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법이나 ‘못’, ‘못하다’에 의한 부정법은 평서문과 의문문에만 적용된다.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은 서술어의 어간에 ‘-지’를 붙이고 그 뒤에 ‘말다’를 써서 나타낸다. ‘말다’에 의한 부정은 평서문이나 의문문에는 쓰이지 않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학의 이해』의 문법론 단원에서 제시된 ‘-었-’의 의미는
“국어의 과거시제는 ‘-았/-었’ 에 의해 실현되고 대과거시제는 여기에 다시 ‘-었-’ 이 하나 더 결합됨으로써 실현된다.(p.139)”
고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조원들과 자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문장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9) 가. *학생이 맥주를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이 맥주를 [세 명]이 마시고 있다.
이 논문의 가정에 따르면 (9)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10) 가. *학생i이 맥주를 [PROi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이 할당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문과의 대비로 보면 주격이 할당되는 것이 분명하다. 강영세(1987:92)는 국어의 격부여 규칙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7) 가. [-상태성] 동사의 자매항인 명사구-논항은 D-구조에서 S-구조로의 유도과정 속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될 수 있다. 따라서 이곳에 들어가는 요소는 보충어적 요소가 될 것이고, 그 요소가 절인 한 그것은 보문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보문을 이끄는 \'-아/어\', \'-게\', \'-지\', \'-고\'등은 보문자가 될 것이고 그 보문은 CP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