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융흐름지수가 사용된다.
● 용융지수(MI : Melt Index ) : 일정한 부하와 온도에서 10분 동안 모세관을 흐르는 수지의 무게로 표시.
● 용융흐름지수(MFI : Melt Flow Index) : 특정 수지별로 규정된 부하와 온도에서의 용융지수
4. 결과 및 고찰
1) 실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서 구해진 용융지수는 오차의 범위가 15%이내일 경우 신뢰할 수 있다.
4.REFERENCES
1)화학공학실험3, 전북대 화학공학부, 용융흐름지수측정, 2005
2)열전달과 응용, 김우식외 공저,p252~253, 동명사
3)고분자화학입문, 박문수외 3명,p3~12,p127~1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자 용융흐름지수 측정
(final- Report)
과 목 명 : 응용화공기초실험1
담당교수 :
학 과 :
분 반 :
실 험 조 :
학 번 :
성 명 :
실 험 일 :
제 출 일 :
1. 프리레포트 첨가
MI 조작방법
1) 실험장치와 시료 (HIPS, LLDPE)를 준비한다.
2) 실험 시작 15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7.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은 3회 반복하고, 측정치의 최대치와 최소치가 평균치의 15 %를 넘을 경우는 압출물에 기포가 포함되는등 실험이 잘못된 경우이므로 재실험한다.
표4 시료 충전량 (조작법 b)
용융지수 (g/10 min)
시료 충진량 (g)
0.5 ~ 3.5
2.0 ~ 4.0
3.5 ~ 300
4.0 ~ 8.0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융지수가 높을수록 유동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며 토출량이 많아진다라고 나와 있다. 실제로 실험결과 값이 MI값이 온도에 따라 증가했는데 유동성이 좋아지고 용융지수가 높아졌고, 토출량도 많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을 준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