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시기에는 이러한 풍습을 \'용알뜨기\'라고 하고 대보름날 풍속으로 기록하고 있다. 용의 알을 먼저 떠간 사람이 그 표시로 지푸라기를 잘라 우물에 띄워두면 다음에 온 사람은 용의 알이 있을 딴 우물을 찾아가게 된다. 그리고 이날 머리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런 중국의 영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고유의 것으로 개발된 것이 바로 촌수라 하겠다.
※ 참고 문헌
『한국민속학』, 김동욱.최인학 외, 새문사, 1998
『한국의 세시풍속』, 김성원, 명문당, 19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성판봉 폭포 등을 꼽았었다.
참고문헌
ⅰ. 강기리(2004), 조선시대 단오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ⅱ. 김선풍, 김경남(1998), 강릉단오제연구, 보고사
ⅲ. 김용환(1990), 한국의 풍속화, 민문사
ⅳ.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ⅴ. 이창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붉은빛이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11월과 12월의 세시 풍속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으로,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그러나 이 날을 기준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므로 새해의 시작을 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가장 큰 차이는 일본의 칠석은 양력 7월 7일인데, 우리나라의 칠석은 음력 7월 7일이라는 점이다.
참고문헌
김용덕(1988), 칠월의 세시풍속, 통일한국
김명자, 세시풍속의 연구, 한국민속연구사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