다. 惡風者,太陽中風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3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