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진리로 인도하시고, 장래 일을 말하시고, 세상을 심판하시므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께 영광을 돌리심을 말하고 계신다. 이와 같이 요한의 성령론은 전체적으로 조명해 볼 때 \"기독론적 지향의 성령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
![]() |
요한복음의 독특한 교회론을 생성한 요한 공동체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가, 등이다. 또한,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례전과 교직에 대한 문제도 교회론에 포함된다.
(3) 성령론
성령의 역동성은 요한 공동체의 특성이었으며, 그들이 체험
|
|
![]() |
나타난 성령님.
1. 용어와 명칭.
2. 구약에 나타난 성령님.
1) 창조와 성령
2) 이스라엘 민족과 성령.
3) 예언자와 성령.
3. 신약에 나타난 성령님.
1) 신약의 각 책에 나타난 성령님
(1) 바울서신
(2)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3) 요한서신
2) 신약의 각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요한복음과 요한서신:서로사랑하기[온라인]”.
http://blog.naver.com/holyhillch?Redirect=Log&logNo=60008941906
. 2004.7. “사도 요한서신의 신학[온라인]”
http://blog.naver.com/holyhillch?Redirect=Log&logNo=60003875871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과 의
|
|
![]() |
요한 저작설은 의심을 받고 있다. 큄멜은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저자를 다르다고 주장한다. 사도 요한이 요한계시록을 기록하지 않았다고 보는 이유는 주로 요한복음 또는 요한서신과 비교할 때 언어와 문체의 문학적인 차이와 종말사상
|
|
![]() |
성령론과 종말론편. 이한수. 1994. 신약의 성령론. 총신대출판부. ______. 2001. 신약은 성령을 어떻게 말하는가. 이레서원. 2001. ______. 1994. 봄. “요한의 성령이해”. 신학지남제239권. ______. 1999. 봄. “율법과 성령(1):구원사적 대조 속에 나타난 그
|
|
![]() |
요한23서, 유다서, 계시록 제외) 지금도 동방 수리아 교회는 여전히 22권의 신약성서를 정경으로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1. 김춘기(1998), 요한복음, 서울 : 한들
2. 김경래(1997), 사본들을 통해 보는 성경, 전주 : 전주대학교출판부
3. 대한성서공회(
|
|
![]() |
선교적 의미를 말하라
(13) 선교에서의 「세상과의 5대 대결」을 말하라
(14) 일반 서신의 5대 선교 주제를 말하라
(15) 마가복음 1장 15절을 쓰고, 그것이 말하는 기독교의 역사관과 구원관을 말하라
(16) 십계명을 쓰고, 예수의 해석을 말하라
|
|
![]() |
서신에 나타난 성령과 그리스도
3. 십자가에 참여하는 성령의 역활
(1) 하나님의 자녀
(2) 십자가의 지혜
4. 승천하신 그리스도의 사역으로서의 성령
5.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의
Ⅴ. 성령과 선교
1. 말씀과 선교
(1)
|
|
![]() |
나타난 구절........................................12
B . 신약성경에 나타난 구절........................................12
Ⅳ . 성령세례에 관한 고찰..............................................17
Ⅴ . 성령충만의 실재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