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루소의 교육사상
4.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아리스토텔레스 등 내용추가 다른 교재를 통해서
1. 공자의 교육사상
2. 맹자의 교육사상
3. 주자와 성리학의 교육사상
4.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5.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7.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다. 둘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대가로 성리학을 계승발전 시킨 인물이다. 성리학이라는 것 또한 형이상학적인 학문이므로 플라톤의 이데아와 비슷한 성격을 갖는다. 이황 선생은 이와 기는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았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가 이 지방
서원의 규범을 잡아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2. 서원Ⅱ
* 1559년 건립된 영봉서원은 「영봉서원기」의 기록내용은 이렇다
- 건물은 정당(正堂)을 성정(誠正), 동재를 극복(克復), 서재를 경의(敬義)라 하고 고명루
(高明樓)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파의 문학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도학과 사장의 분립을 거치면서 심화된 도학파의 문학관을 계승한 자들로 김안국, 김정국, 노수신을 거명하나 퇴계의 율곡에 이르러서 정점을 이루었다. 이들은 이미 위기를 맞은 이념의 경장과 관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2.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의 교육사상 10
5. 성리학의 교육관과 교사관 15
6. 양명학의 교육사상 17
7. 성리학의 전래와 그 영향 19
8. 조선의 성리학-주리론과 주기론 20
9. 권근의 교육사상 22
10.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22
11.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25
|
- 페이지 327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서를 읽고, 다음에 史書(사서)를 읽는다. 이이 또한 이황과 같이 교육방법에 있어 居敬(거경), 窮理(궁리) 力行(역행)에 중점을 두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역행 즉 실천을 중시하였다.
) 朴在文『韓國 敎育史』2001, 學志社, p.403~p404 참조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와 율곡의 철학』, 부산: 동아대학교출판부, 1987.
윤사순, 『퇴계철학의 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1995.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서울: 서문당, 1977.
이이, 『국역율곡집(전2권)』, 민족문화추진회 역편, 서울: 민족문화추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한 실사대처의 정신에서 나온 것이다.
반계의 이기론(理氣論), 즉 그의 철학적 이론은 율곡 쪽을 비판하고 퇴계 쪽을 옹호하였다. 선배인 구암과 같은 입장 이였던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첫째, 실학은 성리학을 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산수시에 형상된 산수는 미적인 산수가 아니라, 성리학에 있어서 주리적 외물인식을 바탕하고 있었다. 주리적 외물인식에 기저한 형상 및 주제의식은 그의 도산십이곡에도 구현되어 있다. 율곡 이이의 문학관
1)이도위문(以道爲文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효재(인의 기본) : 호도와 우애 + 자애
2) 인일강령설
나. 성기호설 ≓ 성선설 → 인간의 본성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기호이다.
다. 오학론을 비판 : 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
라. 「아학편 이천자문」
□ 소 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