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쟁이 불붙게 된다.
3. 이황과 기대승은 각각 어떤 근거로 입론하였는가?
1) 기대승의 입론 근거
이황의 입장에 대한 기대승의 반론은 상당한 설득력을 지닌다. 그의 반론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근거를 지니고 있다.
첫째, 사단과 칠정의 내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자 대부분이 이 논의에 참가함으로써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하는 퇴계 계열의 \'주리파\'와 \'기발일도(氣發一途)\'를 주장하는 율곡 계열의 \'주기파\'의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4단7정에 대한 논란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심도 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에게 질문편지를 보냄으로써 이른바 한국 성리학의 四七논변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황과 기대승의 논변에 대하여 율곡 이이는 후학으로 이들을 정리하는 입장에 선다. 퇴계이황과 고동 비대승 사시에 ‘4단 7정’의 문제를 놓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을 성리학의 학자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 철학의 레포트를 쓰면서 그의 사상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다
먼저 이황에 대해 배울 점을 찾으라면, 고봉 기대승과의 4단 7정에 관한 논쟁을 통하여 학문적 논쟁의 모범을 보여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는 16세기 중반에 주리적 이기이원론의 토대위에서 기대승과의 4단7정론을 통하여 한국 성리학의 특징인 심성론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수양론의 실천방법을 정밀하게 규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성리학의 기본 틀을 정립하는데 결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